$\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 위험 지각 측정 도구의 타당성 평가
Testing of risk perception survey - Diabetes mellitu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2, 2016년, pp.477 - 486  

강수진 (대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제2형 성인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 위험 지각 측정 도구 (RPS-DM)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당뇨병 위험 지각 측정 도구는 번역 과정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보한 후 서울 지역 상급 종합병원 내분비내과 외래를 이용하고 있는 성인 183명을 대상으로 자기입식 설문조사로 방식을 이용하여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 간 상관계수, 검사 재검사 신뢰도 검사를 수행하였다. 내용 타당도 검증 결과를 보면 당뇨병 위험 측정 도구는 '위험 지식'을 제외하면 '지각된 통제 (3문항)', '낙관적 편견 (2문항)', '환경적 위험 (9문항)', '질병 위험 (9문항)'의 4가지 하부 구성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4가지 요인으로 전체 분산의 45.1%를 설명하고 있었다. 원 도구에서 제시된 '걱정'은 위험 지각 측정 도구의 하부 구성 영역에서 제외하였다. 당뇨병 위험 측정 도구는 한국인의 당뇨병 위험 지각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성있고 신뢰성이 있는 도구임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valuate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isk Perception Survey - Diabetes Mellitus (RPS-DM) with Korean diabetes patients. A total of 183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December 4, 2014 to January 1, 2015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data was analyzed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당뇨병 위험 지각(RPS-DM)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최근 Soltanipour 등 (2014)은 RPS-DM을 번역한 페르시안 버전 도구의 RPS-DM의 구성타당도 검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RPS-DM 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춘 도구임을 보고하였다. 현재 RPS-DM이나 RPS-DD는 현재까지 당뇨병에 대한 위험 지각을 측정하는 도구로서는 유일하기 때문에 본 연구자는 Walker 등 (2007)이 개발한 당뇨병을 진단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당뇨병 위험 지각 측정 도구 (RPS-DM)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해봄으로써 한국인에게 적용 가능성 여부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은 무엇인가? 당뇨병은 인슐린의 절대적 혹은 상대적 결핍에 의해 초래되는 질환으로, 성인 인구의 8.3%에 해당하는 유병율을 보이며, 전 세계적으로 약 3억 4천 700만 명이 당뇨병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대표적인 만성 질환 중 하나이다 (international diabetes foundation; IDF, 2014).
당뇨병 관리의 일차적 목표는? 당뇨병 관리의 일차적인 목표는 혈당 조절을 통해 당뇨병성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하고 감소시키는 데 있다(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 Group, 1998). 우리나라의 당뇨병 관리 현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현재 30세 이상 성인의 당뇨병 유병율은 11.
RPS-DM 도구는 무엇을 평가하는가? RPS-DM 도구는 당뇨병의 위험 지각을 측정하는데 있어 환경적 위협에 대한 하부 요인을 포함하여 측정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해석을 충분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 도구는 엑스레이나 MRI와 같은 각종 방사선 검사, 물리적 폭력, 급격한 날씨 변화, 자동차 운전, 불법으로 유통되는 약물, 공기 오염, 살충제 및 농약, 가정 내 화학약품, 간접 흡연의 노출와 같은 9가지의 환경 위험에 대한 사람들의 위 험 수준을 평가한다. Slovic (1987)은 위험 요인을 중심으로 전문가, 일반인의 위험 인지에 대한 순위와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제시하면서 이러한 위험 인식의 차이로 인한 정보의 선택과 전달 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rown, T. A. (2006).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applied research, Guilford Press, New York. 

  2. Butler, G. and Mathews, A. (1987). Anticipatory anxiety and risk percept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1, 551-565. 

  3. Calvin, D., Quinn, L., Dancy, B., Park, C., Fleming, S. G., Smith, E. and Fogelfeld, L. (2011). African Americans' perception of risk for diabetes complications. The Diabetes Educator, 37, 689-698. 

  4.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Current status and need for a Korean diabetes prevention study,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 

  5. Constans, J. I. (2001). Worry propensity and the perception of risk.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9, 721-729. 

  6. Eiser, J. R. (1988). Commun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risk. British Medical Bulletin, 54, 779-90. 

  7. Ferketich, S. (1991). Focus on psychometrics, aspects of item analysis. Research in Nursing Health, 14, 165-168. 

  8. Fischetti, N. (2015). Correlates among perceived risk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intake in adolescents. Pediatric Nursing, 41, 126-131. 

  9. Guess, N. D., Caengprasath, N., Dornhorst, A. and Frost, G. S. (2015). Adherence to NICE guidelines on diabetes prevention in the UK: Effect on patient knowledge and perceived risk. Primary Care Diabetes, 9, 407-411. 

  10. Hivert, M., Warner, A. S., Shrader, P., Grant, R. W. and Meigs, J. B. (2009). Diabetes risk perception and Intention to adopt healthy lifestyles among primary care patients. Diabetes Care, 32, 1820-1822. 

  11. International Diabetes Foundation (2014). Diabetes atlas, 7th ed., available from http://www.diabetesatlas.org/resources/2015-atlas.html. 

  12. Janz, N. K. and Becker, M. H. (1984). The health belief model: A decade later. Health Education Quarterly, 11, 1-47. 

  13. Jin, M. H. and Lee, J. Y. (2013). The study on risk factors for diagnosis for metabolic syndrome and odds ratio using multi factor dimensionality reduction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867- 876. 

  14. Kim, K. W., Lee, C. H. and Choi, B. (2013). A research for forecasting of rate of university quota according to the reducing of young 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1175-1188. 

  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Achieved January 10,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 

  16.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5). Achieved January 10, from http://www.index.go.kr/potal. 

  17. Rogers, R. W. (1975). A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of fear appeals and attitude change. The Journal of Psychology, 91, 93-114. 

  18. Shreck, E., Gonzalez, J. S., Cohen, H. W. and Walker, E. A. (2014). Risk perception and self-management in urban, diverse adults with type 2 diabetes: The improving diabetes outcomes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1, 88-98. 

  19. Sjoberg, L., Moen, B. E. and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Rotunde Publikasjoner, Trondheim. 

  20. Sjoberg, L. (1998). Worry and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18, 85-93. 

  21. Slovic, P. (1987).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22. Soltanipour, S., Heidarzadeh, A. and Jafarinezhad, A. (2014).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ersian (Farsi) version of the risk perception survey-diabetes mellitus. Eastern Mediterranean Health Journal, 20, 190-195. 

  23. McCaul, K. D., Branstetter, A. D., Schroeder, D. M. and Glasglow, R. E.(1996).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st cancer risk and mammography screening? A meta-analytic review. Health Psychology, 15, 423-429. 

  24. Mokkink, L., Terwee, C., Knol, D., Stratford, P., Alonso, J., Patrick, D., Bouter, L. and de Vet, H. (2010). The COSMIN checklist for evaluating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tudies on measurement properties: A clarification of its content. BMC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10, 22. 

  25. Rimal, R. N. and Real, K. (2003). Perceived risk and efficacy beliefs as motivators of chang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9,370-399. 

  26. Tak, J. K. (2007). Psychological testing: An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method, 2nd ed., Hakjisa Publisher, Seoul. 

  27. 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 Group (1998). Tight blood pressure control and risk of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in type 2 diabetes: UKPDS 38. British Medical Journal, 317, 703-713. 

  28. Walker, E. A., Mertz, C. K., Kalten, M. R. and Flynn, J. (2003). Risk perception for developing diabetes: Comparative risk judgments of physicians. Diabetes Care, 26, 2543-2548. 

  29. Walker, E. A., Caban. A., Schechter, C. B., Basch, C. E., Blanco, E., DeWitt, T. and Mojica, G. (2007). Measuring comparative risk perceptions in an urban minority population: The risk perception survey for diabetes. Diabetes Educator, 33, 103-110. 

  30. Waltz, C., Strickland, O. L. and Lenz, E. (2010). Measurement in Nursing and Health Research, 4th ed., Springer Publishing Company, New York. 

  31. Wells, A. and Morrison, A. P. (1994). Qualititive dimensions of normal worry and normal obsessions : A comparative stud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2, 867-870. 

  32. Witte, K. (1992). Putting the fear back into fear appeals: The extended Parallel Model. Communication Mongraphs, 59, 225-240. 

  33. Weinstein, N. D., Kwitel, A., McCau,l K D, Magnan, R. E., Gerrard, M. and Gibbons, F. X. (2007). Risk perceptions: Assessment and relationship to influenza vaccination. Health Psychology, 26, 146-1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