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공감피로에 관한 국내연구동향
Research Trends on Compassion Fatigue in Korea Nurse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1 no.3, 2014년, pp.255 - 264  

조호진 (경상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정면숙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compassion fatigue in Korea nurse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Methods: For this study, RISS, KISTI, KISS, National Assembly Library databases were searched using the key words 'compassion fatigue', 'secondary 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4년 6월까지 간호사의 공감 피로에 대한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방향 모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2014년 6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간호사의 공감 피로에 관한 연구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현황을 파악하여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국내 학술정보 서비스 (RISS),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KISTI/NDSL), 한국학술정보(KISS), 국회 전자도서관 DB를 이용하여 투고된 논문들을 검색한 결과, 최종 1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공감 피로와 관련된 주제로 연구된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출판된 간호사의 공감 피로와 관련된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시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특정 주제에 대한 연구 논문을 파악하는 것은 선행연구들을 정련 또는 확대시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하고 (Lee, 1996), 대상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야 할 간호사가 공감 피로로 인해 자신의 직무 만족은 물론이고 대상자에게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간호의 질적 향상을 위해 국내에서 시행된 간호사의 공감피로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간호사의 공감 피로에 대한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연구의 총체적 주제와 경향을 확인함으로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자 본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감피로란 무엇인가? 공감피로는 외상을 입은 대상자들에게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본인이 신체적 해를 입지 않더라도 의도치 않게 얻어지는 스트레스 반응이며(Figley, 2002), 이를 간과할 경우 장 ․ 단기의 정서적, 신체적, 직무 관련 문제 등이 나타나 간호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어 간호사에 대한 공감 피로 연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Figley, 2002; Yang & Kim, 2012). 그리고 연구가 진행되면서 외상피해자 간호뿐만 아니라 질병으로 극심한 고통을 당하는 대상자 간호 분야로까지 확대되었다(Beck, 2011).
개인에게 신체적, 정신적 외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사건은 무엇인가? 오늘날 인간의 삶이 복잡하고 다양해지면서 대규모의 재난, 자연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가정폭력, 성폭력과 같은 치명적 사건들도 증가하고 있다. 이들 사건들은 개인에게 신체적, 정신적으로 극심한 크고 작은 외상 스트레스를 유발하고(Bell, 1995), 이들에게 직접적인 돌봄을 제공하는 간호사, 사회복지사, 소방관, 심리상담가, 경찰관 등의 전문가들 또한 간접적으로 외상사건을 경험하면서 외상 스트레스의 위험에 놓이게 된다(Stamm, 1997).
간호사가 공감피로에 가장 민감한 그룹인 이유는 무엇인가? 전문가들은 대상자들을 돌보면서 대상자가 호소하는 고통에 대해 감정이입을 하게 되는데, 이때 대상자가 겪는 증상과 유사한 경험을 하는 공감피로(compassion fatigue) 또는 이차외상 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 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igley, 1995). 특히 이들 전문가들 중 의료인으로서 대상자와 공감적, 연민적 관계를 형성하고, 긴밀한 상호작용을 하는 간호사가 가장 민감한 그룹이라고 하였다(Beck, 2011; Joinson,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eck, C. T. (2011). Secondary traumatic stress in nurses: A systematic review.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5 (1), 1-10. http://dx.doi.org/10.1016/j.apnu.2010.05.005 

  2. Bell, J. L. (1995). Traumatic event debriefing: service delivery design and the role of social work. Social Work, 40 (1), 36-43. http://dx.doi.org/10.1093/sw/40.1.36 

  3. Bride, B. E., Radey, M., & Figley, C. R. (2007). Measuring compassion fatigue. Clinical Social Work Journal, 35 (3), 155-163. http://dx.doi.org/10.1007/s10615-007-0091-7.x 

  4. Cha, H. J. (2013).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n the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in suicide prevention counsel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5. Coetzee, S. K., & Klopper, H. C. (2010) Compassion fatigue within nursing practice: A concept analysis.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2 (2), 235-243. http//dx.doi.org/10.1111/j.1442-2018.2010.00526.x 

  6. Figley, C. R. (1995). Compassion as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An overview. In C. R. Figley (Ed), Compassion fatigue (pp. 1-20). New York: Brunner/Mazel. 

  7. Figley, C. R. (2002). Treating compassion fatigue . New York, NY: Burnner-Routledge. 

  8. Figley, C. R., & Stamm, B. H. (1996). Psychometric review of compassion fatigue self test. In B. H. Stamm (Ed), Measurement of stress, trauma, and adaptation (pp. 127-130). Lutherville, MD: Sidran Press. 

  9. Jeong, G. S., & Jung, M. S. (2013). Job satisfaction among Korean nurses: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 (3), 235-246. http://dx.doi.org/10.5953/JMJH.2013.20.3.235.x 

  10. Joinson, C. (1992). Coping with compassion fatigue. Nursing, 22 (4), 116-121. http://dx.doi.org/10.1097/00152193-199204000-00035 

  11. Ko, Y. S. (2002). Compassion fatigue and focusing therapy. The Journal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3 , 311-341. 

  12. Laura, L. (2012, January, 3). When nurses catch compassion fatigue, patients suffer. The Wall Street Journal. D1. 

  13. Lee, J. Y., & Yu, K. L. (2010). Compassion fatigue: Implications for counselor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1 (1), 19-36. http://dx.doi.org/10.15703/kjc.11.1.201003.19 

  14. Lee, M. H. (1996). Analysis of studies on work stress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8 (1), 180-200. 

  15. Lombardo, B., & Eyre, C. (2011). Compassion fatigue: A nurse's primer.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16 (1), Manuscript 3. http://dx.doi.org/10.3912/OJIN.Vol16No01Man03 

  16. Potter, P., Deshidelds, T., Berger, J., Clarke, M., Olsen, S., & Chen, L. (2013). Evaluation of a compassion fatigue resiliency program for oncology nurses. Oncology Nursing Forum, 40 (2), 180-187. http://dx.doi.org/10.1188/13.onf.180-187 

  17. Stamm, B. H. (1997). Work-related secondary traumatic stress. PTSD Research Quarterly, 8 (2), 1-3. http://dx.doi.org/10.1037/e572172010-002 

  18. Stamm, B. H. (2002). Measuring compassion satisfaction as well as fatigue: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compassion fatigue and fatigue test. In C. R. Figley (Ed), Treating compassion fatigue (pp. 107-119). Brunner-Routledge: Hove, Great Britain. 

  19. Stamm, B. H. (2010). The concise ProQOL manual (2nd ed.). Pocatello, ID: ProQOL.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