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를 위한 공감피로 극복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Overcoming Compassion Fatigue Program for Emergency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2, 2016년, pp.260 - 270  

김영아 (수성대학교 간호학과) ,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rogram to help emergency nurses overcome compassion fatigue,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re were 14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8 subjects i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만족을 향상시키고 공감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Radey와 Figley[10]의 이론과 Gentry 등[7]의 이론을 합성하여, 고통 받는 사람을 돕는 일을 할 때 긍정적 정서와 의도성, 자가조절, 자기인증과 자가간호를 통한 자가관리 및 연결/지지를 통한 자원이 서로 균형을 이루도록 연계하여 개념적 기틀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개념적 기틀을 토대로 문헌고찰과 심층면담의 결과를 반영하여 응급실 간호사를 위한 공감피로 극복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공감피로 극복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아탄력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공감피로 극복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공감만족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3. “공감피로 극복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공감피로 점수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감피로가 적절하게 관리되지 못하면 어떻게 되는가? 공감피로를 유발하는 공감스트레스 상황에 장기적으로 노출되면 정서적 탈진, 이인증, 개인적인 성취감의 감소, 탈진, 무력감과 혼돈, 지지자로부터의 고립감, 실제적인 원인으로부터 단절된 증상 등의 공감 피로 증상을 나타낸다[6]. 이러한 공감피로가 적절하게 관리되지 못하면, 간호사 개인에게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유사한 과각성, 침습적 사고, 수면장애, 우울, 불안 등의 증상을 일으키고, 업무에서는 환자에 대한 무관심, 회피, 부인 등을 유발하게 된다[7].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Figley [5]에 의하면, 공감피로는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와 소진이 결합된 개념이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외상을 당했거나 고통 받는 사람들을 돕거나 돕기를 원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스트레스를 의미하며[5], 소진은 공감피로의 마지막 단계인 고갈상태로써 업무 처리의 어려움, 희망이 없는 느낌, 좌절, 분노, 우울 등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5,8]. 이러한 공감피로는 간호사, 성직자, 상담가 등 돕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발견되는데, 특히 간호사가 공감피로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9].
응급실 간호사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극심한 환경은 무엇인가? 6%에 불과하였다[2]. 이러한 상황에서 응급실 간호사는 다양한 신체적 문제와 생명의 위협에 따른 심리적·정신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환자와 직접 접촉해야 하며, 응급실의 혼란스러움, 위중한 환자, 날카로운 환자, 폭력, 장시간 환자에게 매달리게 되는 업무, 과밀한 업무 환경, 환자의 비현실적인 기대, 심한 외상, 사망 등에 반복적으로 노출되고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3 statistics of emergency medical system [Internet]. Seoul: Author; 2014 [cited 2016 March 3]. Available from: http://www.nemc.or.kr/egen/inf.bor42.do?flag4&strid72761&strnum1&pageflag2. 

  2. Kim SH. Severe emergency patients stay for 6 hours: 2013 emergency medical facility evaluation report [Internet]. Seoul: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News; 2014 [cited 2016 March 3]. Available from: http://www.nursenews.co.kr/Article/ArticleDetailView.asp?typ11&articleKey1057. 

  3. Dominguez-Gomez E, Rutledge DN. Prevalence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among emergency nurse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09;35(3):199-204. http://dx.doi.org/10.1016/j.jen.2008.05.003 

  4. Flarity K, Gentry JE, Mesnikoff N. The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al program on preventing and treating compassion fatigue in emergency nurses. Advanced Emergency Nursing Journal. 2013;35(3):247-258. http://dx.doi.org/10.1097/TME.0b013e31829b726f 

  5. Figley CR. Compassion fatigue as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An overview. In: Figley CR, editor.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New York, NY: Brunner-Routledge; 1995. p.1-20. 

  6. Schulte-Ruther M, Markowitsch HJ, Fink GR, Piefke M. Mirror neuron and theory of mind mechanisms involved in face-to-face interactions: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roach to empathy.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2007;19(8):1354-1372. http://dx.doi.org/10.1162/jocn.2007.19.8.1354 

  7. Gentry JE, Baggerly J, Baranowsky A. Training-as-treatment: Effectiveness of the certified compassion fatigue specialist tra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ency Mental Health. 2004;6(3):147-155. 

  8. Stamm BH. The concise ProQOL manual [Internet]. Pocatello, ID: ProQOL.org; 2010 [cited 2012 September 2]. Available from: http://www.proqol.org/uploads/ProQOL_Concise_2ndEd_12-2010.pdf. 

  9. Joinson C. Coping with compassion fatigue. Nursing. 1992;22(4):116, 118-120. 

  10. Radey M, Figley CR. The social psychology of compassion. Clinical Social Work Journal. 2007;35(3):207-214. http://dx.doi.org/10.1007/s10615-007-0087-3 

  11. Klohnen EC.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70(5):1067-1079. http://dx.doi.org/10.1037/0022-3514.70.5.1067 

  12. Chase MM. Emergency department nurses' lived experience with compassion fatigue [master's thesis]. Tallahassee, FL: Florida State University; 2005. 

  13. Robertson S, Gow KM. How burned out employees perceive work stress and organizational burnout. In: Gow KM, Marek CJ, editors. Way finding through life's challenges: Coping and survival. New York, NY: Nova Science Publishers; 2011. p. 385-402. 

  14. Sabo BM. Compassion fatigue and nursing work: Can we accurately capture the consequences of caring 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06;12(3):136-142. http://dx.doi.org/10.1111/j.1440-172X.2006.00562.x 

  15. Hooper C, Craig J, Janvrin DR, Wetsel MA, Reimels E.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compassion fatigue among emergency nurses compared with nurses in other selected inpatient specialtie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10;36(5):420-427. http://dx.doi.org/10.1016/j.jen.2009.11.027 

  16. Berger R, Gelkopf M. An intervention for reducing secondary traumatization and improving professional self-efficacy in well baby clinic nurses following war and terror: A random control group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1;48(5):601-610.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0.09.007 

  17. Potter P, Deshields T, Berger JA, Clarke M, Olsen S, Chen L. Evaluation of a compassion fatigue resiliency program for oncology nurses. Oncology Nursing Forum. 2013;40(2):180-187. http://dx.doi.org/10.1188/13.onf.180-187 

  18. Potter P, Deshields T, Rodriguez S. Developing a systemic program for compassion fatigue.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013;37(4):326-332. http://dx.doi.org/10.1097/NAQ.0b013e3182a2f9dd 

  19. Ahn YW. Adrenal exhaustion and fatigue due to chronic stres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1):81-87. http://dx.doi.org/10.5124/jkma.2011.54.1.81 

  20.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21. Park HJ. Perceived stress, coping process and depression to egoresilience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1996. 

  22. Wilson J. Adrenal fatigue: The 21st century stress syndrome. Petaluma, CA: Smart Publications; 2001. 

  23. Seels B, Richey R.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Washington, DC: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1994. 

  24. Na EY. Experimental validation of 3-level attitude change model: Effects of in/outgroup sources and message strengths on the changes of weak, moderate, and strong attitude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999;13(1):65-90. 

  25. Grafton E, Gillespie B, Henderson S. Resilience: The power within. Oncology Nursing Forum. 2010;37(6):698-705. http://dx.doi.org/10.1188/10.onf.698-705 

  26. Lim JS, Yoon MS.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4;42(1):31-60. 

  27. Pietrantoni L, Prati G. Resilience among first responders. African Health Sciences. 2008;8(Suppl 1):S14-S20. 

  28. Bartone PT, Hystad SW. Increasing mental hardiness for stress resilience in operational settings. In: Bartone PT, Johnsen BH, Eid J, Violanti JM, Laberg JC, editors. Enhancing human performance in security operations: International and law enforcement perspectives.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2010. p. 257-272. 

  29. Choi SY.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changes of salivary cortisol density and blood pressure of the hospital staff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1. 

  30. Kim D, Chung YS, Park S.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hormone, salivary cortisol level and stress score by self-report measurem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4;9(3):633-6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