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시마 첨가 배추김치의 항산화 효과를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흰 쥐에서 살펴보았다. 동물실험군은 고지방식이군, 고지방식이에 대조김치, 다시마를 20% 첨가한 김치, 그리고 시판하는 J-김치를 첨가한 4군으로 실험군 당 동물은 10마리였으며 사육기간은 8주였다. 지방은 총에너지의 40%를 지방을 첨가하였으며 김치는 동결 건조하여 10% 첨가하였다. 김치의 DPPH 소거 효과는 김치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김치군 중 다시마 첨가 김치의 효과가 각 실험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간의 지질과산화는 김치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김치군 중 다시마 첨가 김치의 TBARS 농도는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간의 항산화 효소 활성을 살펴보았을 때 김치 섭취군의 $Cu{\cdot}Zn$-SOD, Mn-SOD, 그리고 catalase의 활성은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다시마 첨가 김치군의 효소 활성은 다른 김치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이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생성된 지질과산화물질이 김치에 존재하는 항산화물질에 의해 제거되어 이를 방어할 항산화 효소활성이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낮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 첨가 김치의 항산화 효과가 김치군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김치의 항산화 효과가 다시마의 활성 성분에 의해 더욱 증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effect of Korean cabbage kimchi containing 20% of sea tangle (SK) was studied in the rats fed with high fat diet (HFD) for 8 weeks. The rats (n=40) we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as a high fat diet group (HFD), HFD supplemented either with Korean cabbage kimchi used as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다시마를 첨가하여 개발한 기능성 배추김치(9)의 항산화성을 살펴보고자 고 지방식이를 섭취하는 쥐에게 공급하여 항산화 효소 활성과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관찰하여 다시마를 첨가한 배추김치의 기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의보감에서는 다시마를 무엇이라 부르는가? 또한 산성 다당류인 fucoidan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항혈액응고 작용과 항암효과 등 다양한 생리작용을 한다(7,8). 동의보감에서는 곤포라 하여 신체의 저항성을 높여주고 노폐물의 배설을 촉진하며, 고혈압, 동맥경화, 갑상선종, 신장염에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노화를 예방하는 건강장수식품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다시마에 함유된 산성 다당류인 fucoidan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 다시마는 한국인이 즐겨 먹는 해조류이며 수용성 식이섬유인 알긴산이 풍부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수치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고, 카드뮴과 같은 유해 중금속을 방출하는 작용을 한다(5,6). 또한 산성 다당류인 fucoidan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항혈액응고 작용과 항암효과 등 다양한 생리작용을 한다(7,8). 동의보감에서는 곤포라 하여 신체의 저항성을 높여주고 노폐물의 배설을 촉진하며, 고혈압, 동맥경화, 갑상선종, 신장염에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노화를 예방하는 건강장수식품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체내에서 일어나는 산화스트레스는 어떤 질환의 병인과 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체내에서 일어나는 산화스트레스는 현대 사회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암이나 동맥경화증, 관상동맥질환과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의 주요 질환들의 병인과 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현대인의 빠른 생활 패턴과 식생활의 변화는 체내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증가시키고 이는 각종 질환 및 사망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Willcox JK, Ash SL, Catignani GL. 2004. Antioxidants and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Crit Rev Food Sci Nutr 44: 275-295 

  2. Moskaug JO, Carlsen H, Myhrstad MC, Blomhoff R. 2005. Polyphenols and glutathione synthesis regulation. Am J Clin Nutr 81: 277S-283S 

  3. Song YO. 2004.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kimchi for the health benefits. Food Indstry Nutr 9: 27-33 

  4. Cheigh HS, Park KY. 1994.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Crit Rev Food Sci Nutr 34: 175-203 

  5. Penman A, Sanderson GR. 1972. 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uronic acid sequence in alginates. Carbohydrate Res 25: 273-282 

  6. Kim YY, Lee KW, Kim GB, Cho YJ. 2000.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o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J Kor Fish Soc 33: 393-398 

  7. Haroun-Bouhedja F, Ellouali M, Sinquin C, Boisson-vidal C. 2000. Relationship between sulfate group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fucans. Thromb Res 100: 453-459 

  8. Colliec S, Fisher AM, Tapon-Bretaudiere H, Biosson C, Durand P, Jozefonvicz J. 1991. Anticoagulant of a fucoidan fraction. Thromb Res 64: 143-154 

  9. Ku HS, Noh JS, Yun YR, Kim HJ, Kwon MJ, Cheigh HS, Song OK. 2007. Weight reduction and lipid lowering effect of sea tangle added Korean cabbage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140-1147 

  10. Reeves PG, Nielsen FH, Fahey GC.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 J Nutr 123: 1939- 1951 

  1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999-1200 

  12. Lenz ML, Hughes H, Mitchell JR, Via DP, Guyton JR, Taylor AA, Gotto AM Jr, Smith CV. 1990. Lipid hydroperoxy and hydroxy derivatives in copper-catalyzed oxi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J Lipid Res 31: 1043-1050 

  13.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s Enzymol 52: 302-310 

  14.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Randall RJ. 1951. Protein determination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15. Aebi H. 1984. Catalase in vitro. Methods Enzymol 105: 121-126 

  16. Oyanagui Y. 1984. Reevaluation of assay methods and establishment of kit for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al Biochem 142: 290-296 

  17. Han J, Kang S, Choue R, Kim H, Leem K, Chung S, Kim C, Chung J. 2002.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Diospyros kaki, Laminaria japonica and Undaria pinnatifida. Fitoterapia 73: 710-712 

  18. Kim HJ, Kwon MJ, Song YO. 2000.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of Korean cabbage kimchi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hospholipid of rabbit fed 1%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00-907 

  19. Choi JH, Kim DI, Park SH, Kim DW, Kim CM, Koo JG. 2000. Effects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extract and fucoidan components on lipid metabolism of stressed mouse. J Korean Fish Soc 33: 124-128 

  20. Kim HJ. 2000. Antiatherogenic effect of solent fraction of cabbage kimchi in rabbit.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21. Kwon MJ, Song YS, Song YO. 1998. Antioxidative effect of kimchi ingredients on rabbits fed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189-1196 

  22. Kim HJ, Kwon MJ, Seo JM, Kim JG, Song SH, Seo HS, Song YO. 2004. The effect of 3-(4-hydroxyl-3',5'-dimethoxyphenyl)propionic acid in Chinese cabbage kimchi on lowering hypercholesterolem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52-58 

  23. Kim HJ, Lee JS, Chung HY, Song SH, Suh H, Noh JS, Song YO. 2007. 3-(4'-hydroxyl-3',5'-dimethoxyphenyl)propionic acid, an active principle of kimchi, inhibits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in rabbits. J Agric Food Chem 55: 10486- 104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