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품질의 냉동 블루베리 생산 유통을 위한 과학적 자료 확보를 위한 냉동 온도별 블루베리 품질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확한 블루베리를 각각 $-20^{\circ}C$, $-45^{\circ}C$, $-70^{\circ}C$로 냉동 후 $-20^{\circ}C$에 2개월 보관한 다음 drip율, 산도, 고형분 함량, 색도, hardness, 유리당 함량, 미생물 오염 정도, 단면 미세구조 등을 관찰하여 냉동 및 해동 조건에 따른 블루베리의 품질 차이를 비교하였다. 냉동 블루베리의 pH와 유리당 함량은 냉동조건에 따른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초기 $-20^{\circ}C$로 냉동된 블루베리의 drip율은 4.09%로 가장 많았으며 냉동 온도가 낮아질수록 drip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5^{\circ}C$로 해동한 경우 저온 해동 시료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drip율을 나타냈다. 냉동 및 해동을 거친 후 블루베리의 hardness는 생과에 비해 절반가량으로 감소하였으며 냉동 온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생과 상태에 비해 냉동 후 해동된 블루베리의 미생물 수는 전체적으로 100배 이상 감소했으며, $4^{\circ}C$보다 $25^{\circ}C$에서 해동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미생물 정도를 보였다. 냉동된 블루베리의 단면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전체적으로 냉동 온도 차이에 따른 뚜렷한 경향은 나타내지 않았다. 생산비용과 품질을 고려한 냉동 블루베리의 생산 및 유통을 위한 최적조건 설정을 위해서 추가적으로 관능평가 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effect of freezing temperature on quality of blueberries, blueberry fruit was frozen at -20, -45, and $-70^{\circ}C$ immediately after harvest. After 24 hr of freezing, frozen blueberries were stored at $-20^{\circ}C$ for 2 months. Blueberries were thawed 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냉동 온도, 해동 조건 등에 따른 블루베리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을 분석하여 블루베리의 저장 및 유통에 적합한 최적조건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Statistically different values in each chromaticity by groups are differently labeled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블루베리의 각종 기능성 성분과 식물 생리활성 성분은 어떤 효능이 있는가? Times에서 선정한 세계 10대 슈퍼 푸드에 속하는 블루베리는 당도가 높고 풍미가 진할 뿐 아니라 특히 flavonoid, carotenoid, isoflavon, polyphenol, 식이섬유 등 각종 기능성 성분과 식물 생리활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2,3). 이러한 성분 들은 자유라디칼을 소거시켜 세포 조직의 노화를 지연시켜 주고 스트레스로 인한 암, 심혈관계 질환 등을 예방해 준다고 보고되어 있다(4). 이렇듯 블루베리의 맛과 효능이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블루베리 소비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세계 블루베리 재배면적이 7만 5천 ha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총 생산량도 31만 톤 이상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5).
블루베리는 무엇인가? 블루베리는 진달래과(Ericaceae) 정금나무속(Vaccinium)에 속하는 과실로서 원산지인 북미에서는 하이부시 블루베 리(Vaccinium corymbosum), 로우부시 블루베리(Vaccinium myritillus), 래빗아이 블루베리(Vaccinium ashei) 세종류가 상업적 과실로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1). Times에서 선정한 세계 10대 슈퍼 푸드에 속하는 블루베리는 당도가 높고 풍미가 진할 뿐 아니라 특히 flavonoid, carotenoid, isoflavon, polyphenol, 식이섬유 등 각종 기능성 성분과 식물 생리활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2,3).
동결공정의 장점은 무엇인가? 동결공정은 식품의 장기저장을 위한 가장 안전한 방법 중하나이며, 특히 냉동과의 경우 본래의 향미, 색, 조직감, 영양성분 등이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 소재 특유의 신선함을 유지하면서 간편성을 부여하여 매우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7). 그러나 적절치 않은 냉각처리로 동결시키면 세포벽이 파괴됨과 동시에 세포내 동결이 일어나 세포의 팽압 보유력이 소실되어 조직 연화로 인해 상품 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8-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eong CH, Choi SG, Heo HJ. 2008.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eberry and rasp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75-1381. 

  2. Jeong HR, Jo YN, Jeong JH, Kim HJ, Heo HJ. 2012. Nutritional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blueberry (Vaccinium asheii) leaf. Korean J Food Preserv 19: 604-610. 

  3. Hwang SH, Ko S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containing domestic blueberry (V. corymbosum).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727-734. 

  4. Lee EJ, Bae JH. 2011. Study on the alleviation of an alcohol induced hangover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by mulberry fruit. Korean J Food & Nutr 24: 204-209. 

  5.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2014.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statistics database (FAOSTAT). Available at http://faostat3.fao.org/faostat-gateway/go/to/browse/Q/*/E. 

  6. Kim SJ, Park KS, Park SJ, Kwon YH. 2013. Current status of blueberry culture in Korea. Korean J Hort Sci Technol 31: 139-139. 

  7. Tressler DK, Evers CF. 1946. The freezing preservation of foods. 2th ed. The AVI Publishing Company, New York, NY, USA. p 244-247. 

  8. Gerd W, Jill Roth E, Schweiger HG. 1983. Storage of cell suspensions and protoplasts of Glycine max (L.) Mem, Brassica napus (L.), Datura innoxia (Mill.), and Daucus carota (L.) by freezing. J Plant Physiol 1: 29-39. 

  9. Dekazos ED. 1977. Sclereid development and prevention of woodiness and/or grittiness in rabbiteye blueberries. Proc Fla State Hort Soc 90: 218-224. 

  10. Sanford KA, Lidster PD, Mcrae KB, Jackson ED, Lawrence RA, Stark R. 1991. Lowbush blueberry quality changes in response to mechanical damage and storage temperature. J Am Soc Hortic Sci 116: 47-51. 

  11. Goff HD. 1992. Low-temperature stability and the glassy state in frozen foods. Food Res Int 25: 317-325. 

  12. Reid DS. 1983. Fundamental physico-chemical aspects of freezing. Food Technol 37: 110-115. 

  13. Slade L, Levine H. 1991. Beyond water activity: Recent advances based on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food quality and safety. Crit Rev Food Sci Nutr 30: 115-360. 

  14. Allan-Wojtas P, Goff HD, Stark R, Carbyn S. 1999. The effect of freezing method and frozen storage conditions on the microstructure of wild blueberries as observed by cold-stag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canning 21: 334-347. 

  15. Sesmero R, Quesada MA, Mercado JA. 2007. Antisense inhibition of pectate lyase gene expression in strawberry fruit: Characteristics of fruits processed into jam. J Food Eng 79: 194-199. 

  16. Moon HK, Lee SW, Kim JK. 2013. Physicochem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d American blueberries. Korean J Food Preserv 20: 524-531. 

  17. Cho WJ, Song BS, Lee JY, Kim JK, Kim JH, Yoon YH, Choi JI, Kim GS, Lee JW. 2010. Composition analysis of various blueberries produced in Korea and manufacture of blueberry ja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19-323. 

  18. Roosi M, Giussani E, Morelli R, Scalzo RL, Nani RC, Torreggiani D. 2003. Effect of fruit blanching on phenolic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highbush blueberry juice. Food Res Int 36: 999-1005. 

  19. Oh HH, Hwang KT, Kim M, Lee HW, Kim SZ. 2008. 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spberry and blackberry fruits produced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738-743. 

  20. Kalt W, Mcdonald JE. 1996. Chemical composition of lowbush blueberry cultivars. J Am Soc Hort Sci 121: 142-146. 

  21. Modlibowska I. 1968. Ice formation within plants, the resulting damage and recovery. In Low Temperature Biology of Foodstuffs. Pergamon Press Ltd., Oxford, UK. p 125-133. 

  22. Kiser JS, Beckwith TD. 1942. Effect of fast-freezing upon bacterial flora of mackerel. J Food Sci 7: 255-2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