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처리 조건에 따른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의 주요 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
Active Ingredi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alvia plebeia R. Br. According to Pretreatment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2, 2014년, pp.1948 - 1953  

김용주 (구례야생화연구소) ,  정지숙 (구례야생화연구소) ,  박노진 (구례군농업기술센터 자원연구개발과) ,  고근배 (구례군농업기술센터 자원연구개발과) ,  손병길 (구례군농업기술센터 자원연구개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배암차즈기를 건조, 데침 및 발효에 따라 항염증 효능성분인 rosmarinic acid, homoplantaginin, luteolin의 함량 변화와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Rosmarinic acid는 열풍건조 시 16.42 mg/g, 데친 후 열풍건조 시 10.19 mg/g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동결건조 한 잎과 뿌리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음건 및 동결건조 시에는 각각 8.69와 8.15 mg/g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발효 후에는 0.05 mg/g으로 감소하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동결건조, 음건 및 열풍건조 한 배암차즈기는 $500{\mu}g/mL$의 농도에서 98.5% 이상의 ABTS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데친 후 열풍건조 시에도 87.3%의 우수한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뿌리는 잎에 비하여 ABTS radical 소거능이 낮았다. SOD 유사활성$1,000{\mu}g/mL$ 농도에서 6.1~27.8%로 측정되어 ABTS radical 소거능과 차이가 있었다. 배암차즈기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물질이며 항염증 효능 물질로 알려진 rosmarinic acid와 homoplantaginin은 차발효에 의해 거의 소실되기 때문에 배암차즈기를 기능성 차 또는 가공식품 원료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차발효(산화발효)보다 동결, 냉풍 및 열풍건조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as well as contents of rosmarinic acid, homoplantaginin, and luteolin, which is the main substance of Salvia plebeia R. Br. (SPR) known to have anti-inflammatory efficacy, according to drying, blanching, and fermentation conditions. Rosmarinic ac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암차즈기를 염증 및 아토피 개선 식품개발의 일환으로 기능성 나물 또는 가공식품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다양한 건조 방법과 데친 후 주요 물질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기능성 대용차의 개발 일환으로 차발효에 의한 주요 물질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다양한 전처리 조건에서의 항산화 활성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류학상 배암차즈기는 무엇인가? Br.)는 꿀풀과(Labiatae) 의 이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하며 전국적으로 분포하여 산야의 풀밭에서 자생한다. 이명으로 배암배추, 뱀배추, 뱀 차조기, 곰보배추 등으로 불리며, 한방에서는 여지초(荔枝草)라 하여 양혈, 이수, 해독, 살충, 화상, 통경, 간장, 자궁출혈 등에 쓰인다.
배암차즈기의 2차대사산물로 유용한 약리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들은 무엇인가? 2차대사산물은 항산화 활성 및 영양학적 측면에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크게 테르펜, 페놀화합물, 질소화합물로 구분되고 항산화, 항염증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 배암차즈기의 2차대사산물로 유용한 약리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들은 homoplantaginic, rosmarinic acid, luteolin, nepetin, nepetin-7-glucoside, hispidulin, luteolin-7-glucoside, caffeic acid, coniferyl aldehyde 등이 알려져 있다(13,14).
한방에서 배암차즈기의 이명은 무엇이며 이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증상은? )는 꿀풀과(Labiatae) 의 이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하며 전국적으로 분포하여 산야의 풀밭에서 자생한다. 이명으로 배암배추, 뱀배추, 뱀 차조기, 곰보배추 등으로 불리며, 한방에서는 여지초(荔枝草)라 하여 양혈, 이수, 해독, 살충, 화상, 통경, 간장, 자궁출혈 등에 쓰인다. 또한 눈에서 볼 수 있다 하여 설견초(雪見草)라고도 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Ryu SN. 2008. Bioactive constituents and utilities of Ganghwayakssuk (Artemisia princeps Pamp.). Korean J Intl Agri 20: 308-314. 

  2. Oh TY, Ahn BO, Ko JI, Ryu BK, Son MW, Kim SH, Kim WB, Lee EB. 1997. Studies on protective effect do DA-9601, an Artemisia Herb extract, against ethanol-induced gastric mucosal damage and its mechanism. J Appl Pharmacol 5: 202-210. 

  3. Kang BH. 2008. Korea herbal resources ecology pictorial book. 2nd ed. Geo Book Press, Seoul, Korea. p 207. 

  4. Lim JA, Yun BW, Baek SH.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methanol extract from Salvia plebeia R. B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183-188. 

  5. Jeong HR, Sung MS, Kim YH, Ham HM, Choi YM, Lee JS. 2012.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alvia plebeia R. Br. leaf through heme oxygenase-1 in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888-894. 

  6. Jo SY, Lee UY, Kim EY, Lee SJ, Her JW, Yoon TJ. 2010. A study on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effect of Salvia plebeia R. Brewn. Korean J Pharmacogn 41: 31-37. 

  7. Jung HJ, Song YS, Lim CJ, Park EH. 2009. Anti-inflammatory, anti-angiogenic and anti-nociceptive activities of an ethanol extract of Salvia plebeia R. Brown. J Ethnopharmacol 126: 355-360. 

  8. Shin MK, Kim SK, Lee SK, Yang EY, Lee HO, Baek SH. 2001. Cytotoxicity and antimicrobial effect of the extract of Salvia plebeia. Korean J Pharmacogn 32: 55-60. 

  9. Um SH, Kim DK, Kwak JW, Lee KR, Ghee DK, Pyo SN, Zee OP. 1995. Antiviral and antitumoral activities of domestic medicinal plants in macrophages. Korean J Pharmacogn 26: 259-264. 

  10. Bae MJ, Ye EJ, Kim SJ, Kim JM, Yee ST, Park EM. 2007. The effects of Plebeiae Herba (Salvia plebeia R. Br.) on the anticancer (in vitro) and activation of immune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77-382. 

  11. Shin TY, Kim HM. 2002. Inhibition of immediate-type allergic reactions by the aqueous extract of Salvia plebeia.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4: 303-314. 

  12. Choi YG, Kim SH, Lim JP, Kim DK, Eom DO, Lee KB, Kim SY, Shin TY. 2001. Inhibitory effect of Salvia plebeia on compound 48/80-induced 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 Korean J Pharmacogn 32: 297-301. 

  13. Ren DB, Qin YH, Yun YH, Lu HM, Chen XQ, Liang YZ. 2014. Separation of nine compounds from Salvia plebeia R. Br. using two-step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with different elution modes. J Sep Sci 37: 2118-2125. 

  14. Jin XF, Lu YH, Wei DZ, Wang ZT. 2008. Chemical fingerprint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alvia plebeia R. Br.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Pharm Biomed Anal 48: 100-104. 

  15. Hwang CR, Oh SH, Kim HY, Lee SH, Hwang IG, Shin YS, Lee JS, Jeong HS. 2011.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eoduk (Codonopsis lanceolata) and doragi (Platycodon grandiflorum) according to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798-803. 

  16. Kim MJ, Kim IJ, Nam SY, Lee CH, Yun T, Song BH. 2006. Effect of drying methods on content of active compon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color values of Saururus chinensis Bai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8-13. 

  17. Kim YD, Jeong MH, Koo IR, Cho IK, Kwak SH, Kim BE, Kim KM. 2006. Chemical composition of Prunus mume flower varieties and drying method. Korean J Food Preserv 13: 186-191. 

  18. Ye EJ, Bae MJ. 2010. Comparison of components between mulberry leaf tea and fermented mulberry leaf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421-427. 

  19. Choi OJ, Rhee HJ, Choi KH.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Korean wild tea extract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48-157. 

  20. Park SY, Lee SJ. 2011. The analysis of the physiologic activities of the Jeju teas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al degree. Korean J Plant Res 24: 236-242. 

  21.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Yang M, Catherine RE.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2.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J Biochem 47: 469-474. 

  23. Chu HN, Kim JS, Kim KO, Jeong JK. 2012. Effect of functional compon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astrodiae Rhizoma by different drying condition. Kor J Herbology 27: 139-145. 

  24. Kwon OC, Woo KS, Kim TM, Kim DJ, Hong JT, Jeong HS.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31-336. 

  25. Jang EK, Seo JH, Lee SP. 2008.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43-448. 

  26. Jeong JS, Kim YJ, Choi BR, Go GB, Son BG, Gang SW, Moon SM. 2014. Antioxidant and physicochemical changes in Salvia plebeia R. Br. after hot-air drying and blanch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893-900. 

  27. Huang D, Ou B, Prior RL. 2005.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ic Food Chem 53: 1841-1856. 

  28. Jo HJ, Kim JW, Yoon JA, Kim KI, Chung KH, Song BC, An JH. 2014. Antioxidant activities of amaranth (Amaranthus spp. L.) flower extracts. Korean J Food & Nutr 27: 175-182. 

  29. Rhim TJ, Choi MY, Park HJ. 2012. Antioxidative activity of Rumex crispus L. extract. Korean J Plant Res 25: 568-577. 

  30. Lee YS, Ahn DS, Joo EY, Kim NW. 2009.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yneilesis palmat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71-1477. 

  31. Chen L, Yang X, Park JI, Shen S, Wang Y. 2001. Mechanism for free radicals scavenging activity of green tea catechins. The 6th International Green Tea Symposium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p 121-1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