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영재학교에서의 AP(Advanced Placement)의 경험과 의미: 대학생이 된 영재학교 졸업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Experiences and Meaning of AP (Advanced Placement) at the Specialized Schools for the Highly Gif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AP Participan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4 no.6, 2014년, pp.1001 - 1024  

한기순 (인천대학교) ,  최호성 (경남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에서 AP(Advanced Placement)를 경험하고 현재 대학생이 된 39명의 영재고 졸업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영재학교에서 운영 중인 AP의 운영실제 및 그 의미를 탐색하고 2015년부터 과학고로의 전면적 확대를 앞두고 있는 AP의 향후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현재 영재학교 학생들은 기초필수와 선택과목 등으로 평균 8과목 이상의 AP 과목을 수강하고 있었다. AP 교과목의 경우, 대개는 영재학교 2학년부터 수강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PT(placement test)를 통해 1학년 때부터 AP과목을 수강하는 경우도 있었다. AP로 제공되는 선택과목들은 전공별로 차이가 있어 수학 교과에서는 비교적 많은 전공 선택 과목이 제공되고 있으나 생물이나 전산 교과등을 이수하려는 학생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선택의 폭이 적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에 의하면 영재학교에서의 AP는 오히려 대학에서의 수업보다 내용상 더 어려웠으며 소수인원으로 진행되는 만큼 활발한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함께 충실하게 운영되었다. 하지만 AP 과목의 이수 인정 학점인 C+의 타당성과 관련해서는 상이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AP로 단축된 시간을 다양한 측면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AP가 0.5년에서 1.5년의 조기졸업을 위한 통로로도 활용되어지지만, 학생들은 AP로 단축된 시간을 복수전공, 부전공, 해외 교환학생 등과 같이 다양한 기회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남학생들의 경우 AP로 인해 단축된 시간이 있어 군복무 기간에 대해 다소 부담감을 덜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AP가 학생 개개인 관심사나 연구를 위한 시간적 여유를 제공해주기도 하였으며, 무엇보다 AP를 통해 고등학교에서 보다 진지하게 진로를 탐색하고 경험할 수 있는 유용한 시간이었다고 학생들은 지적한다.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에서 AP 과정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더욱 확대 발전하기 위해서 학교-대학 간의 보다 원활한 행정시스템 개선, AP 과목 인정 대학의 확대 등을 포함한 몇 가지 현실적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 of the AP (Advanced Placement) at the specialized school for the highly gif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39 college students who had graduated from the specialized schools with the AP experiences. It is expected that the A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UP란 무엇인가? 유사한 맥락에서 현재 서울대, 부산대, 숙명여대, 전남대, 강원대, 경희대, 제주대 등을 포함한 전국의 많은 대학에서 UP(University-level Program)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미국의 AP(Advanced Placement), 영국의 A-Level, 국제통용제도로는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를 기반으로 우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학과목 선이수학점제이다(e-리포트, 2012. 2월 19일자).
AP제도란? AP(Advanced Placement)제도는 대학의 교과목을 고교나 대학에서 미리 이수하고 이를 대학의 학점으로 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영재교육의 대표적인 속진 교육 프로그램이다. 이는 무엇보다 우수한 고등학생들에게 학문적 도전과 성취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미국을 비롯한 선진 각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도이다.
UP는 어떤 어려움들을 겪는가? 하지만 이러한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대학에서 UP 운영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박선미 외, 2008). UP 이수가 대학입시로 연결되지 않는 상황에서 학생모집의 어려움, 고등학교와 대학에서의 홍보부족, 방학을 이용한 3주간의 짧은 기간 동안의 수업 운영으로 효율성 및 효과성의 문제, 다양한 고등학교로 부터 온 UP 수강 학생들 간의 커다란 수준차로 인한 실제 수업 진행의 어려움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어 오고 있는 상황이다. 지나치게 자연계열 중심으로 운영이 되어 인문사회 계열 전공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는 수강이 제한적이라는 지적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강익수, 홍후조, 성열관(2006). 우수 고교생의 대학진학준비 교육과정으로서의 AP와 IB의 비교 연구. 비교교육연구, 16(4), 207-235. 

  2. 김하석(2004). 대입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AP제도의 도입과 대학입시. 공학교육, 11(4). 12-15. 

  3. 박선미, 김경대, 김훈, 이태상(2008). 대학과목선이수제 운영체제 실태분석 및 개성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RR-2008028-310. 

  4. 박선미, 김경대, 김훈, 이태상(2011). 국내.외 대학과목선이수제 실태비교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RR-2011-4-351. 

  5. 연합신문 2013. 11. 21일자 기사: 과학고에서 대학 학점 취득한다. AP과정 확대. 

  6. 오성근, 김홍원(2011). 고교수준의 대학과목선이수제(UP) 설치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CR2011-30. 

  7. e-리포트 2012. 2. 19일자 기사: 대학과목선이수제의 한계. 

  8. 정현철(2012).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학영재학교 AP과정 운영방안 연구 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단. RR 2012-11. 

  9. 한국경제신문 2013. 11. 21일자 기사: 과학고도 대학과목 선이수제 적용. 

  10. 한기순(2013). 피로사회 속 영재와 영재교육에 관한 담론. 영재교육연구, 23(6). 965-979. 

  11. Cross, T., Stewart, R., & Coleman, L.(2003). Phenomen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gifted studies research.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6(3), 201-220. 

  12. Herzog, N.(2003). Impact of gifted programs from the students'perspectives. Gifted Child Quarterly, 47(2), 131-143. 

  13. Mendaglio, S.(2003). Qualitative case study in gifted education.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6(3), 163-183. 

  14. Neumeister, K., & Hebert, T.(2003). Underachievement versus selective achievement.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6(3), 221-238. 

  15. Peine, M.(2003). Doing grounded theory research with gifted student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6(3), 184-200. 

  16. Witz, K. G., Goodwin, D. R., Hart, R. S., & Thomas, H. S.(2001). An essentialist methodology in education-related research using in-depth interviews.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3(2), 195-227. 

  17. Woods, P.(1996). Critical students: Breakthroughs in learning. In P. Woods (Ed.), Contemporary issues in teaching and learning. London: Routled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