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4 no.6, 2014년, pp.1039 - 1051
This study aims to measure intelligence (cognitive characteristics), self-esteem, mathematical attitudes, and scientific attitudes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147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of ele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영재의 정의는 무엇인가? | 우리나라에서 영재를 법적으로 정의하기로는 “재능이 뛰어난 사람으로서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하여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자”(영재교육진흥법. 2011)로 하고 있다. | |
다양한 교육적 경험을 통해 영재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풍부한 환경의 조성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영재성은 유전적 요인만이 아니라 개인이 처해있는 환경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며, 환경은 개인의 신체적 ․ 사회적 ․ 정서적 특성뿐만 아니라 지적 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Kagan & Havreven, 1978). 따라서 다양한 교육적 경험을 통해 영재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풍부한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 |
소외계층 영재의 의미는 무엇인가? | 소외계층 영재는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은 가정의 학생, 다문화 가정의 학생, 지리적으로 영재교육 접근성이 제한된 도서, 벽지의 학생, 장애가 있는 학생, 북한 이탈주민, 특정 영역에서 수혜가 부진한 학생들로 영재교육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있는 계층”을 의미한다(제2차 영재교육진흥 종합계획). |
김동일 (1999). 학습부진 영재아동. 서울 : 원미사.
김미숙, 조석희, 윤초희, 진석언 (2004). 중학생 영재의 지적.정의적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탐색.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혜숙 (2009). 소외계층 영재교육연구를 위한 소고-영재교육프로그램의 과제. 창의력교육연구, 9(2), 127-143.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18(3), 357-369.
김효남, 명전옥 (2009). 예비초등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의 상관관계. 교육과학연구, 40(2), 29-50.
김흥원, 윤초희, 윤여홍, 김현철 (2003). 초등 영재학생의 지적.정의적 행동 특성 및 지도방안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박숙희 (2009). 소외계층 영재교육. 영재와 영재교육, 8(3), 5-21.
교육과학기술부 (2008).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 2008.10.
교육과학기술부 (2011). 영재교육진흥법. 2011.7.
우요한 (2014). 로슨의 과학 창의성 프로그램인 SCP가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이호선 (2004). 초등학교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에 따른 아동의 자아효능감 변화.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임호찬 (2004). 한국판 레이븐 지능검사(K-Raven). 한국가이던스.
전인옥 (1996).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인과모형 탐색-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교육신념과 양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양육행동의 영향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19(1). 169-187.
최보가, 전귀연 (1993).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2). 41-54.
최윤석 (2004). 초등 수학에서 문제 만들기를 적용한 수업이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하종덕, 문정화 (2011). 소외계층 영재의 영재교육서비스 만족도 및 자아효능감. 창의력교육연구 11(2). 87-105.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35-453.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 Basic Books.
Kagan, J. & Havrenen. K. K. (1978). The family. New York: Norton. co.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A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 180-184.
Weels, L.E. & Marwell, G(1976). Self-esteem: Its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Sage Library of Social Research, (20). Beverly Hills, Calif: Sage Publications.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