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성별과 놀이상황 유형별 평균발화길이와 어휘다양도
Analysis on Preschoolers' Mean Length of Utterance and Type-Token Ratio by their Sex and Play Situation Typ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6, 2014년, pp.43 - 56  

성미영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  장문수 (서경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자발적인 발화를 통해 유아의 구어 발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놀이상황 유형별 구어 발화 자료를 수집하고, 구어 발화의 특성을 어절, 단어, 형태소 단위 평균발화길이와 어휘다양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5세 유아 32명을 대상으로 또래와의 친숙한 놀이상황 및 낯선 놀이상황에서의 대화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언어자료는 CSB(2014) 프로그램에 의해 전사 및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숙한 놀이상황에서 여아의 어절, 단어, 형태소 단위 평균발화길이는 남아보다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단어 단위 평균발화길이는 친숙한 놀이상황보다 낯선 놀이상황에서 더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휘다양도도 친숙한 놀이상황보다 낯선 놀이상황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유아의 자발적 발화 수집, 전사 및 분석프로그램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한 후 향후 과제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preschoolers' utterance features by their gender and play situation type.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0 5-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yad were participated in each play session during 10 minutes. The play session was 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한국어 발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이들의 언어자료를 수집하여 어절, 단어, 형태소 단위 발화를 일반가정 유아와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유아의 구어 발화 특성과 일반가정 유아의 구어 발화 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가정 유아의 한국어 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 발화와 달리 분석과 접근에 한계가 있었던 유아의 발화에 보다 정밀하게 접근하여 문법적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향후 그 활용방안을 모색해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성별과 놀이상황 유형에 따라 유아의 구어 발화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구어 발달 특성이 놀이상황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놀이상황의 유형을 친숙한 놀이상황과 낯선 놀이상황으로 구분하였다. 친숙한 상황은 유아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경험하는 상황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점심식사하기 상황을 친숙한 상황으로 선정하였다.
  • 어휘다양도는 언어의 구성요소 중 의미론에 해당하는 지표로 유아의 표현 언어발달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진다(Hess, Haug, & Landry, 1989; Hess, Ritchie, & Landry, 1984; Hess, Sefton, & Landry, 1986). 어휘다양도는 평균발화길이와 더불어 유아의 구어 발달 특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료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5세 유아의 어휘다양도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 이로 인해 전사 작업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시 형태소 분석을 실시해야 한다는 점에서 유아의 구어 발달 연구에 방법론적인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유아의 구어 발화를 전사하고 분석하기 위해 CSB를 활용함으로써 이러한 방법론적 측면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였다. CSB는 전사와 동시에 전사된 텍스트를 분석하는 분석 도구 역할을 담당한다.
  • 친숙한 놀이상황은 유아가 일상적으로 자주 경험하는 상황으로 이러한 상황에서는 친숙함으로 인해 대화가 보다 활발하게 진행되는 반면, 낯선 상황은 유아가 일상적으로 자주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이러한 상황에서는 친숙하지 않아서 대화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놀이상황의 차이로 인해 유아의 구어 발화 특성에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놀이상황 유형을 친숙한 놀이상황과 낯선 놀이상황으로 구분하고 놀이상황 유형별로 유아의 어절 단위, 단어 단위, 형태소 단위의 평균발화길이와 어휘다양도의 차이 여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구어 발화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 그런데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의 자발화를 수집하는 경우 성인인 부모에 의해 유아의 발화가 유도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으며, 또래와의 자유로운 대화는 놀이상황에서의 발화가 아니었다는 점, 자유놀이의 경우 성인 연구자와 아동 간의 놀이였다는 점 등에서 선행연구의 자발화 수집 방식이 최적의 자발화를 수집하는 방식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평균발화길이와 어휘다양도를 측정하기 위해 유아와 유아 간 놀이상황에서의 대화를 통해 자발화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수집 방식은 성인에 의해 유도된 발화를 배제시킬 수 있으며, 유아의 경우 놀이상황이 언어적 상호작용을 가장 활발하게 보여주는 상황에 해당하므로 동성 또래와의 놀이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의 자발화를 수집하였다는 점이 선행연구와의 차별적인 측면이다.
  • 이처럼 평균발화길이는 단위의 기준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고, 각 유형을 통해 알 수 있는 언어능력에 차이가 있으므로 유아의 구어 발화 특성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유형별 자료를 함께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평균발화 길이를 형태소 단위, 단어 단위, 어절 단위로 구분하여 유아의 구어 발화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자발적인 발화를 통해 유아의 구어 발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놀이상황별 구어 발화 자료를 수집하고, 이러한 구어 발화의 특성을 어절 단위, 단어 단위, 형태소 단위 평균발화길이와 어휘다양도를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 어휘다양도의 경우(정분선, 권도하, 2000)에는 연령차는 확인되었으나, 성차에 대한 연구는 거의 시도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평균발화길이나 어휘다양도의 연령차는 어느 정도 일관되게 나타난 반면, 성차의 경우에는 연구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거나 확인되지 않아서 본 연구에서는 5세의 단일 연령 유아를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평균발화길이와 어휘다양도의 차이 여부를 다시 한 번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가 산출한 자발화는 어디에 활용되는가? 유아의 언어발달을 실제 상황에서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은 유아가 자발적으로 산출한 발화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처럼 유아가 산출한 자발화(spontaneous utterance)는 일반적으로 음운론, 의미론, 형태론, 통사론, 화용론으로 구분되는 언어의 하위영역별 발달수준을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 예를 들어, 형태론과 통사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구어 발화 특성은 평균발화길이가 대표적이고, 의미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구어 발화 특성은 총 단어 수, 서로 다른 단어 수, 어휘다양도가 대표적이다.
유아의 발화 표본을 수집하는 방식은 크게 자발적 발화의 수집과 유도된 발화의 수집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는가? 유아의 발화 표본을 수집하는 방식은 크게 자발적 발화의 수집과 유도된 발화의 수집으로 그 방식을 구분해 볼 수 있다. 자발적 발화는 유아의 일상생활이나 놀이상황 등을 통해 수집된 발화 표본을 의미하며, 유도된 발화는 일정한 상황을 구조화시켜 수집된 발화 표본을 의미한다(Miller, 1981). 유아의 발화 수집 방식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자발적인 발화 수집 방식과 유도된 발화 수집 방식을 비교한 연구(정분선, 권도하, 2000; Evans & Craig, 1992), 자발적 발화 수집 방식을 세분화하여 비교한 연구(김성수, 이상경, 2008)를 위주로 진행되었다.
유아의 언어발달을 실제 상황에서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은? 유아의 언어발달을 실제 상황에서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은 유아가 자발적으로 산출한 발화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처럼 유아가 산출한 자발화(spontaneous utterance)는 일반적으로 음운론, 의미론, 형태론, 통사론, 화용론으로 구분되는 언어의 하위영역별 발달수준을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곽선동, 장문수 (2014). CosmoScriBe 2.0: 한국어 전사 도구의 개발.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24(3), 323-329. 

  2. 김성수, 이상경 (2008). 자발적 발화 표본 수집 방식으로서의 대화, 자유놀이 및 이야기 비교. 언어청각장애연구, 13(1), 44-62. 

  3. 김영태 (1997). 한국 2-4세 아동의 발화길이에 관한 기초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2, 5-26. 

  4. 김태경, 이필영, 장경희 (2006). 연령 및 성별 변인과 MLU의 상관관계 연구. 국제어문, 38, 107-124. 

  5. 김희진 (2014). 만 2세 영아의 어머니가 가상/역할 놀이와 책읽기 맥락에서 사용하는 정신 상태 용어.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2), 133-151. 

  6. 박혜원, 이국희, 조증열 (2012).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 및 언어입력과 영유아의 언어발달과의 관계: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비교. 한국생활과학회지, 21(3), 439-451. 

  7. 배소영 (2001). 언어발달. 이승환 저. 의사소통장애개론. 서울: 하나의학사. 

  8. 윤미선, 김수진, 김정미, 장문수, 차재은 (2013). 평균발화길이 분석을 위한 발화 표본의 크기. 언어청각장애연구, 18(4), 368-378. 

  9. 이현정, 박창일, 박은숙, 김향희 (2003). 아동의 구문발달에 따른 용언의 발달. 언어청각장애연구, 8(1), 20-40. 

  10. 장문수 (2011). 한국어 전사 지원 도구 Ver.1.0 개발. 제2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한국언어치료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2-34. 

  11. 정분선, 권도하 (2000). 언어샘플 수집 방법 간 평균발화길이와 어휘다양도에 관한 비교 연구. 언어치료연구, 9, 1-25. 

  12. 정서영, 원동진, 장문수 (2012). 전사 지원 도구를 위한 사용자 경험에 대한 고찰.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22(1), 40-41. 

  13. 정윤희 (2013). 나사렛말뭉치 자료와 분석 방법에 따른 2, 3, 4세 일반아동의 평균발화길이.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Barnes, L. (2010). Relational variables for predicting child language development from language transcripts.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Social Science, 1(2), 8-14. 

  15. Bornstein, M. H., & Haynes, O. N. (1998). Vocabulary competence i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latent construct, and predictive validity. Child Development, 69(6), 2910-2929. 

  16. Brown, R. (1973). A first language: The early stag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7. Choi, S. (2000). Caregiver input in English and Korean: Use of nouns and verbs in book-reading and toy-play contexts. Journal of Child Language, 27(1), 69-96. 

  18. Dethorne, L. S., Johnson, B. W., & Loeb, J. W. (2005). A close look at MLU: What does it really measure? Clinical Linguistics & Phonetics, 19(8), 635-648. 

  19. Evans, J., & Craig, H. (1992). Language sample collection and analysis: Interview compared to free play assessment contex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5(2), 343-353. 

  20. Halpern, D. F. (2004). A cognitive-process taxonomy for sex differences in cognitive abilitie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3, 135-139. 

  21. Hess, C., Haug, H., & Landry, R. (1989). The reliability of type-token ratios for the oral language of school age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2, 536-540. 

  22. Hess, C., Ritchie, K., & Landry, R. (1984). The type-token ratio and vocabulary performance. Psychological Reports, 55(1), 51-57. 

  23. Hess, C., Sefton, K., & Landry, R. (1986). Sample size and type-token ratios for oral language of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29(1), 129-134. 

  24. Hoff-Ginsberg, E. (1998). The relation of birth order and socioeconomic status to children's language experience and language development. Applied Psycholinguistics, 19(4), 603-629. 

  25. Kwak, S. D., & Chang, M. S. (2012). Development of transcription tools that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vergence and Hybrid Information Technology, 294-299. 

  26. Lips, H. M. (2006). A new psychology of women: Gender, culture, and ethnicity (3rd ed.). New York, NY: McGraw-Hill. 

  27. McCabe, J., Jenkins, J., Mills, P., Dale, P., Cole, K., & Pepler, L. (1996). Effects of play group variables on language use by pre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20(4), 329-340. 

  28. Miller, J. F. (1981). Assessing language production in children. Baltimore, MD: University Park Press. 

  29. Miller, J. F., & Chapman, R. S. (1981). The relation between age and mean length of utterance in morpheme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4(2), 154-161. 

  30. Ogura, T., Dale, P., Yamashita, Y., Murase, T., & Mahieu, A. (2006). The use of nouns and verbs by Japanese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in book-reading and toy-playing contexts. Journal of Child Language, 33(1), 1-29. 

  31. Retherford, K. (1993). Guide to analysis of language transcripts (2nd ed.). Eau Claire, WI: Thinking Publications. 

  32. Song, L., Spier, E. T., & Tamis-Lemonda, C. S. (2014). Reciprocal influences between maternal language and children's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low-income families. Journal of Child Language, 41(2), 305-326. 

  33. Wanska, S. K., Bedrosian, J. L., & Pohlman, J. C. (1986). Effects of play materials on the topic performance of preschool children.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17(3), 152-159. 

  34. Wanska, S. K., Pohlman, J. C., & Bedrosian, J. L. (1989). Topic maintenance in preschoolers' conversation in three play situa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4(3), 393-402. 

  35. Watkins, R., Kelly, D., & Harbers, H. (1995). Measuring children's lexical diversity: Differentiating typical and impaired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8(6), 1349-1355. 

  36. Wicks-Nelson, R., & Israel, A. C. (2006). Behavior disorders of childhood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37. Wieczorek, R. (2010). Using MLU to study early language development. Psychology of Communication, 14(2), 59-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