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상기준점측량 적용을 위한 Network-RTK 측량 정확도 평가
Evaluation of Network-RTK Survey Accuracy for Applying to Ground Control Points Survey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2 no.4, 2014년, pp.127 - 133  

김광배 (군산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창경 (군산대학교 토목공학과) ,  안성 (군산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7년 이래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Network-RTK(VRS) 측량을 항공사진도화에 필요한 지상기준점측량에 적용하기 위하여 그 정확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세계측지계(ITRF2000)에 근거하여 국가기준점을 고정한 상대측위방식 Static GNSS 측량으로 지상기준점(GCP)을 측정하여 이를 정확값으로 간주하였다. 2종의 Network-RTK 수신기를 이용하여 동일 지상기준점의 위치를 구한 후, 좌표변환지오이드 모델을 적용하여 세계측지계 좌표로 변환하였다. Static GNSS 측량과 2종의 Network-RTK 측량에 의한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GCP 위치좌표의 평균제곱근오차는 평면에서 ${\pm}2.0cm$, 표고에서 ${\pm}7.0cm$ 이었다. 즉, 지상기준점측량에서 GPS 수신기 1세트로 짧은 시간 관측할 수 있는 Network-RTK 측량은 GNSS 수신기 2세트 이상을 필요로 하는 RTK 측량이나 GNSS 수신기 2세트 이상으로 장시간의 관측이 필요한 Static GNSS 측량의 실용적인 대안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Network-RTK(VRS) survey for applying to Ground Control Points(GCPs) survey required for mapping aerial photographs. Network-RTK has been servic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since 2007. On the basis of the global coordinate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과거 여러 시기에 촬영한 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안선(충청남도 태안군 안면도 백사장 해수욕장) 변화조사의 일환이다. Static GNSS 측량과 NetworkRTK 측량으로 GCP의 평면좌표 및 표고를 구하여 Network-RTK 측량의 정확도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Network-RTK 측량의 항공사진 지상기준점 측량 적용 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과거 여러 시기에 촬영한 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안선(충청남도 태안군 안면도 백사장 해수욕장) 변화조사의 일환이다. Static GNSS 측량과 NetworkRTK 측량으로 GCP의 평면좌표 및 표고를 구하여 Network-RTK 측량의 정확도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Network-RTK 측량의 항공사진 지상기준점 측량 적용 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54)를 이용하여 한국측지계 기준 평면직각좌표를 ITRF2000 평면직각좌표로 변환하였다. 그 과정은 Fig. 2와 같으며, 측점의 경위도좌표를 3차원직각좌표로 변환할 때에 측점이 기준타원체면상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ITRF2000 경위도좌표를 TM투영하여 평면직각좌표를 계산할 때에는 2009년 12월 14일 이후 우리나라 평면직각좌표계의 원점 좌표가 x=500,000m, y=200,000m에서 x=600,000m, y=200,000m로 변경되었으므로 이를 고려하였다. 한편 표고는 좌표변환에 관계없이 동일한 값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NSS측량은 각 기준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측량은 관측소요시간에 따라 정지(static) 또는 이동(kinematic) 측량, 기준점을 이용한 오차보정에 따라 단독측위와 상대측위, 관측자료처리 시점에 따라 후처리방식 또는 실시간처리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동측량, 상대측위와 실시간처리방식의 조합인 RTK(Real Time Kinematic) 측량은 기준국(reference station)에서 반송파 위상에 대한 보정값을 실시간으로 이동국(rover)에 송신하고, 이동국에서 관측값과 기준국의 보정값을 조합하여 실시간에 cm 수준의 정확도로 위치를 결정한다.
RTK측량시 기선길이를 10∼15km로 제한하는 이유는? 이동측량, 상대측위와 실시간처리방식의 조합인 RTK(Real Time Kinematic) 측량은 기준국(reference station)에서 반송파 위상에 대한 보정값을 실시간으로 이동국(rover)에 송신하고, 이동국에서 관측값과 기준국의 보정값을 조합하여 실시간에 cm 수준의 정확도로 위치를 결정한다. 그러나 기준국과 이동국의 기선길이가 길어질수록 대기효과로 인해 정오차의 상관관계가 저하되기 때문에 기선길이를 10∼15km로 제한하고 있다(Landau et al., 2002; Wanninger, 2003).
Network-RTK(VRS) 측량이란 무엇인가? , 2002; Wanninger, 2003).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입된 Network-RTK(VRS) 측량(이하 Network-RTK 측량)은 임의의 이동국 주변(통상 100m이내)에 가상기준점을 생성하고, GNSS 상시관측소(CORS: 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tation)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계산된 보정값으로부터 가상기준점의 위치를 계산하고, 이 가상기준점과 이동국의 상대측위를 통하여 이동국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이다(NGII, 2003a). 우리나라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현재 53개 GNSS 상시관측소를 node로 하여 1,000명이 동시 이용할 수 있는 ‘Network RTK 실시간 정밀 GNSS 측량 서비스’ 서버(vrs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adekas, J., 1969, Investigation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world geodetic system. Report No. 124, Department of Geodetic Science, Ohio State University, pp. 12-30. 

  2. Choi, H., and Kim, K., 2012, Accuracy analysis of cadastral control points surveying using VRS case by Jinju city par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0, No. 4, pp. 413-422. 

  3. Han, J., Kwon, J., and Hong, C., 2010, Analysis of Network-RTK(VRS) positioning accuracy for surveying public control poi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8, No. 2, pp. 13-20. 

  4. Kim, H., Yu, G., Park, K., and Ha, J., 2008, Accuracy evaluation of VRS RTK surveys inside the GPS CORS network operat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6, No. 2, pp. 139-147. 

  5. Kim, M., and Park, J., 2013, Accuracy evaluation of internet RTK GPS by satellite signal reception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1, No. 4, pp. 277-283. 

  6. Landau, H., Vollath, U., and Chen, X., 2002, Virtual reference station systems, Journal of Global Positioning Systems, Vol. 1, No. 2, pp. 137-143. 

  7. Lee, C., Yun, K., and Kim, B., 2012, GCP survey plan and results for investigation of shoreline change in Kkotji beach using aerial photographs, Proc. of the 2012 Autumn Meeting,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November 1-2, Yeosu, p. 203. 

  8. Lee, S., 2013, Accuracy evaluation of the height determined by Network-RTK VRS positio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1, No. 4, pp. 55-63. 

  9. NGII, 2003a,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virtual reference system, NGII Publication No. 11-1500714-000007-01-20031231,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Suwon, pp. 1-2. 

  10. NGII, 2003b, Development of coordinate transformation tool for existing digital map (II), NGII Publication No. 11-1500148-000024-14,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Suwon, pp. 33-40. 

  11. NGII, 2013a, Development of national geoid model(2nd year), NGII Publication No. 11-1613436-000018-01,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Suwon. 

  12. NGII, 2013b, Aerial photogrammetry work regulation, NGII Notification No. 2013-2236, pp. 43-44. 

  13. No, S., Han, J., and Kwon, J., 2012, Accuracy analysis of Network-RTK(VRS) for real time kinematic positio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0, No. 4, pp. 389-396. 

  14. Wanninger, L., 2003, GPS on the web: virtual reference stations (VRS), GPS Solutions, Vol. 7, No. 2, pp. 143-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