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 초기 자녀의 부모용 양육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arenting Behavior Scale for Parents of Early School-Age Children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5 no.6, 2014년, pp.111 - 133  

이선희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도현심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a parenting behavior scale for parents of school-age children and to analyze the scale in terms of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mothers of $1^{st}$ to 3rd grade students in four elementary schools loc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점점 더 강조되는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고려해 볼 때 후속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의 범위를 넓혀 아버지도 포함함으로써 어머니를 조사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본 척도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만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수렴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수렴타당도의 기본 개념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양육행동 척도와 유사한 요인들로 구성된 타 양육행동 척도와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이와 같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부정적 양육행동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임으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한 양육행동 척도의 수렴타당도가 확보되었다. 교차타당도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양육행동 척도가 본 연구대상과 사회인구학적 배경이 유사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의 부모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검증하였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양육행동 척도의 하위요인들이 온정, 논리적 설명, 개입, 강압, 방임의 다섯 가지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 아동의 사회적 능력은 부모의 양육행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변인으로,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높은 사회적 유능성과 관련되나(예: Choi, 2005; Ko, 2008; Laible & Carlo, 2004 등), 부모의 부정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낮은 사회적 능력과 관련되는 것으로(예: Grolnick, 2003; Kim & Kim, 2005; Song, 2005 등)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양육행동 척도의 수렴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 척도는 사교성(Outgoing)(3문항), 인기도/지도력(Popularity/Leadership)(8문항), 대인적응성(Interpersonal Adjustment) (6문항), 사회적 참여(Social Participation)(5문항)의 네 가지 하위요인을 포함하는 총 22문항으로 구성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자녀의 부모용 양육행동 척도가 매우 드물어 학령 초기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유아기 자녀나 학령 후기 자녀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측정도구를 그대로 사용하여 양육행동을 측정해 오고 있다(Kim & Chang, 2013; Oh, 200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령 초기의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 척도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의 주목적은 학령 초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된 양육행동 척도의 타당도는 수렴타당도와 교차타당도를 통해 검증되었다.
  • 양육행동 척도의 요인구조를 파악한 결과, 고유값(eigen value), 스크리 검사 등에 의해 요인구조의 의미를 해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요인의 수를 정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연구자가 추측한 요인의 수를 지정하여 요인분석을 할 수 있다는 점(Tak, 2007)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가정한 하위 구성개념의 수에 기초하여 4~6개의 요인수를 지정하여 요인구조에 대한 해석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요인수를 4개로 지정하였을 경우, 이론적으로 다른 두 개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요인에 같이 묶여 요인을 명확하게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 교차타당도와 관련하여, 연구자들은 개발된 척도를 다른 집단에게 적용했을 때에도 동일한 구성요인이 도출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이를 검증하였다(예: Choi, 2007; Huh, 2004).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의 수렴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교차타당도도 검증하였다.
  • 또한, 개발된 척도의 타당성은 각 잠재변인간의 어느 정도 높지도 낮지도 않은 상관관계가 있어야 하고, 그 상관정도는 척도의 타당성을 보여주는 한 지표가 될 수 있다(Tak, 2007). 이와 관련하여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구성요인들간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았다[Table 3]. 그 결과, 잠재변인 간 상관관계는 .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양육행동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Doh(1994)의 아동의 사회적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두 척도의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를 산출함으로써 수렴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가 다른 집단에서도 적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교차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가설 설정

  • 방임은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저해하는 부정적 양육행동으로서(Chang, 2014; Hwang & Lee, 2010; Peterson & Durfee, 2003), 현대 우리사회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아동학대의 일부라는 점(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Oh, 2011)에서 보다 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는 양육행동 요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을 기초로 부모의 양육행동을 온정, 통제, 그리고 방임의 크게 세 가지 차원을 중심으로 하되, 통제의 개념을 논리적 설명, 개입, 강압으로 세분화하여, 긍정적 양육행동으로서의 온정 및 논리적 설명과, 부정적 양육행동으로서의 개입, 강압 및 방임 등을 양육행동 척도의 기본 구성요인으로 가정하였다.
  • 앞서 기술하였듯이,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을 기초로 온정, 통제 그리고 방임이라는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의 양육행동 요인을 그 기본 틀로 가정하였다. 이 가운데 온정은 양육행동 척도 개발과 관련된 선행 연구결과들(Park, 1995; Park & Lee, 1990; Rohner, 1984; Schaefer, 1959)과 공통적으로 포함된 요인으로 그 의미도 매우 유사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정이란 무엇입니까? 온정은 긍정적 양육행동을 측정하는 차원으로, 부모가 자녀에게 애정과 관심을 보이며 자녀에 대해 칭찬, 격려 등의 강화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일관성 있게 정의되며, 양육행동의 단일구성요소로서 수용과 지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개념화된다(Crase, Clark, & Pease, 1978; Huh, 2004; Park, 1995; Park & Lee, 1990; Rohner, 1984; Shaefer, 1959). 수용은 애정, 돌봄, 그리고 자녀에게 표현하는 사랑으로, 뽀뽀하기, 안아주기, 쓰다듬어주기, 웃어주기와 같은 신체적 표현과 자녀가 좋아하는 노래를 불러주기, 칭찬하기, 이야기해주기와 같은 말로 표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용의 표현으로써 나타나는 종류는 무엇입니까? 온정은 긍정적 양육행동을 측정하는 차원으로, 부모가 자녀에게 애정과 관심을 보이며 자녀에 대해 칭찬, 격려 등의 강화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일관성 있게 정의되며, 양육행동의 단일구성요소로서 수용과 지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개념화된다(Crase, Clark, & Pease, 1978; Huh, 2004; Park, 1995; Park & Lee, 1990; Rohner, 1984; Shaefer, 1959). 수용은 애정, 돌봄, 그리고 자녀에게 표현하는 사랑으로, 뽀뽀하기, 안아주기, 쓰다듬어주기, 웃어주기와 같은 신체적 표현과 자녀가 좋아하는 노래를 불러주기, 칭찬하기, 이야기해주기와 같은 말로 표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수용은 자녀에게 사랑과 인정을 받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 부모의 행동으로 일상적이거나 의무적 행동이 아닌 자발성과 적극성이 가미된 것이다(Rohner, 1984).
양육행동의 구성요소로서 통제는 어떻게 세분화 됩니까? 따라서 양육행동의 구성요소로서 통제는 온정과 같이 단일차원으로 개념화하기 보다는 몇 가지 구성요소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통제의 정의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들은 논리적 설명과 같은 긍정적 측면과 개입(intrusiveness), 강압(coercion), 거부, 제한 등 부정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전자와 관련하여, 논리적 설명은 유도적 훈육(inductive discipline)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자녀에게 해서는 안 되는 일을 설명하는 가르침, 합리적 설명, 지도 등을 의미한다(Huh, 2004; Karreman, Tuijl, Aken, & Dekovic, 2008; Park, 2000; Park & Lee, 1990). 후자와 관련하여, 통제에는 지시․간섭과 같은 개입과 신체적 처벌과 같은 강압 등 크게 두 가지의미가 포함된다(Karreman et al., 2008; Patterson & Stouthamer-Loeber, 198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8)

  1. Arnold, D. S., O' Leary, S. G., Wolff, L. S., & Acker, M. M. (1993). The parenting scale: A measure of dysfunctional parenting in discipline situation. Psychological Assessment, 5, 137-144. 

  2.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67, 3296-3319. 

  3. Barber, B. K., Stoltz, H. E., & Olsen, J. A. (2005). Parental support,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Assessing relevance across time, culture, and method.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4(70, Serial No. 282). 

  4. Barnes, G. M., Reifman, A. S., Farrell, M. P., & Dintcheff, B. A. (2000). The effects of parenting on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 alcohol issues: A six-wave latent growth model.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2, 175-186. 

  5. Baruch, G., & Barnett, R. (1981). Competence-related behaviors of preschool girls. Genetic Psychology Monographs, 103, 79-103. 

  6. Becker, W. C. (1964). Consequences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In M. L. Hoffman & L. W. Hoffman (Eds),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Vol. 1. (pp. 169-208).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7. Berry, W. D., & Feldman, S. (1990). Multiple regression in practice. Newbury Park: Saga Publication. 

  8. Byrant, B., & Crockenberg, S. (1980). Correlates and dimensions of prosocial behavior: A study of female siblings with their mothers. Child Development, 51, 529-544. 

  9. Buri, J. B. (1991). Parental authority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7, 110-119. 

  10. Chae, H. J. (1993). The parents, children and professionals' perception on the concept of child abu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1. Chang, C. J. (2014). The effects of poverty and family structure to child's aggression: Focused on the mediator effects of neglect. Social Science Research, 30(2), 81-100. 

  12. Cho, B. H., Lee, J. S., Lee, H. S., & Kwon, H. K. (1999). Dimensions and assessment of Korea parenting styl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7(10), 123-133. 

  13. Cho, W. J., Bush, K. R., Xia, Y., Wilson, S. M., Li, W., & Peterson, G. W. (2014). Parental behaviors and adolescents' academic motivation at low, moderate, and high levels of students' achievement in mainland China.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4(2), 95-108. 

  14. Choi, I. J. (2007).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 version of parent-child relationship instrument.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5(2), 45-56. 

  15. Choi, S. J. (2005). The relationship of the rearing attitudes of parents and the sociomorality of children: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Jap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ukmin University, Seoul, Korea. 

  16. Cohen, J. (1990). Maternal involvement in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during middle childho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terloo, Ontario, Canada. 

  17. Crase, S. P., Clark, S. G., & Pease, D. (1978).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manual.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18. Dekovic, M., & Janssens, J. M. (1992). Parents' child-rearing style and child's sociometric status. Developmental Psychology, 28, 925-932. 

  19. DePanfilis, D., & Dubowitz, H. (2005). Family connections: A program for preventing child neglect. Child Maltreatment, 10, 108-123. 

  20. Doh, H. S. (1994). Social competence of kindergartners and sixth grades: Its relationships to parental attention, parental protectiveness, the children's sex, and their categ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1. Doh, H. S., Lee, H. S., Kim, S. H., Choi, M. K., Lee, S. R., & Kim, S. W. (2011). Human development and the family. Seoul: Kyomunsa. 

  22. Grolnick, W. S. (2003). The psychology of parental control: How well-meant parenting backfires. Mahwah, NJ: Erlbaum. 

  23. Hamner, T. J., & Turner, P. H. (2001). Parenting in contemporary society (4th). Boston, MA: Allyn and Bacon. 

  24. Hoffman, M. L., & Saltzstein, H. L. (1967). Parent discipline and the child's moral develop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 25-57. 

  25. Hong, K. O. (1994).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o mother of kindergarten children and their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their cognitive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2(4), 181-191. 

  26. Hwang, H. D., & Lee, J. S. (2010). The effects of parents' neglect behavior and children's irrational belief on children's anger expression styl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10), 77-88. 

  27. Huh, H. K., & Kim, H. S. (2004). Adolescent development psychology. Seoul: Hakjisa. 

  28. Huh, M. Y. (2004). A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ventory for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adolescent.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2(2), 170-189. 

  29. Hu, L., & Bentle,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1), 1-55. 

  30. Jung, E. Y. (2008). Development of an overprotection scale and study for valid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31. Karreman, A., Tuiji, C. V., Aken, M. A. G., & Dekovic, M. (2008). Parenting, coparenting, and effortful control in preschooler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2, 30-40. 

  32. Kim, E. K., Doh, H. S., Kim, M. J., & Park, B. K. (2007). Social competence: Its relationship to parents'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and emotion regula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8(3), 115-131. 

  33. Kim, H. J. (2001).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parenting style: Does gender socialization matter?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6(2), 81-95. 

  34. Kim, H. J., & Chang, Y. E. (2013). The effect of employed mothers's quality of multiple ro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up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2(4), 593-607. 

  35. Kim, H. M., & Doh, H. S. (2004). Maternal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5(6), 279-298. 

  36. Kim, K. J. (1985).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s and perceive parental attitudes on self-concep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3(2), 35-52. 

  37. Kim, K. Y., & Kim, K. Y. (2005). Variables related to children's withdrawal and aggression: Causal effects of rejection, victimization, and negative representation by parents and pe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6), 247-266. 

  38. Kim, K. S. (2007). Amos 16.0 Analysis of structure equation model. Seoul: Hannarae publishing. 

  39. Kim, S. H. (2008). The study on factors that affect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 for neglected children-focused on risk factor and protective fact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0. Kim, S. H. (201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erceived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scale: An application of self-determination theo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1. Ko, E. H. (2008).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young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 

  42. Laible, D. J., & Carlo, G. (2004). The differential relations of maternal and paternal support and control to adolescent social competence, selfworth, and sympathy.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9, 759-782. 

  43. Lee, H. J. (2011). The effects of preschooler's temperament, mother's personality and maternal involvement behaviors on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4. Lee, H. S., & Lim, J. H. (2008). Analysis of structure equation model and Amos 7.0. Paju: Bobmunsa. 

  45. Lee, M. J. (1998). A study on the behavioral inhibition of 3-year-old girls and its related variab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6. Lee, S. M. (2000). Foundation of factor analysis. Paju: Kyoyookbook. 

  47. Lee, S. Y. (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scale based on the enneagram persona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48. Lee, W. Y. (1983). The relationship of mother's educational views and child-rearing attitudes to child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9. Lee, Y. O. (2003).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linguistic control type and their perception of child-rearing attitud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50. Lim, J. H. (2003). The study on parenting adolescents in Kore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 parenting invent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51. Maccoby, E. E., & Martin, J. A. (1983).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Parent-child interaction. In P. H. Musse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4th ed.), vol. 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pp. 1-101). New York: Wiley. 

  52. Milton, G. A. (1958). A factor analytic study of child-rearing behaviors. Child Development, 29, 381-393. 

  5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 Book.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54. Oh, J. S. (2011). Study on actual condition of child abuse and improvement schemes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Korea. 

  55. Oh, S. Y. (2003). Psychological well being of children with working mother's depending on the type of after school care and parental attitud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man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56. Park, G. H.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eir children's personality struc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57. Park, H. J. (201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ysfunctional paren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58. Park, J. H. (2000). Children's peer competence in relation to maternal parenting goals, parenting behavior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59. Park, M. K. (2005). A study on risk factors by child neglect typ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60. Park, S. Y. (198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Maternal Behavior Inventor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7(4), 151-165. 

  61. Park, S. Y., & Lee, S. (1990).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Maternal Behavior Inventor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8(1), 141-156. 

  62. Park, Y. Y. (1995).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 children's sibling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elf-este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63. Parker, G., Tupling, H., & Brown, L. B. (1979). A parental bonding instrument.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52, 1-10. 

  64. Patterson, G. R. (1980). Mothers: The unacknowledged victims.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on the Child Development, 45, 1-64. 

  65. Patterson, G. R., & Stouthamer-Loeber, M. (1984). The correlation of family management practices and delinquence. Child Development, 55, 1299-1307. 

  66. Perry, D. G., & Bussey, K. (1984). Social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67. Peterson, M. S., & Durfee, M. (2003). Child abuse and neglect: Guidelines for identification, assessment, and case management. Volcano, CA: Volcano Press. 

  68. Putallaz, M. (1987). Maternal behavior and children's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58, 324-340. 

  69. Robinson, C. C., Mandleco, B., Olsen, S. F., & Hart, C. H. (1995). Authoritative,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practices: Development of a new measure. Psychological Reports, 77, 819-830. 

  70. Rohner, R. P. (1984). Handbook for the study of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New Haven, CT: Center for the study of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71. Rohner, R. P. (1991). The warmth dimension: Foundation of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theory. New York: Sage Publication. 

  72. Rohner, R. P., & Rohner, E. C. (1981).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arental control: Cross-cultural codes. Ethnology, 20, 245-260. 

  73. Rollins, B. C., & Thoman, D. L. (1979). Parental support, power, and control techniques in the socialization of children. In W. R. Burr, R. Hill, F. I. Nye & I. L. Reiss (Ed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Vol. 1. Research based theories (pp.317-364). New York: Free Press. 

  74. Schaefer, E. S. (1959). A circump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Social Psychology, 59, 226-235. 

  75. Schaefer, E. S. (1965a). Children's reports of parental behavior: An inventory. Child Development, 36, 413-424. 

  76. Schaefer, E. S. (1965b). A configurational analysis of children's reports of parent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9, 552-557. 

  77. Schaefer, E. S., Bell, R. Q., & Bailey, N. (1959). Development of a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95, 83-104. 

  78. Seo, Y. J., Doh, H. S., & Choi, M. K. (2007).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ts relations with their shyness and maternal involvement in children's peer relation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5), 239-248. 

  79. Siegelman, M. (1965). Evaluation of Bronfenbrenner's questionnaire for children concerning parental behavior. Child Development, 36, 163-174. 

  80. Song, J. Y. (1992). The development of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Korean version: Evaluation of the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31(5), 979-991. 

  81. Song, M. R.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negligence and children's ego resilience and adaptation to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82. Straus, M. A., Hamby, S. L., Boney-McCoy, S., & Sugarman, D. B. (1996).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s(CTS2): Developmental preliminary psychometric data. Journal of Family Issues, 17, 283-316. 

  83. Steinberg, L. (1990). Autonomy, conflict, and harmony in the family relationship. In S. S. Feldman & G. R. Elliot (Eds.).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pp.255-276).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84. Symonds, P. M. (1949). The dynamics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85.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7).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5th ed). Boston: Pearson Education. 

  86. Tak, J. K. (2007). Psychological testing. Seoul: Hakjisa. 

  87. Turner, P., & Harris, M. (1984). Parental attitudes and preschool children's social competenc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44, 105-113. 

  88. Yoon, S. K. (2004). Parenting styles, self-esteem, political efficacy, and collective social 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