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온정적 양육행동 및 통제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arm Parenting Behaviors and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2, 2020년, pp.161 - 178  

박남심 (수호천사공동직장어린이집) ,  송승민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엄희경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arm parenting behaviors and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Methods: A total of 1515 mothers of young children(780 boys, 735 girls), who had participated in wave 7 of...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단일 차원이 아닌 복합적으로 표현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온정적 양육행동과 통제적 양육행동을 병행하여 살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하고 있어(Aunola & Nurmi, 2005),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통제적 양육행동을 병행하여 매개 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다양한 양육행동을 조사하여 폭넓은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어머니와 유아기자녀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하지만 추후 연구에서는 종단연구를 할 수 있는 패널 자료를 통해 영아기 부터 유아기를 통해 아동기까지 사회적 유능감의 발달 변화에 대한 추적연구를 면밀히 검토하여 자녀의 발달 단계에서의 어머니 양육행동의 중요성을 폭넓게 이해하고 시기에 맞는 다양한 발달 지원이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 매개 변인의 효과를 볼 때 변인 간에 상관이 전제조건이나(Baron & Kenny, 1986), Hayes(2013)는 변인 간의 상관이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 아님을 이야기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Hayes(2013)의 제언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통제적 양육행동에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포함하여 특정 간접 매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온정적 양육행동과 통제적 양육행동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본 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온정적 양육행동과 통제적 양육행동이 어떠한 경로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때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고려하여 온정적 양육행동과 통제적 양육행동을 병행하여 살펴보고자 한다(Aunola & Nurmi, 2005).
  •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한국아동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때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고려하여 온정적 양육행동과 통제적 양육행동을 병행하여 살펴보고자 한다(Aunola & Nurmi, 2005). 즉,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온정적 양육행동 및 통제적 양육행동이 어떠한 경로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세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7)

  1. 권연희 (2010). 아동의 기질,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 정서표현 행동의 매개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61, 257-280. 

  2. 김기현, 강희경 (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3. 김계수 (2010). AMOS 18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4. 김대웅, 박윤현 (2018).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온정적 양육행동, 유아 전자매체 이용시간, 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 성별 다집단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3(6), 135-156. doi:10.20437/KOAECE23-6-06 

  5. 김미숙 (200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기와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소영 (2008).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모교육 요구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순이, 서호찬 (2016).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부모의 양육행동, 아동의 공감과 정서조절 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뇌교육연구, 18, 93-115. 

  8. 김현미, 도현심 (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9. 김현주 (2009). 학령후기 아동의 어머니 애착과 아버지 애착 및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남미예 (2017).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와 어머니의 취업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류관열 (201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 아동교육, 21(3), 231-240. 

  12. 류다형, 이순형 (2016). 농촌 지역 결혼이민자 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일반가정과 비교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1(2), 107-131. doi:10.20437/KOAECE21-2-05 

  13. 문혜련 (1999).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체계와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주연, 최영희, 황리라, 박남심 (2019). 어머니의 우울과 유아의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매개 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2(1), 1-19. doi:10.17641/KAPT.22.1.1 

  15. 배병렬 (2017). AMOS 24 구조방정식 모델링. 서울: 청람. 

  16. 서미옥 (2004). 한국판 취학 전 아동용 사회적 기술척도(K-SSRS: 교사 평정용, 부모 평정용)의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223-242. 

  17. 송민영 (2018).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가족 상호작용,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10(1), 139-162. 

  18. 송소아 (2019).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 및 유아의 학교 준비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송주연, 이선영 (2017). 또래 놀이 행동에 대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역할: 사회적 기술의 매개 효과. 유아교육연구, 37(5), 507-531. doi:10.18023/kjece.2017.37.5.022 

  20. 송지준 (2015).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경기도: 21세기사. 

  21. 신연희, 정현희, 최성열 (2010). 아동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아동교육, 19(3), 143-158. 

  22. 안지영 (2000).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양은호 (2012).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양혜련 (2000).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인기도와 사회적 문제해결행동.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옥경희 (2019). 부모의 양육행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연구. 인문사회21, 10(3), 603-616. doi:10.22143/HSS21.10.3.43 

  26. 이영미 (2009).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에 따른 남녀 유아의 자기조절. 가족과 문화, 21(4), 41-61. doi:10.21478/family.21.4.200912.003 

  27. 이인성, 이상희 (2009).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아동교육, 18(3), 177-189. 

  28. 이지영, 고보선, 최진아, 성지현 (2018). 어머니의 심리적 요인과 온정적 양육행동, 5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또래 놀이 행동 간의 구조모형 분석. 유아교육연구, 38(2), 501-527. doi:10.18023/kjece.2018.38.2.020 

  29. 이혜원, 양옥승 (2006).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평가척도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6(2), 69-92. 

  30. 이희연, 김경숙, 이미나 (2018). 어머니의 우울 수준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양육스트레스의 매개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4), 109-126. doi:10.22251/jlcci.2018.18.109 

  31. 임성실, 이정미, 김영희 (2010).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2), 143-157. 

  32. 임연진 (2002). 어머니의 양육 태도 및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 113-124. 

  33. 임현주 (2018). 유아 변인, 가족 간 상호작용, 양육 변인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1), 183-206. doi:10.22155/JFECE.25.1.183.206 

  34. 장명림, 신나리, 박수연 (2006). 아동 패널조사 모형개발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5. 장혜림 (2012). 빈곤 가정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과 영유아의 언어.사회성 발달 간 관계: 한부모 양육 태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3), 67-97. doi:10.16999/kasws.2012.43.3.67 

  36. 정순자 (2007).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장영애 (2005). 농촌 지역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취학전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6(2), 75-91. 

  38. 조복희, 이진숙, 이홍숙, 권희경 (1999). 한국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37(10), 123-133. 

  39. 조부월 (2009). 부모의 양육 태도 유형과 일치유형 및 일치 여부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비교.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4), 93-119. 

  40. 최옥주 (2016).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유아 사회성 간의 종단연구. 유아교육연구, 36(3), 127-149. doi:10.18023/kjece.2016.36.3.006 

  41. 최윤희, 문혁준 (2018).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7), 221-228. doi:10.5392/JKCA.2018.18.07.221 

  42. 하유미, 박성연 (2012). 어머니의 성인 애착, 부정 정서 및 정서조절 양식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9(2), 175-195. 

  43. 한준아 (2019).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 표현성,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3), 589-609. doi:10.22251/jlcci.2019.19.13.589 

  44.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7. 

  45. 홍종원, 최영희 (2015). 어머니의 양육 태도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관계연구. 상담심리교육복지, 2(2), 81-94. 

  46. Abidin, R. R. (1990).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e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4), 298-301. doi:10.1207/s15374424jccp1904_1 

  47. Anthony, L. G., Anthony, B. J., Glanvile, D. N., Naiman, D. Q., Waanders, C., & Shaffer, S. (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s in the classroom.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2), 133-154. doi:10.1002/icd.385 

  48. Arnold, D. H., Kupersmidt, J. B., Voegler-Lee, M. E., & Marshall, N. A. (2012). The association between preschool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and their emergent academic skills. Early Child Research Quarterly, 27(3), 376-386. doi:10.1016/j.ecresq.2011.12.009 

  49. Aunola, K., & Nurmi, J. E. (2005). The role of parenting styles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76(6), 1144-1159. doi:10.1111/j.1467-8624.2005.00840.x-i1 

  5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51.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doi:10.2307/1129836 

  52. Crick, N. R. (1996). The role of overt aggression, relational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children's future socia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5), 2317-2327. doi:10.1111/j.1467-8624.1996.tb01859.x 

  53. Crnic, K. A., Gaze, C., & Hoffmam, C. (2005). Cumulative parenting stress across the preschool period: Relations to maternal parenting and child behavior at age 5.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2), 117-132. doi:10.1002/icd.384 

  54.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doi:10.2307/1130770 

  55. Denham, S. A. (2006). Social-emotional competence as support for school readiness: What is it and how de we assess it?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7(1), 57-89. doi:10.1207/s15566935eed1701_4 

  56. Hartup, W. W. (1983). Peer relations. In E. M. Hetheringto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pp. 103-198). New York: Wiley. 

  57.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58. Hosokawa, R., & Katsura, T. (2017). A longitudinal study of socioeconomic status, family processes, and child adjustment from preschool until early elementary school: The role of social competence.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nd Metal Health, 11(1), 1-28. doi:10.1186/s13034-017-0206-z 

  59. Kostelnik, M. J., Soderman, A. K., Whiren, A. P., Rupiper, M. L., & Gregory, K. M. (2017).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 learning, 8th edition.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박경자, 김송이, 신나리, 권연희, 김지현 옮김). 경기: 교문사(원판 2015). 

  60. McCay, L. O., & Deyes, D. W. (2001). Developing social competence in the inclusive primary classroom. Childhood Education, 78(2), 70-78. doi:10.1080/00094056.2002.10522707 

  61. McClelland, M. M., & Morrison, F. J. (2003). The emergence of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8(2), 206-224. doi:10.1016/S0885-2006(03)00026-7 

  62. Perlman, M., & Ross, H. S. (2005). If-then contingencies in children's sibling conflicts. Merrill-Palmer Quarterly, 51(1), 42-66. doi:10.1353/mpq.2005.0007 

  63. Odom, S. L., McConnell, S. R., & Brown, W. H. (2008).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influences. In W. H. Brown, S. L. Odom, & S. R. McConnell (Eds.),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Risk, disability, and intervention (pp. 3-29). Towsou, WA: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Inc. 

  64. Raver, C. C., & Zigler, E. F. (1997). Social competence: An untapped dimension in evaluating head start's succes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4), 363-385. doi:10.1016/S0885-2006(97)90017-X 

  65. Simons, R. L., Beaman, J., Conger, R. D., & Chao, W. (1993). Stress, support, and antisocial behavior trait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well-being and parenting practices among single mothe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5(2), 385-398. doi:10.2307/352809 

  66. Suchman, N. E., & Luthar, S. S. (2001).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stress in methadone-maintained mothers' parenting.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1(4), 285-315. doi:10.1207/S15327922PAR0104_2 

  67. Webster-Stratton, C., & Reid, M. J. (2004). Strengthening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 young children-The foundation for early school readiness and success; Incredible years classroom social skills and problem-solving curriculum. Infants and Young Children, 17(2), 96-113. doi:10.1097/00001163-200404000-00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