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현미식초 및 감식초 유래 다당류의 대식세포 자극활성 및 화학적 특성
Chemical Property and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Brown Rice and Persimmon Vinega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7 no.6, 2014년, pp.1033 - 1042  

김동수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신광순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발효식초가 지닌 새로운 생물학적 기능을 규명하기 위해 국내 및 국외에서 제조된 전통발효식초로부터 다당류를 분리하여 면역자극활성을 검토하였다. 국내산 현미식초 조다당(KBV-0), 일본산 현미식초 조다당(JBV-0) 및 국내산 감식초 조다당(KPV-0)을 분리하여 구성당 분석한 결과, KBV-0와 JBV-0는 주로 manna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KPV-0는 펙틴 유래 물질로 인한 조성으로 사료되었다. 3종의 다당 시료는 RAW 264.7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 RAW 264.7 세포를 자극하여 IL-6, IL-12 및 TNF-${\alpha}$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인 경향으로 증진시켰으나, 특히 KPV-0의 활성이 KBV-0와 JBV-0보다 더 우수하였다. 또한 KPV-0는 대식세포의 포식작용과 관련있는 FcR II의 발현량을 유일하게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국내산 전통발효 감식초인 KPV-0는 다른 발효식초에 비해 더 우수한 면역활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능성 소재로의 산업적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lucidate the novel biological function of Korean traditional vinegars, crude polysaccharides were isolated from vinegars manufactured at home and abroad, and their chemical properties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were examined. Three kinds of polysaccharides from Korean brown rice vinega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산 감식초 유래 조다당인 KPV-0는 arabinose와 galactose를 높은 비율로 함유하고 있어, 이들이 arabinogalactan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었으므로, 이를 재차 확인하기 위해 β-glucosyl Yariv reagent와의 반응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발효식초가 지닌 새로운 생물학적 기능을 규명하기 위해 국내 및 국외에서 제조된 전통발효식초로부터 다당류를 분리하여 면역자극활성을 검토하였다. 국내산 현미식초 조다당(KBV-0), 일본산 현미식초 조다당(JBV-0) 및 국내산 감식초 조다당(KPV-0)을 분리하여 구성당 분석한 결과, KBV-0와 JBV-0는 주로 manna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KPV-0는 펙틴 유래 물질로 인한 조성으로 사료되었다.
  • 특히, 대식세포(macrophage)에 의해 유도되는 면역반응에 최근 저자들은 국내 · 외로부터 입수한 다양한 발효식초를 대상으로 다당류를 분리하고, 이들이 나타내는 면역증진 활성 또는 화학적 특성을 비교 · 평가하여 국내산 현미식초와 감식초의 우수성을 주장한 바 있다(in process).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현미식초와 감식초, 그리고 일본산 현미식초의 고분자 다당체를 대량으로 분리하여 선천면역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대식세포를 자극하는 활성을 비교하고, 각각의 다당체가 나타내는 화학적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국내산 전통발효식초의 우수성과 함께 이를 산업적으로 응용하고자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 KDO means 2-keto-3-deoxy-D-manno-octulosonic acid. 3) Monosaccharides were analyzed using alditol acetate metho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식품공전에서는 식초를 어떻게 분류하는가? 식초는 소량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유기산, 당류, ester 등을 함유하여 독특한 방향과 신맛을 가지는 오랜 역사를 지닌 전통발효식품으로 동서양을 막론하고,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 왔다(Kwon 등 2000). 국내 식품공전에는 식초를 크게 합성식초, 발효식초 및 기타 식초로 분류하고 있는데, 1970년대에는 빙초산을 희석하여 제조된 저렴한 합성식초가 대량 소비되었으나, 이들은 ethylene이나 acetylene으로부터 유기합성에 의해 만들어진 빙초산을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발효를 거치지 않아 원가 절감 및 대량생산에 수월하지만, 식초 고유의 풍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빙초산의 합성 및 정제 시 사용되는 유해물질들로 인하여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직접적인 사용을 금지하거나,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Vogel 등 2000). 이에 반해 1980년대부터는 주정과 무기염, 일부 과즙을 첨가한 주정 발효식초가 최근까지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Jeong YJ 2009),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날로 높아지면서 천연과실 및 곡류를 원료로 알코올 발효된 술덧을 거쳐 초산 발효하는 2단계 발효를 통해 제조된 발효식초 및 관련 기능성 제품이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식초란 무엇인가? 식초는 소량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유기산, 당류, ester 등을 함유하여 독특한 방향과 신맛을 가지는 오랜 역사를 지닌 전통발효식품으로 동서양을 막론하고,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 왔다(Kwon 등 2000). 국내 식품공전에는 식초를 크게 합성식초, 발효식초 및 기타 식초로 분류하고 있는데, 1970년대에는 빙초산을 희석하여 제조된 저렴한 합성식초가 대량 소비되었으나, 이들은 ethylene이나 acetylene으로부터 유기합성에 의해 만들어진 빙초산을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발효를 거치지 않아 원가 절감 및 대량생산에 수월하지만, 식초 고유의 풍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빙초산의 합성 및 정제 시 사용되는 유해물질들로 인하여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직접적인 사용을 금지하거나,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Vogel 등 2000).
국내산 현미식초 조다당과 일본산 현미식초 조다당을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중 면역활성의 성능비교는? 국내산 현미식초 조다당(KBV-0), 일본산 현미식초 조다당(JBV-0) 및 국내산 감식초 조다당(KPV-0)을 분리하여 구성당 분석한 결과, KBV-0와 JBV-0는 주로 manna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KPV-0는 펙틴 유래 물질로 인한 조성으로 사료되었다. 3종의 다당 시료는 RAW 264.7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 RAW 264.7 세포를 자극하여 IL-6, IL-12 및 TNF-α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인 경향으로 증진시켰으나, 특히 KPV-0의 활성이 KBV-0와 JBV-0보다 더 우수하였다. 또한 KPV-0는 대식세포의 포식작용과 관련있는 FcR II의 발현량을 유일하게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국내산 전통발효 감식초인 KPV-0는 다른 발효식초에 비해 더 우수한 면역활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능성 소재로의 산업적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o X, Wang Z, Fang J, Li X. 2002. Structural features of an immunostimulating and antioxidant acidic polysaccharide from the seeds of Cuscuta chinensis. Planta Med 68:237-243 

  2. Birk RW, Gratchev A, Hakiy N, Politz O, Schledzewski K, Guillot P, Orfanos CE, Goerdt S. 2001. Alternative activation of antigen-presenting cells: Concepts and clinical relevance. Hautarzt 52:193-200 

  3.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248-254 

  4. Brumenkranzand N, Asboe-Hansen G. 1973. New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uronic acid. Anal Biochem 54: 484-489 

  5. Chace JH, Hooker NA, Mildenstein KL, Krieg AM, Cowdery JS. 1997. Bacterial DNA-induced NK cell IFN-gamma production is dependent on macrophage secretion of IL-12. Clin Immunol Immunopathol 84:185-193 

  6. Ding AH, Nathan CF. 1988. Release of reactive nitrogen intermediates and reactive oxygen intermediates from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comparison of activating cytokines and evidence for independent production. J Immunol 141: 2407-2412 

  7. Dubois M, Gilles K, Hamilton J, Rebers P, Smith F. 1951.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ugars. Nature 168:167 

  8. Hamiltonand TA, Adams DO. 1987. Molecular mechanisms of signal transduction in macrophages. Immunol Today 8:151-158 

  9. Huber C, Batchelor JR, Fuchs D, Hausen A, Lang A, Niederwieser D, Reibnegger G, Swetly P, Troppmair J, Wachter H. 1984. Immune response-associated production of neopterin. Release from macrophages primarily under control of interferongamma. J Exp Med 160:310-316 

  10. Hwang YC, Shin KS. 2008. Characterization of u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s islated from Korean persimmon vinegar. Korean J Food Sci Technol 40:220-227 

  11. Indik ZK, Park JG, Hunter S, Schreiber AD. 1995. The molecular dissection of Fc gamma receptor mediated phagocytosis. Blood 86:4389-4399 

  12. Jeong YJ. 2009.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in the Korean vinegar industry. Food Sci Ind 42:52-59 

  13. Jonesand TM, Albersheim P. 1972. A gas chromatograph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ldose and uronic acid constituents of plant cell wall polysaccharides. Plant Physiol 49:926-936 

  14. Karkhanis YD, Zeltner JY, Jackson JJ, Carlo DJ. 1978. A new and improved microassay to determine 2-keto-3-deoxyoctonate in lipopolysaccharide of gram-negative. Anal Biochem 85: 595-601 

  15. Klimp AH, de Vries EG, Scherphof GL, Daemen T. 2002. A potential role of macrophage activation in the treatment of cancer. Crit Rev Oncol Hematol 44:143-161 

  16. Kwon SH, Jeong EJ, Lee GD, Jeong YJ. 2000. Preparation method of fruit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and beverages including vinegar. Food Ind Nutr 5:18-24 

  17. Lee EH, Park HR, Shin MS, Cho SY, Chio HJ, Shin KS. 2014. Antitumor metastasis activity of pectic polysaccharide purified from the peels of Korean citrus Hallabong. Carbohydr Polym 111:72-79 

  18. Lee MS, Shin KS. 2013. Macrophage activation by polysaccharides from Korea's commercial and traditional soy sauces. Korean J Food Nutr 26:797-805 

  19. Lingen MW. 2001. Role of leukocytes and endothelial cells in the development of angiogenesis in inflammation and wound healing. Arch Pathol Lab Med 125:67-71 

  20. Nimmerjahn F, Bruhns P, Horiuchi K, Ravetch JV. 2005. Fc ${\gamma}$ RIV: A novel FcR with distinct IgG subclass specificity. Immunity 23:41-51 

  21. Nimmerjahn F, Ravetch JV. 2006. Fc ${\gamma}$ receptors: Old friends and new family members. Immunity 24:19-28 

  22. Park E, Kum S, Wang C, Park SY, Kim BS, Schuller-Levis G. 2005.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herbal medicines: inhibi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secretion in an activated macrophage-like cell line. Am J Chin Med 33:415-424 

  23. Paulson JC. 1989. Glycoproteins: What are the sugar chains for?. Trends Biochem Sci 14:272-276 

  24. Rosenthal AS. 1978. Determinant selection and macrophage function in genetic control of the immune response. Immunol Rev 40:136-152 

  25. Ruoslahti E. 1989. Proteoglycans in cell regulation. J Biol Chem 264:13369-13372 

  26. Sakanakaand S, Ishihara Y. 2008. Comparison of antioxidant properties of persimmon vinegar and some other commercial vinegars in radical-scavenging assays and on lipid oxidation in tuna homogenates. Food Chem 107:739-744 

  27. Seok H, Lee JY, Park EM, Park SE, Lee JH, Lim ST, Lee BW, Kang ES, Lee HC, Cha BS. 2012. Balsamic vinegar improves high fat-induced beta cell dysfunction via beta cell ABCA1. Diabetes Metab J 36:275-279 

  28. Starr R, Willson TA, Viney EM, Murray L, Rayner JR, Jenkins BJ, Gonda TJ, Alexander WS, Metcalf D, Nicola NA. 1997. A family of cytokine-inducible inhibitors of signalling. Nature 387:917-921 

  29. van Holst GJ, Clarke AE. 1985. Quantification of arabinogalactanprotein in plant extracts by single radial gel diffusion. Anal Biochem 148:446-450 

  30. Visner GA, Dougall W, Wilson J, Burr I, Nick H. 1990. Regulation of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by lipopolysaccharide, interleukin-1, and tumor necrosis factor. Role in the acute inflammatory response. J Biol Chem 265:2856-2864 

  31. Vogel RA, Corretti MC, Plotnick GD. 2000. The postprandial effect of components of the Mediterranean diet on endothelial function. J Am Coll Cardiol 36:1455-1460 

  32. Wang H, Actor JK, Indrigo J, Olsen M, Dasgupta A. 2003. Asian and Siberian ginseng as a potential modulator of immune function: An in vitro cytokine study using mouse macrophages. Clin Chim Acta 327:123-128 

  33. Zhu H, Zhang Y, Zhang J, Chen D. 200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complementary protein-bound polysaccharide from the stem barks of Eucommia ulmoides. Int Immunopharmacol 8:1222-12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