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이한 재료로 제조된 발효식초 유래 다당의 화학적 특성과 면역증진 활성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Fermented Vinegars Manufactured with Different Raw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2, 2015년, pp.191 - 199  

김동수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허병석 (샘표식품주식회사) ,  신광순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발효식초의 면역증진 활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원재료로부터 제조된 국내외산 6종의 발효식초로부터 다당류를 분리하고 이들의 화학 특성과 면역증진 활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6종의 발효식초 유래 조다당 중에서 국내 현미 식초 유래 조다당(KBV-0)과 일본 현미식초 유래 조다당(JBV-0) 및 국내 감식초 유래 조다당(KPV-0)에서 발효식초 대비 높은 수율이 얻어졌으며, in vitro 상에서 대식세포를 활성화하여 우수한 interleukin(IL)-6의 생산 유도 활성을 보여 고 면역활성 다당으로 선별하고 이후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한편 선별된 발효식초 유래 3종의 다당 획분 KBV-0, KPV-0 및 JBV-0는 비특이적 면역계에 있어 중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보체계에 대하여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항보체 활성을 보였지만 KBV-0와 KPV-0의 경우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ITCH_{50}$ 62% 및 65%의 활성을 보여 JBV-0에 비해 높은 항보체 활성을 나타냈다. 한편 KBV-0, JBV-0 및 KPV-0는 mouse 복강 macrophage에 대해 특별한 세포독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IL-6, IL-12 및 TNF-${\alpha}$의 생산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하지만 KPV-0의 활성이 각 처리 농도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국내산 전통발효식초에는 타 영양성분 외에 특이 다당류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 발효식초 유래 다당이 인체 건강유지에 필수적인 면역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추정하게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lucidate the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traditional fermented vinegar, six kinds of crude polysaccharides were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vinegars manufactured with different raw materials in domestic or foreign countries, after which their chemical properties and immuno-stimulator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2%로 가장 낮은 수율을 나타내었다(Table 1). 국내산 와인식초와 현미발효 식초와 같이 다당의 수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은 제품개발에 유익할 것이라 판단되며, 이후 다당의 면역활성을 평가하여 종합적으로 시료의 특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로부터 입수한 발효식초를 대상으로 다당류를 분리하고 이들이 나타내는 면역증진 활성 및 화학 특성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국내 전통발효식초의 우수성과 전통발효식초 유래 다당의 새로운 기능성을 해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생산된 다양한 발효식초로부터 다당류를 분리하고 이들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4종의 국내산 전통발효식초, 즉 국내산 사과식초, 와인식초, 현미식초 및 감식초와 2종의 수입산 전통식초인 영국산 와인식초 및 일본산 현미식초에 존재하는 조다당을 회수하였다. KWV-0의 수율이 0.
  • 전통발효식초의 면역증진 활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원재료로부터 제조된 국내외산 6종의 발효식초로부터 다당류를 분리하고 이들의 화학 특성과 면역증진 활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6종의 발효식초 유래 조다당 중에서 국내 현미식초 유래 조다당(KBV-0)과 일본 현미식초 유래 조다당(JBV-0) 및 국내 감식초 유래 조다당(KPV-0)에서 발효식초 대비 높은 수율이 얻어졌으며, in vitro 상에서 대식세포를 활성화하여 우수한 interleukin(IL)-6의 생산 유도 활성을 보여 고 면역활성 다당으로 선별하고 이후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가설 설정

  • 2)KDO means 2-keto-3-deoxy-D-manno-octulosonic aci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수화물 중에서 다당이 발효 음료 중의 활성 성분으로 주목받지 못한 이유는? 하지만 발효식초에서 보고되고 있는 모든 약리활성이 유기산 또는 polyphenol 등 저분자 물질들만의 기능이라고는 할 수 없으며 생리활성을 갖는 타 화합물, 특히 고분자물질의 존재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당은 고농도의 알코올 용액에서 침전되는 성질 때문에 그동안 발효음료(알코올음료 혹은 알코올발효를 경유한 식초음료) 중의 활성성분으로 주목받지 못하였지만 발효식초에서처럼 비교적 낮은 알코올 농도(5~10%)에서는 선택적으로 용해되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12). 다당류를 포함하는 탄수화물은 지금까지 식물체의 구조 성분 및 에너지원으로써의 역할만이 강조되어 왔으나 최근 세포 표면의 당단백질이나 당지질에 결합해 있는 당쇄(sugar chain)가 세포 간의 인식과 접착을 통해서 세포의 분화, 정보 전달, 감염 및 암전이 등의 약리적인 효능을 갖는다고 알려져 다당류의 기능성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13-15).
식초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식초는 동서양 모두에서 애용되고 있는 오랜 역사를 지닌 전통발효 식품으로 초산을 포함하여 소량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유기산, 당류, ester 등을 함유하고 독특한 방향과 신맛을 갖고 있는 기호식품이다(1). 식초는 크게 곡류, 과실류, 주류 등을 주원료로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식초와 빙초산 또는 초산을 희석하여 만든 합성식초로 분류된다(2). 이 중 발효식초는 합성식초에 비해 산도는 낮으나 풍부한 맛과 영양을 지니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감식초를 시작으로 꾸준히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1).
식초는 어떤 특징을 갖는 기호식품인가? 식초는 동서양 모두에서 애용되고 있는 오랜 역사를 지닌 전통발효 식품으로 초산을 포함하여 소량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유기산, 당류, ester 등을 함유하고 독특한 방향과 신맛을 갖고 있는 기호식품이다(1). 식초는 크게 곡류, 과실류, 주류 등을 주원료로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식초와 빙초산 또는 초산을 희석하여 만든 합성식초로 분류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Kwon SH, Jeong EJ, Lee GD, Jeong YJ. 2000. Preparation method of fruit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and beverages including vinegar.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1): 18-24. 

  2. KFDA. 2012. Korea food and administration.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5-21-1. 

  3. Kang BH, Shin EJ, Lee SH, Lee DS, Hur SS, Shin KS, Kim SH, Son SM, Lee JM. 2011. Optimization of the aceticacid fermentation condition of apple. Korean J Food Preserv 18: 980-985. 

  4. Joo KH, Cho MH, Park KJ, Jeong SW, Lim JH. 2009. Effects of fermentation method and brown rice conten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16: 33-39. 

  5. Ko YJ, Jeong DY, Lee JO, Park MH, Kim EJ, Kim JW, Kim YS, Ryu CH. 2007. The establishment of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for Prunus mume vinegar and its quality evalu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61-365. 

  6. Lee YC, Lee JH. 2000. A manufacturing process of high strength vinegar.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1): 13-17. 

  7. Choi HS, Kim MK, Park HS, Shin DH. 2005.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 wine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74-578. 

  8. Lee WJ, Kim SS. 1998. Preparation of Sikhe with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6-150. 

  9. Seok H, Lee JY, Park EM, Park SE, Lee JH, Lim S, Lee BW, Kang ES, Lee HC, Cha BS. 2012. Balsamic vinegar improves high fat-induced beta cell dysfunction via beta cell ABCA1. Diabetes Metab J 36: 275-279. 

  10. Sakanakaand S, Ishihara Y. 2008. Comparison of antioxidant properties of persimmon vinegar and some other commercial vinegars in radical-scavenging assays and on lipid oxidation in tuna homogenates. Food Chem 107: 739-744. 

  11. Na HS, Choi GC, Yang SI, Lee JH, Cho JY, Ma SJ, Kim JY. 2013.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commercial fermented vinegars made with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Preserv 20: 482-487. 

  12. Hwang YC, Shin KS. 2008. Characterization of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Korean persimmon vinegar.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20-227. 

  13. Ruoslahti E. 1989. Proteoglycans in cell regulation. J Biol Chem 264: 13369-13372. 

  14. Paulson JC. 1989. Glycoproteins: what are the sugar chains for? Trends Biochem Sci 14: 272-276. 

  15. Shin KS, Darvill AG. 2006.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ly active polysaccharides from natural products (Arabidopsis). Food Sci Biotechnol 15: 447-452. 

  16. Zhu H, Zhang Y, Zhang J, Chen D. 200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complementary protein-bound polysaccharide from the stem barks of Eucommia ulmoides. Int Immunopharmacol 8: 1222-1230. 

  17. Bao X, Wang Z, Fang J, Li X. 2002. Structural features of an immunostimulating and antioxidant acidic polysaccharide from the seeds of Cuscuta chinensis. Planta Med 68: 237-243. 

  18. Shin KS, Kiyohara H, Matsumoto T, Yamada H. 1997. Rhamnogalacturonan II from the leaves of Panax ginseng C. A. Meyer as a macrophage Fc receptor expression-enhancing polysaccharide. Carbohydr Res 300: 239-249. 

  19. Lee EH, Park HR, Shin MS, Cho SY, Choi HJ, Shin KS. 2014. Antitumor metastasis activity of pectic polysaccharide purified from the peels of Korean Citrus Hallabong. Carbohydr Polym 111: 72-79. 

  20.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 

  21. Blumenkrantz N, Asboe-Hansen G. 1973. New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uronic acid. Anal Biochem 54: 484-489. 

  22.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23. Karkhanis YD, Zeltner JY, Jackson JJ, Carlo DJ. 1978. A new and improved microassay to determine 2-keto-3-deoxyoctonate in lipopolysaccharide of gram-negative bacteria. Anal Biochem 85: 595-601. 

  24. Jones TM, Albersheim P. 1972. A gas chromatograph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ldose and uronic acid constituents of plant cell wall polysaccharides. Plant Physiol 49: 926-936. 

  25. Mayer MM. 1971. Complement and complement fixation. In Experimental Immunochemistry. 2nd ed. Kabat EA, Mayer MM, eds. Thomas Publisher, Springfield, IL, USA. p 133-240. 

  26. Conrad RE. 1981. Induction and collection of peritoneal exudate macrophages. In Manual of Macrophage Methodology. Herscowitz HB, Holden HT, Bellanti JA, Ghaffar A, eds.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 USA. Vol 13, p 5-11. 

  27. Ishiyama M, Tominaga H, Shiga M, Sasamoto K, Ohkura Y, Ueno K. 1996. A combined assay of cell viability and in vitro cytotoxicity with a highly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neutral red and crystal violet. Biol Pharm Bull 19: 1518-1520. 

  28. Hackett CJ. 2003. Innate immune activation as a broad-spectrum biodefense strategy: prospects and research challenges. J Allergy Clin Immunol 112: 686-694. 

  29. Cao H, Urban JF Jr, Anderson RA. 2008. Cinnamon polyphenol extract affects immune responses by regulating antiand proinflammatory and glucose transporter gene expression in mouse macrophages. J Nutr 138: 833-840. 

  30. Nathan CF, Murray HW, Cohn ZA. 1980. The macrophage as an effector cell. N Engl J Med 303: 662-665. 

  31. Unanue ER. 1984. Antigen-presenting function of the macrophage. Ann Rev Immunol 2: 395-428. 

  32. Cho JW, Rhee YK, Lee YC, Kim YC, Shin KS, Nam SH, Hong HD. 2014.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238-242. 

  33. Ha JW, Yoo HS, Shin JW, Cho JH, Lee NH, Yoon DH, Lee YW, Son CG, Cho CK. 2006. Effects of Cordyceps militaris extract on tumor immunity. Kor J Ori Med 27: 12-29. 

  34. Saito H, Tomioka H, Sato K. 1988. PSK, a polysaccharide from Coriolus versicolor, enhances oxygen-metabolism of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and the host-resistance to listerial infection. J Gen Microbiol 134: 1029-1035. 

  35. Yamagishi T, Tsuboi T, Kikuchi K. 2003. Potent natural immunomodulator, rice water-soluble polysaccharide fractions with anticomplementary activity. Cereal Chem 80: 5-8. 

  36. Seelen MA, Roos A, Wieslander J, Mollnes TE, Sjoholm AG, Wurzner R, Loos M, Tedesco F, Sim RB, Garred P, Alexopoulos E, Turner MW, Daha MR. 2006. Determinants of human complement function in health and disease. Mol Immunol 43: 150-151. 

  37. Keller R, Keist R, Wechsler A, Leist TP, van der Meide PH. 1990. Mechanisms of macrophage-mediated tumor cell kill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oles of reactive nitrogen intermediates and tumor necrosis factor. Int J Cancer 46: 682-686. 

  38. Jiang HL, Kang ML, Quan JS, Kang SG, Akaike T, Yoo HS, Cho CS. 2008. The potential of mannosylated chitosan microspheres to target macrophage mannose receptors in an adjuvant-delivery system for intranasal immunization. Bio materials 29: 1931-1939. 

  39. Starr R, Willson TA, Viney EM, Murray LJ, Rayner JR, Jenkins BJ, Gonda TJ, Alexander WS, Metcalf D, Nicola NA, Hilton DJ. 1997. A family of cytokine-inducible inhibitors of signalling. Nature 387: 917-921. 

  40. Wang H, Actor JK, Indrigo J, Olsen M, Dasgupta A. 2003. Asian and Siberian ginseng as a potential modulator of immune function: an in vitro cytokine study using mouse macrophages. Clin Chim Acta 327: 123-128. 

  41. Meyers RA. 2007. Immunology: from cell biology to disease. 1st ed. Wiley-VCH Verlag, Weinheim, Germany. p 102-107. 

  42. Cheng A, Wan F, Wang J, Jin Z, Xu X. 2008. Macrophage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Glycyrrhiza uralensis fish. Int Immunopharmacol 8: 43-50. 

  43. Tanigawa K, Craig RA, Stoolman LM, Chang AE. 2000. Effects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on the in vitro maturation of tumor-reactive effector T cells. J Immunother 23: 528-535. 

  44. Shida K, Suzuki T, Kiyoshima-Shibata J, Shimada S, Nanno M. 2006. Essential roles of monocytes in stimulating 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with Lactobacillus casei to produce cytokines and augment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Clin Vaccine Immunol 13: 997-1003. 

  45. Munder M, Mallo M, Eichmann K, Modolell M. 1998. Murine macrophages secrete interferon $\gamma$ upon combined stimulation with interleukin (IL)-12 and IL-18: A novel pathway of autocrine macrophage activation. J Exp Med 187: 2103-21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