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전통음식 선호 증진을 위한 교육 효과 평가
Effect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Improving Preferences to Korean Traditional Foods in Upper Grades Schoolchildre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7 no.6, 2014년, pp.1119 - 1131  

정영미 (창원용마초등학교) ,  우태정 (창원대방초등학교) ,  이경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education on improving preferences to Korean traditional foods in upper grades schoolchildren. The education group consisted of 184 children ($4^{th}$=65, $5^{th}$=50, $6^{th}$=69), while the control g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영양교육의 방법으로써 아동의 식품 경험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미각교육(Woo & Lee 2011)에 기반하여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전통음식에 대한 선호도 및 식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추후 전통음식 선호 증진을 위한 영양교육의 설계 시 중요하게 거론되어져야 할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우리 전통음식에 대한 선호도를 높여, 전통음식 섭취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서 전통음식 선호 증진을 위한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교육이 전통음식의 선호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영양교육의 방법으로써 아동의 식품 경험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미각교육(Woo & Lee 2011)에 기반하여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전통음식에 대한 선호도 및 식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전통음식의 선호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12차시의 영양교육을 실행하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영양교육의 방법으로써 아동의 식품 경험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미각교육(Woo & Lee 2011)에 기반하여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전통음식에 대한 선호도 및 식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 전통음식의 장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전통음식은 우리 민족이 오래전부터 먹어온 음식으로 우리나라의 지역적 특성을 살리면서 고유한 식생활 문화로 발전되어온 음식이다(Gang 등 2006). 우리 전통음식은 주로 곡류와 채소류를 중심으로 서양 음식보다 지방 함량은 적고, 식이섬유는 많으며, 식물성 구황식품의 개발이 채식위주의 식생활로 이어져 와서 동물성지방의 과잉 섭취를 막아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균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음식의 재료가 지닌 고유의 특성을 잘 살려서 만들어지므로 최근에는 세계적으로도 건강에 좋은 음식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Cha 등 2007).
우리나라 전통음식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전통음식은 우리 민족이 오래전부터 먹어온 음식으로 우리나라의 지역적 특성을 살리면서 고유한 식생활 문화로 발전되어온 음식이다(Gang 등 2006). 우리 전통음식은 주로 곡류와 채소류를 중심으로 서양 음식보다 지방 함량은 적고, 식이섬유는 많으며, 식물성 구황식품의 개발이 채식위주의 식생활로 이어져 와서 동물성지방의 과잉 섭취를 막아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균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전통음식이 세계적으로 건강에 좋은 음식으로 인정을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 전통음식은 주로 곡류와 채소류를 중심으로 서양 음식보다 지방 함량은 적고, 식이섬유는 많으며, 식물성 구황식품의 개발이 채식위주의 식생활로 이어져 와서 동물성지방의 과잉 섭취를 막아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균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음식의 재료가 지닌 고유의 특성을 잘 살려서 만들어지므로 최근에는 세계적으로도 건강에 좋은 음식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Cha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on SM, Lee KH, Kim KW, Lee YK. 2009.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Life Sciences. Seoul. pp.20-21 

  2. Sung TJ, Kang DJ, Kang IC, Kwak DJ, Kim GH, Kim CK, Kim HS, Bong MM, Yoo JB, Lee YM, Lee YS, Yim W, Hong HJ. 2013. Introduction to Education. Hakjisa. Seoul. pp.325-326 

  3. Lee KH, Woo TJ, Ahn HJ, Kwon AY, Kim CJ. 2012. Enjoying traditional Korean foods with the five senses.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eoul 

  4. Bae YK. 2011. A study on the Korean dietary acculturation for the Asian immigrants in Korea -Focus on the country of origin and food neophobia-. Ph D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pp.27-30 

  5. Cha JA, Yang IS, Lee SJ, Chung LN. 2007. Effect-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ers. Korean J Food Culture 22:383-392 

  6. Chang SO, Lee KS. 1995.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children who avoid to eat vegetables. J Korean Diet Assoc 1:2-9 

  7. Cheong HS. 199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 of mothers and food preference and other factors of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n Home Econ Assoc 33:207-223 

  8. Contento IR. 2006. Nutrition Education.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Massachussetts US. pp.29-30, 88-95 

  9. Gang MS, Lee EH, Chyun JH. 2006.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food consum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urban and rural area. Korean J Food Culture 21:357-365 

  10. Han HY, Kim EK, Park KW. 1997.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 knowledge, food attitude, food habits, food preference and plate wast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rved by the national school lunch program. Korean J Nutr 30:1219-1228 

  11. Heath P, Houston-Price C, Kennedy OB. 2011. Increasing food familiarity without the tears. A role for visual exposure. Appetite 57:832-838 

  12. Ji HJ, Nam ES, Park SI. 2008. A survey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imchi. Korean J Food & Nutr 21:572-582 

  13. Kang JH, Lee KA. 2008. The perception, preferences, and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kimchi, tteok and eumcheong varieties-. Korean J Food Culture 23:543-555 

  14. Kim HA. 2000. Influences of the parent's food habits and health beliefs on child obesity. Masters Degree Thesis, Seoul Natl Univ. Seoul. pp.14-17 

  15. Kim JH, Lee SM. 2011. Effects of short-term food additive nutrition education including hands-on activities on food label use and processed-Food consumption behaviors: among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6:539-547 

  16. Kim KM, Kwon YS, Kim YS, Kim GC, Kim Y. 2013.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regarding Korean traditional food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8:167-176 

  17. Kim MH, Choi MK, Kim MW, Eom AY. 2011.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the preferences for traditional Korean food served at the middle school good service in the Gyeonggi area. Korean J Food & Nutr 24:54-64 

  18. Lee JY. 2009. A study on planning the policy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Masters Degree Thesis, Chung-Ang Univ. Seoul. pp.2-3 

  19. Lee MY. 2002.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onsciousness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 and fast food. Masters Degree Thesis, Inha Univ. Incheon. pp.2-3 

  20. Lee MY, Kim YA. 2006.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and fast food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san area. J Korean Home Econ Asso 44:109-120 

  21. Park KY. 2001.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health. Proceedings for Alliance of Societies. pp.38-46 

  22. Ro HK, Park J. 2001. Grade and gender differences in dietary behavior, food preference and perception about body image of 4, 5 and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J Food Culture 16:158-169 

  23. Skinner JD, Canuth BR, Bounds W, Ziegler PJ. 2002. Children's food preferences - A longitudinal analysis. J Am Diet Assoc 102:1638-1647 

  24. Woo TJ, Lee KH. 2011. Development of a sensory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guidebook for preference improvement toward traditional Korean foods in schoolchildren. Korean J Nutr 44:303-311 

  25. Woo TJ, Lee KH. 2013. Effects of sensory education based on classroom activities for lower grade schoolchildren. Nutr Res Pract 7:336-341 

  26. Yang IS, Chung HK, Chang MJ, Cha JA, Lee SJ, Chung LN, Park SH, Cha SM. 2006.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for the elementary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2:127-1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