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진주시 사봉면에서 진행된 '사봉면 건강한 마을 만들기 사업'과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이 사봉면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주요 건강지표 및 사회적 자본의 변화를 통하여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 조직화 전략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활용된 자료원은 2008년에 실시된 '사봉면 지역보건지표 및 사회복지욕구 조사'와 2011년에 실시된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 지역사회 조사' 자료이며 총 520명을 조사대상자로 설정하였다. 분석 대상 변수는 2008년 조사와 2011년 조사에서 모두 측정된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건강행태 변수, 정신건강 변수, 사회적 자본 변수로 하였다. 사회인구학적 변수는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를, 건강행태 변수로는 흡연, 남자 고위험 음주,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 여부, 걷기운동 여부를 측정하였다. 또한, 정신건강변수는 스트레스 인지, 우울감 경험과 자살생각을, 사회적 자본 변수는 신뢰와 호혜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흡연률과 걷기 실천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남자 고위험 음주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스트레스 인지율, 우울감 경험률, 자살생각률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신뢰, 호혜와 관련된 사회적 자본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사회적 자본 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비율은 2008년 62.7%에서 2011년 85.5%로 증가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사회적 자본 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비율은 성 및 결혼 상태와 관계 없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중졸 이하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참여와 파트너쉽에 근거한 지역 기반 사업에 해당하는 사봉면의 사업들은 걷기 실천률과 남자 고위험 음주율을 개선하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하였으며, 지역주민들의 정신건강수준을 개선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는데 기여함으로써 향후 사업의 긍정적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상황들이 진주시 사봉면의 다양한 건강지표들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사업에 적합한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참여와 파트너쉽에 근거한 지역 기반 사업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교훈들을 확보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rea-based health promotion initiatives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and partnerships conducted in Sabong-Myeon, Jinju City for three years.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2008 Sabong-Myeon Health Survey' and the '2011 Health 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사봉면 건강한 마을 만들기 사업’과 경상남도의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 모두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기 위한 사업이었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서 사회적 자본의 축적 정도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2008년 12월 18일에는 사봉면 건강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함으로써 임시조직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사봉면 건강한 마을 만들기 사업 추진위원회’가 해체되고, 사봉면 건강위원회가 공식적인 사업의 추진주체가 되었다. 또한, 사업 팀을 구성하였는데, 이 기구는 본 사업추진과 관련된 주요 안건들을 만들고 이를 건강위원회 회의에 상정하는 과정을 통하여 본 사업에 지역사회 주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계기들을 지속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사업 팀 회의를 통해서 상정된 안건들은 사업추진원회의 심의, 의결을 거치게 되고 이 과정을 거친 사안들은 건강위원회가 집행해 나가는 과정을 거쳤다 [1].
  • 사회적 자본은 지역사회를 통합시키는 접착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회적 자본이 잘 축적되어 있는 지역사회에서는 집합적 행동이 용이하게 일어난다[25]. 본 사업에서는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자본들 중 사회적 자본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자 하였는데, 이를 위하여 건강위원회와 사업 팀이라는 조직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조직화 전략을 구사하였다. 이 두 조직은 진주시 사봉면의 건강수준을 더욱 향상시켜야 된다는 규범을 만들고 이를 현실화시키기 위하여 지역사회주민들의 상호 신뢰감 및 호혜의 분위기를 증진시키고, 이들의 실질적 참여를 이끌어 내는 과정을 통하여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 이에는 금연, 절주, 식생활, 운동, 만성질환관리 등이 포함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사봉면 건강위원회 자체적으로 사봉면 걷기 동아리를 구성하여 걷기 운동 실천률을 높이고 지역주민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도 진행하였다. 또한, 사봉면 건강위원회를 중심으로 건강생활실천 및 만성질환관리와 관련된 지역사회 캠페인 및 홍보를 월 1회 주기적으로 실시하였다.
  • 진주시 사봉면에서 진행된 두 가지 사업은 건강위원회라는 주민자지초직과 보건소, 사봉면 사무소, 전문가들로 구성된 사업 팀의 재정적, 행정적, 기술적 지원을 통하여 지역주민 참여를 현실화시키고, 효과적인 파트너쉽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흡연, 음주, 신체활동, 영양 및 식습관, 만성질환 관리를 포괄하는 보건교육 및 보건사업을 3년 동안 진행하였을 뿐 아니라 보건의료영역을 벗어나는 다른 부문과의 결합을 통하여 지역사회 환경을 건강에 이로운 방향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들을 진행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진주시 보건소는 보건소가 수행하는 모든 보건사업을 사봉면에 집중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진주시 사봉면에서 진행된 ‘사봉면 건강한 마을 만들기 사업’과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이 사봉면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주요 건강행태, 정신건강지표 및 사회적 자본의 변화를 통하여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 조직화 전략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진주시 사봉면에서 진행된 두 가지 사업은 건강위원회라는 주민자지초직과 보건소, 사봉면 사무소, 전문가들로 구성된 사업 팀의 재정적, 행정적, 기술적 지원을 통하여 지역주민 참여를 현실화시키고, 효과적인 파트너쉽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흡연, 음주, 신체활동, 영양 및 식습관, 만성질환 관리를 포괄하는 보건교육 및 보건사업을 3년 동안 진행하였을 뿐 아니라 보건의료영역을 벗어나는 다른 부문과의 결합을 통하여 지역사회 환경을 건강에 이로운 방향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들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자체의 건강증진사업의 발전과 지속가능성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논문의 저자가 주장한 것은 무엇인가? 하지만, 동시에 사업의 발전과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 있다. 건강위원회의 참여 수준은 초보적 수준이기 때문에 주민참여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건강위원회는 지역주민들의 대표체이기 때문에 지역주민들의 이해와 요구에 기반한 민주주의적 운영 또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특히, 취약계층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특화된 메카니즘이 필요하다. 동시에 지방정부 차원의 부문 간 연계체계의 구축 및 건강한 공공정책을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지속적인 예산 지원에 기반하여 이런 과제들을 해결해 나간다면 사업의 지속가능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블레어 정권에서 강조한 3P는 무엇인가? 지역기반 접근법은 최근 유럽과 미국의 공공정책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되어 왔던 방법인데, 1997년 영국의 블레어 정권 하에 진행된 헬스 액션존(Health Action Zones, HAZs) 사업이 대표적인 예이다 [6-9]. 블레어 정권은 많은 정책에서 3P, 즉, 파트너쉽(partnership), 참여(participation), 장소(place)의 개념을 강조하였고, 이는 헬스 액션존 사업에도 투영되었다 [10]. 진주시 사봉면에서 진행된 사업들은 헬스 액션 존 사업의 방법론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3P는 사업의 전 과정을 지배하는 원칙이었다 [1].
진주시 사봉면의 특징은 무엇인가? 진주시 사봉면은 진주시 내에서 사망률로 측정한 건강수준이 가장 나쁜 지역일 뿐만 아니라 경상남도 내에서도 구조적으로 사망률이 높은 지역으로 평가받는 지역이다. 진주시 사봉면은 2007년 경상남도 주민등록인구를 표준인구로 하였을 때,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지속적으로 표준화사망비가 높았던 도 내 40개 읍면동 중의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Jeong BG, Kim JR, Kang YS, Park KS, Lee JH, Jo SR, Seo GD, Joo SJ, Oh ES, Kim SJ, Jo SJ, Kim SM, Yeum DM, Sim MY. The strategies to address regional health inequalities in Gyeongsangnam-Do : Health Plus Happiness Plus projects.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2;37(1):36-51 (Korean) 

  2. Kim JR, Jeong BG, Park KS, Kang YS. The Associations of Empowerment and Social Capital with Self-Rated Health in Communities with Poor Health.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2;37(3):131-144 (Korean) 

  3. Kim JR, Jeong BG, Park KS, Kang YS. The Mid-Term Outcome Evaluation of Community Organization: Three-year Experience of Health Plus Happiness Plus Projects in Gyeongsangnam-Do.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4;39(3):146-160 (Korean) 

  4. Kim JR, Jeong BG, Park KS, Kang YS. Applications of the participatory learning process in health promotion.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1;36(2):130-142 (Korean) 

  5. Bajekal M, Purdon S. Social capital and social exclusion: development of a condensed module for the Health Survey for England. London, National Center for Social Research, 2001, p.37 

  6. Berkeley D, Springett J. From rhetoric to reality: A systemic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constraints faced by health for all initiatives in England. Soc Sci Med 2006;63:178-188 

  7. Bradford N. Placing social policy? Reflections on Canada's new deal for cities and communities. Can J Urban Res 2007;16:1-26 

  8. Larsen E, Manderson L. 'A good spot': Health promotion discourse, healthy cities and heterogeneity in contemporary Denmark. Health Place 2009;15:606-613 

  9. Randolph B. Social inclusion and place-focused initiatives in Western Sydney: A review of current practice. Aust J Soc Issues 2004;39:63-78 

  10. Barnes M, Bauld L, Benzeval M, Judge K, Machenzie M, Sullivan H. Health Action Zones - Partnership for health equity -. London & New York, Routledge, 2005, pp.1-17 

  11. Denhardt RB, Denhardt JV. The new public service: serving rather than steering. Public Adm Rev 2000;60:549-559 

  12. McGinnis JM, Foege WH. Actual causes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JAMA 1993;270:2207-2212 

  13. Butterfoss FD, Goodman RM, Wandersman A. Community coalitions for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factors predicting satisfaction, participation, and planning. Health Educ Q 1996;23:65-79 

  14. Israel BA, Schulz AJ, Parker EA, Becker AB. Review of community-based research: assessing partnership approaches to improve public health. Annu Rev Public Health 1998;19:173-202 

  15. Mitchell SM, Shortell SM. The governance and management of effective community health partnerships: a typology for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Milbank Q 2000;78:241-289 

  16. Zuckerman HS, Kaluzny AD, Ricketts TC. Alliances in health care: what we know, what we think we know, and what we should know. Health Care Manage Rev 1994;20:54-64 

  17. Cheadle A, Senter S, Solomon L, Beery WL, Schwartz PM.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Alternative Strategies for Building Community Health Partnerships: Collaboration- Versus Issue-Oriented Approaches. J Urban Health 2005;82(4):638-652 

  18. Hallfors D, Cho H, Livert D, Kadushin C. Fighting back against substance abuse: are community coalitions winning? Am J Prev Med 2002;23:237-245 

  19. Koepsell TD, Martin DC, Diehr PH, Psaty BM, Wagner EH, Perrin EB, Cheadle A. Data analysis and sample size issues in evaluation of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programs: a mixed model analysis of variance approach. J Clin Epidemiol 1991;44:701-713 

  20. Koepsell TD, Wagner EH, Cheadle AC, Patrick DL, Martin DC, Diehr PH, Perrin EB, Kristal AR, Allan-Andrilla CH, Dey LJ. Selected methodological issues in evaluating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programs. Annu Rev Public Health 1992;13:31-57 

  21. Lindholm L, Rosen M. What is the gold standard for assessing population-based interventions? Problems of dilution bia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0;54:617-622 

  22. 경상남도 진주시, 경상대학교. 경상남도 진주시 지역사회 건강통계, 2008 지역사회 건강조사보고서, 2008, p110, p124, pp127-128, pp151-152 

  23. 경상남도 진주시, 경상대학교. 경상남도 진주시 지역사회 건강통계, 2011 지역사회 건강조사보고서, 2011, p120, p139, pp152-153, pp180-181 

  24. d'Hombres B, Rocco L, Suhrcke M, Haerpfer C, McKee M.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health in eight former Soviet countries: why does it differ?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11;65(1):44-50 

  25. Coleman J.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 J Sociol 1988;94:95-120 

  26. Liverant GI, Sloan DM, Pizzagalli DA, Harte CB, Kamholz BW, Rosebrock LE, Cohen AL, Fava M, Kaplan GB. Associations among smoking, anhedonia, and reward learning in depression. Behav Ther 2014;45(5):651-663 

  27. Yalcin BM, Unal M, Pirdal H, Karahan TF. Effects of an anger management and stress control program on smoking cess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Am Board Fam Med 2014;27(5):645-660 

  28. Al-Eisa E, Buragadda S, Melam GR.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psychological status among Saudi female students. BMC Psychiatry 2014;14(1):238-242 

  29. Kettunen O, Kyrolainen H, Santtila M, Vasankari T. Physical fitness and volume of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relate with low stress and high mental resources in young men. J Sports Med Phys Fitness 2014;54(4):545-551 

  30. Barnes M, Bauld L, Benzeval M, Judge K, Machenzie M, Sullivan H. Health Action Zones - Partnership for health equity -. London & New York, Routledge, 2005, pp47-49 

  31. Rifkin SB, Muller F, Bichmann W. Primary health care: on measuring participation. Soc Sci Med 1988;26:931-940 

  32. Rifkin SB. Paradigms lost: toward a new understanding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health programs. Acta Trop 1996;6:79-92 

  33. Liberato S, Brimblecombe J, Ritchie J, Ferguson M, Coveny J. Measuring capacity building in communit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BMC Public Health 2011;11:850 

  34. Rifkin SB. Examining the links between community participation and health outcom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Health Policy Plan 2014;29 Suppl 2:ii98-ii1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