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거주 노인의 근골격계 기능향상 신체활동에 관한 문헌 고찰연구
Literature Review for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Musculoskeletal Outcome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0 no.4, 2014년, pp.297 - 308  

임경춘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김증임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채영란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musculoskeletal outcomes in older Koreans. Methods: Experimental studies were retrieved from the search engines (PubMed, CINAHL, PsycINFO, Cochrane, RISS, KISS, and KoreaMed). The selected studies for analysi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노인의 근골격계 기능 향상을 위해서는 ‘중등도 운동, 1회 30분 이상, 주 5회 이상의 운동’ 속성이 포함된 필요가 있음을 밝히면서 이를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에 관한 중재연구를 고찰하여 근골격계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 근골격계 기능에 효과적인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근골격계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노인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관련 논문 중 근골격계 기능 향상을 연구한 논문의 고찰을 통해 각 프로그램들이 근골격계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노인의 근골격계 기능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신체활동 프로그램들이 미국 질병관리본부[6]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10] 및 보건복지부[17]의 어떤 권장기준을 따르고 있는지와 각 프로그램이 근골격계 기능 향상에 도움이었는지를 분석하여 노인의 근골격계 기능향상을 위한 신체활동 가이드라인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활동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신체활동은 근골격근이 수축한 결과로 일어나는 모든 형태의 신체적 움직임으로써 힘을 쓰고 근육을 움직이며 에너지를 소비하는 정도에 따라 저강도, 중강도 및 고강도의 신체활동으로 구분한다[6,10,16]. 보건복지부의 「한국인을 위한 신체활동 지침서」에는 65세 이상 노인에게 걷기를 포함한 중등도 유산소 신체활동을 일주일에 150분 이상 혹은 고강도 유산소 신체활동을 일주일에 75분 이상 수행하도록 권장한다는 보편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지만[17] 신체계통별 가이드라인은 없는 상태이다.
노인의 신체적 특성과 더불어 개인의 상태를 고려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7%)으로 많은 노인들이 근골격계 질환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11]. 특히 노인에서는 근골격계 질환이 흔하게 발생하는데, 적절한 수준의 운동과 신체활동은 뼈를 강화하고 유연성, 근력, 지구력, 평형 유지 등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의 기반이 되는 체력 요소를 향상시킨다[6,12,13]. 하지만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활동량이 부족하게 되어 근섬유 위축, 골량과 골밀도 감소, 근육 탄력성과 근력 저하가 초래될 뿐 아니라 뼈가 약해져서 골절되기 쉽다[11-13]. 그러므로 노인의 신체적 특성과 더불어 개인의 상태를 고려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적절한 수준의 운동과 신체활동은 무엇을 향상시키는가? 7%)으로 많은 노인들이 근골격계 질환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11]. 특히 노인에서는 근골격계 질환이 흔하게 발생하는데, 적절한 수준의 운동과 신체활동은 뼈를 강화하고 유연성, 근력, 지구력, 평형 유지 등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의 기반이 되는 체력 요소를 향상시킨다[6,12,13]. 하지만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활동량이 부족하게 되어 근섬유 위축, 골량과 골밀도 감소, 근육 탄력성과 근력 저하가 초래될 뿐 아니라 뼈가 약해져서 골절되기 쉽다[11-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tatistics Korea. 2014. Statistics for the elderly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4 October 29].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 Browning C, Sims J, Kendig H, Teshuva K.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behavior in older community-dwelling adults. Journal of Allied Health. 2009;38(1):8-17. 

  3. Park YH. Physical activity and sleep patterns in elderly who visited a community senior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1):5-13. 

  4. Park SM, Park YH.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in Korean older adults: Distinc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2):191-201. 

  5.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USDHHS 2008).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Americans: Be active, healthy, and happy! [cited 2014 August 29]. Available from: http://www.health.gov/paguidelines/pdf/paguide.pdf 

  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08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act sheets for professionals: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older adults. [updated 2012 August 7; cited 2014 August 29]. Available from: http://www.cdc.gov/physicalactivity/resources/factsheets.html 

  7. Lim KC, Kayser-Jones J, Waters C, Yoo G. Aging,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in Korean-Americans. Geriatric Nursing. 2007;28(2):112-119. 

  8. Kaplan MS, Newsom JT, McFarland BH, Lu L.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late lif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01;21(4):306-312. 

  9. Stewart AL, Mills KM, King AC, Haskell WL, Gillis D, Ritter PL. CHAMPS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for older adults: Outcomes for interventions.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2001;33(7):1126-1141. 

  10.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updated 2010; cited 2014 August 29] Available from http://www.who.int/dietphysicalactivity/publications/9789241599979/en/index.html 

  11. Park MH, Kim AR, Kim JS, Kim HJ, Park YH. Gerontological nursing. Seoul: Jungdam Publishing Co; 2013. p. 425-444. 

  12. The Korean Geriatric Society. Textbook of geriatric medicine 2nd ed. Seoul: Medical Publishing Co; 2005. p. 237-253. 

  13. Lim KC.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CHAMPS questionnaire for older Korean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1;13(2):142-153. 

  14. de Vries NM, van Ravensberg CD, Hobbelen JS, Olde Rikkert MG, Staal JB, Nijhuis-van der Sanden MW. Effects of physical exercise therapy on mobility, physical functioning,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impaired mobility, physical disability and/or multi-morbidity: a meta-analysis. Ageing Research Reviews. 2012;11(1):136-149. 

  15. Cha JW. Meta-regression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effects of exercise program applied to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2009;23(3):203-220. 

  16. Choe MA, Kim J, Jeon M, Chae YR.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K-PAS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6(1):47-59.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physical activity guide for Koreans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updated 2012 August 7; cited 2014 September 5]. Available from: http://health.mw.go.kr/ReferenceRoomArea/HealthFileRoom/healthFileDetail.do?ED_NO1851 

  18. Chung EK. The effect of exercise on cardiovascular and musculoskeletal variables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2007;32(1):41-51. 

  19. Lee S, Ma S, Cho G. The effects of mat and field exercise on the balance and gait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09;20(4):661-672. 

  20. Kim NS. Effect of recreational exercise on cognition, depression, dynamic balance and leg strength in elderly wome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0;10(3):373-380. 

  21. Jang S, Hwang B, Yoon H, Lee S.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grip strength, balance and bone mineral density of the elderly women in rural communi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09;9(5):214-223. 

  22. So WY, Song MS, Cho BL, Park YH, Kim YS, Lim JY, et al. The Effects of treatment dumbbell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fitness, and blood lipid profiles in sarcopenic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9;29(3):837-850. 

  2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 [updated 2013 November 12; cited 2014 November 9]. Available from: http://health.mw.go.kr/mobile/content/group_view.jsp?CID32LAN2R69M 

  24. Borg GAV. Psychophysical bases of perceived exert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982;14(5):377-381. 

  25. Park S, Shin I. Muscle strengthening effects of exercise preventing falls among the elderlu in Korea: A meta-analysis. Physical Therapy Korea. 2011;18(3):38-48. 

  26. Roh K, Park H.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on lower limb muscle endurance, whole body endurance and upper body flexibility i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4):536-5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