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치료 전.후 골밀도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BMD Changes With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Premenopausal Breast Cancer Patient 원문보기

방사선기술과학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37 no.4, 2014년, pp.279 - 286  

김수진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손순룡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최관우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이주아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민정환 (신구대학교 방사선과) ,  김현수 (신구대학교 방사선과) ,  마상철 (신한대학교 방사선학과) ,  이종석 (원광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유병규 (원광보건대학교 방사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방암 환자의 외과적 수술과 방사선 및 화학적 치료 전 후의 골밀도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암 치료에 의한 골소실 문제의 심각성을 도출하여 고 위험군선별 및 골다공증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07년 3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유방암으로 진단을 받고 수술 및 치료를 받은 후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환자 2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폐경에 이르렀거나 자궁적출술을 받아 폐경된 84명을 제외한 171명을 최종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흡수법에 의한 골밀도 영상(요추부위와 대퇴골부위)에서 치료 전 후 측정된 골밀도 수치를 분석하였다. 치료 전 후의 전체적인 골밀도 변화량과 치료유형별 변화량을 비교하였으며, 환자의 결혼 유무, 자녀수, 수유유무, 초경나이, 유방암 치료형태 등을 변수로 하여 세부적인 차이점 및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Program(Version 18.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요추에서는 치료 후 평균 7.1% 감소하였고, 대퇴골에서는 평균 3.1%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또한 화학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군의 대퇴골 부위에서 치료 및 수술 후 $0.067g/cm^2$의 상대적으로 큰 골밀도 수치의 감소량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그 외 결혼 유무, 자녀수, 수유 유무, 초경 나이 등에 따라서는 감소량의 차이가 있었지만 통계적 수준에서 유의성은 없었다.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치료 후 골밀도 수치 감소를 보임에 따라 감소량이 상대적으로 큰 환자를 고 위험군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며, 이를 토대로 적극적인 예방 정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f comparing BMD(bone mineral density) value of preoperative breast cancer patient and postoperative breast cancer patient due to bone loss with radiation/chemical therapy.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54 breast cancer patients with BMD after ha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외과적 수술과 방사선 및 화학적 치료 전·후의 골밀도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암 치료에 의한 골소실 문제의 심각성을 도출하여 고위험군선별 및 골다공증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골손실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상황(폐경 전)에서 유방암 치료(수술, 방사선 및 화학적치료) 후 골소실 유무를 파악하고자 폐경 전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골밀도 수치를 수집하여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유방암 환자의 건강 증진 및 삶의 질 향상 차원에서 암 치료로 인한 골소실이 사회적 관심의 대상으로서 심각함을 알리고, 고 위험군으로 선별하여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체계를 확립하는데 기초자료로서 그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골손실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상황(폐경 전)에서 유방암 치료(수술, 방사선 및 화학적치료) 후 골소실 유무를 파악하고자 폐경 전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골밀도 수치를 수집하여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유방암 환자의 건강 증진 및 삶의 질 향상 차원에서 암 치료로 인한 골소실이 사회적 관심의 대상으로서 심각함을 알리고, 고 위험군으로 선별하여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체계를 확립하는데 기초자료로서 그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량의 특징은? 골형성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골량(osteo volume)의 증감이라고 할 수 있다. 골량은 사춘기를 전후로 하여 왕성하게 증가한 후, 30~50세 사이에는 소량의 감소만 나타날 뿐 대체로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이는 낡은 뼈를 제거하는 골흡수 과정(bone resorption)과 새로운 뼈를 만드는 골형성 과정(osteogenesis)이 평형을 이루기 때문이며, 이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골소실이 진행되어 폐경(menopause) 후 고 연령일수록 골량 및 골밀도의 감소가 심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골소실에 대한 고위험군 선별 및 골다공증 예방이 중요한 이유는? 골소실이 발생하게 되면 환자의 기능 상태 및 삶의 질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의료비용의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므로 골소실에 대한 고위험군 선별 및 골다공증 예방은 매우 중요하다. 실제로 유방암 환자는 정상 여성에 비하여 골절 위험이 5배 높으며, 골소실로 인하여 고관절이나 척추관절의 골절 기왕력이 있는 환자는 사망률이 20%나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유방암 치료의 후유증은? 그러나 수술적 치료의 효과가 높지만 후유증과 같은 부정적인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 대표적인 후유증으로 암 절제부위의 근육손상, 림프부종 등이 있으며,방사선 및 항암치료로 인한 피로, 근 무력증, 폐 기능저하, 전반적인 체력저하 등이 있다. 특히 진단과 치료에 의한 정신적, 신체적 고통이 유발되며 조기폐경으로 인한 골다공증(osteoporosis)의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4). 실제로 유방암 치료가 골감소증(osteopenia)과 연관이 있을 뿐 아니라, 유방암 자체가 골소실(bone loss) 및 골절(fracture)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들이 심도 있게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reast cancer fact sheet,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06-2008 

  2.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Facts and Figures 2010, http://www.cancer.go.kr. Accessed July 25, 2013 

  3. Bruning PF, Pit MJ, de Jong-Bakker M, van den Ende A, Hart A, van Enk A, Bone mineral density after adjuvant chemotherapy for premenopausal breast cancer, Br J Cancer 61, 308-10. 1990 

  4. Waltman NL, Twiss JJ, Ott CD, Gross GJ, Lindsey AM, Moore TE, Berg K, Testing an intervention for preventing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breast cancer survivors. J Nurs Scholarsh, 35(4), 333-8, 2003 

  5. Kanis JA, McCloskey EV, Powles T, Paterson AH, Ashley S, Sperctor T, A high incidence of vertebral fractur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Br J Cancer 79, 1178, 1999 

  6. Bethesda, What Breast Cancer Survivors Need to Know About Osteoporosi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 8-18, 2012 

  7. 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Physician' guid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Seoul, Minkum, 2011 

  8. Michaud LB, Goodin S, Cancer-treatment-induced bone loss, part 1. Am J Health Syst Pharm, 63, 419-30, 2006 

  9. Hillner BE, Ingle JN, Chlebowski RT, Gralow J, Yee GC, Janjan NA, Cauley JA, Blumenstein BA, Albain KS, Lipton A, Brown S,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2003 update on the role of bisphosphonates and bone health issue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J Clin Oncol, 21, 4042-57, 2003 

  10. Gralow JR, Biermann JS, Farooki A, Fornier MN, Gagel RF, Kumar RN, Shapiro CL, Shields A, Smith MR, Srinivas S, Van Poznak CH, NCCN task force report: bone health in cancer care, J Natl ComprCanc Netw, 3, 31-2, 2009 

  11. Lonning PE, Geisler J, Krag LE, Erikstein B, Bremnes Y, Hagen AI, Schlichting E, Lien EA, Ofjord ES, Paolini J, Polli A, Massimini G, Effects of exemestane administered for 2 years versus placebo on bone mineral density, bone biomarkers, and plasma lipids in patients with surgically resected early breast cancer, J Clin Oncol, 23, 5126-37, 2005 

  12. Pandya N, Morris GJ, Toxicity of aromatase inhibitors, Semin Oncol, 33(6), 688-95, 2006 

  13. Vehmanen L, Elomaa I, Blomqvist C, Saarto T, Tamoxifen treatment after adjuvunt chemotherapy pausal patients depending on menstrual status, Journal of Clinical Oncolohy, 24, 675, 2006 

  14. Finkelstein JS, Osteoporosis, In: Goldman L, Bennett JC, eds. Cecil textbook of medicine, 21st ed, Philadelphia: W.B. Saunders, 1366-73, 2000 

  15. Chen Z, Maricic M, Bassford TL, Pettinger M, Ritenbaugh C, Lopez AM, Barad DH, Gass M, Leboff MS, Fracture risk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results from the women'health initiative observational study. Arch Intern Med, 165, 552-8, 2005 

  16. Kanis JA, McCloskey EV, Powles T, Paterson AH, Ashley S, Spector T, A high ncidence of vertebral fractur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Br J Cancer, 79, 1179-80, 1999 

  17. Williams HJ, Davies AM. The effect of X-rays on bone, Eur Radiol, 16, 619-33, 2006 

  18. van der Klift M, de Laet CE, Coebergh JW, Hofman A, Pols HA; Rotterdam Study,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the Rotterdam Study, Bone, 32, 211-6, 2003 

  19. Shapiro CL, Manola J, Leboff M, Ovarian failure after adjuvant chemotherapy is associated with rapid bone loss in women with early-stage breast cancer, J Clin Oncol, 19, 3306-11, 2001 

  20. Kim SH, Cho YU, Kim SJ, Lee JE, Kim JH, Low bone density in breastcancer survivors in Korea: prevalence, risk factors and associations with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ur J Oncol Nurs, 17, 196-203, 2013 

  21. Nyaruba MM, Yamamoto I, Kimura H, Morita R, Bone fragility induced by X-ray irradiation in relation to cortical bone mineral content, Acta Radiol, 39, 43-6, 1998 

  22. McKay HA, Petit MA, Khan KM, Schutz RW, Lifestyle determinants of bone mineral: a comparison between prepubertal Asian-and Caucasian-Canadian boys and girls,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66, 320-4, 2000 

  23. Lim HJ,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with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s in premenopausal working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3, 339-348, 2004 

  24. Cure-Cure C, Cure-Ramirez P, Teran E, Lopez-Jaramillo P, Bone-mass peak in multiparity and reduced risk of bone-fractures in menopause, International Journal of Gynaecology and Obstetrics, 76, 285-91, 2002 

  25. Hadji P1, Body JJ, Aapro MS, Brufsky A, Coleman RE, Guise T, Lipton A, Tubiana-Hulin M, Practical guidance for the management of aromatase inhibitor-associated bone loss, Ann Oncol, 19, 1407-16,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