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 여성의 폐경 여부가 유방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enopause on Breast Cancer in South Korean Adult Wome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5, 2019년, pp.65 - 76  

구혜자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차년도(2017)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 여성의 폐경 여부가 유방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3,414명이었고, 자료는 SPSS /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빈도분석, 복합표본 교차분석(Rao-Scott ${\chi}^2$ test),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50~59세에서 40~49세 보다 유방암이 1.7% 더 많았고, 음주 빈도가 전혀 없는 경우가 거의 매일 있는 경우 보다 1.7%가 유의하게 더 많았다. 폐경 연령은 44세 이하가 50세 이상 보다 유방암이 2.1% 유의하게 더 높았다. 폐경 여부에 따라 폐경 후가 폐경 전 보다 유방암이 1.7% 더 많았다. 연령과 음주 빈도를 동시에 보정하였을 때 대상자는 폐경 후에 비해 전에서 유방암이 0.03배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44세 이하의 폐경한 젊은 여성의 유방암 관리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유방암 유병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학제간의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reast cancer its menopause in South Korean adult women using data from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I-2) 2017. The subjects were 3,414 people in total.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chi}^2$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고찰을 통해 유방암과 초경 연령, 폐경 연령, 첫 출산 연령, 식이 요인, 모유수유, 스트레스, 음주, 수면 등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들은 확인하였으나, 알려진 요인들을 함께 고려하여 폐경이 유방암 유병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차년도(2017) 자료를 이용하여 선행연구를 근거로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유방암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인구 사회학적 특성, 폐경 여부에 따른 유방암의 차이를 파악하고, 차이 있는 요인들은 통제하여 폐경여부가 유방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폐경 여부가 유방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차년도(2017) 자료를 2차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차년도(2017) 자료를 이용하여 연령, 음주 빈도, 폐경 연령을 통제한 상태에서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폐경 여부가 유방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2차 자료를 분석하였으므로 조사 전후의 인과관계를 알 수 없었고, 조사에서 사용한 질문 외의 추가적인 사항을 확인할 수 없었다는 제한점을 가지지만 국가 보건통계 자료를 사용하였으므로 자료의 대표성이 매우 높고,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유방암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차년도(2017)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 여성의 폐경 여부가 유방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유방암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심층 분석하여 성인 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폐경 여부가 유방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유방암 대상자의 건강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행연구 결과 유방암 발생 확률을 높이는 요인은 무엇인가? 유방암은 내인성 또는 외인성 에스트로겐(estrogen)에 의한 장기간 노출이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의 하나로 알려져 있고[6], 발생 및 진행에 대한 기전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지만, 내분비 신호전달의 항상성 조절 붕괴가 주요 원인들 중 하나로 여겨진다[7]. 선행연구 결과 유방암은 에스트로겐과 생활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합 적으로 관여하여 발생하며 비만[8], 짧은 수면시간[9], 스트레스[10], 가족력[8], 흡연[11], 음주[8,11]를 비롯하여 한국인의 경우 초경 연령이 빠를수록, 폐경 연령이 느릴수록 서 로 독립적으로 유방암의 위험은 증가되며[12], 첫 출산시 연령은 10대나 20대 초반의 경우처럼 빠르면 빠를수록 유방암의 위험을 감소시킨다[12]. 또한 여성이 생식연령에 도달하기 이전 단계에서는 식이요인, 그 중에서도 특히 고지 방식이는 초경을 이른 나이에 경험하도록 하게 하며, 반면 에 고지방식에 의한 비만은 여성의 폐경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결국 유방암의 위험은 증대된다[12]
본 연구에서 폐경 연령이 44세 이하의 경우 50세 이상보다 유방암 진단율이 유의하게 더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7%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44세 이전에 폐경을 한 여성들이 호르몬 치료를 병행하면서 유방암의 발생이 높아진 것으로 이해된다. 에스트로겐 또는 그에 준하는 효과를 내는 성분이 추가되는 호르몬 치료(hormone therapy, HT)는 자연적으로 폐경이 된 여성이나 부인과 수술이나 항암 치료, 환경적인 요인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폐경이 된 여성의 열성 홍조, 비뇨 생식기의 건조증과 그로 인한 염증, 전신통이나 감정변화등의 폐경기 증상의 완화 등을 위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6].
폐경의 증상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중년기는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및 생물학적 관점에서 노화가 시작되는 시기로 월경이 불규칙하거나 완전히 정지되는 시기인 갱년기라고도 불리운다[15]. 폐경의 증상들은 비뇨기계, 자율신경계, 심혈관계, 골관절계 등의 신체적 변화를 경험하게 하고, 심리 정서적 변화 등과 관련하여 건강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16]. 중년기에는 심리적, 정서적 변화로 인하여 삶의 의욕 저하와 우울증[17] 및 가족과의 관계 변화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아[15] 노년 과도기의 발달 과정 변화에도 적응해야 하는 유방암 여성들의 삶의 질은 낮을 것으로 우려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E. H. Lee & J. B. Kim. (2015). The effects of self-selected music listening on the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of adult breast cancer in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Health Communication, the Offici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n Communication in Healthcare, 10(2), 115-126. DOI : 10.15715/kjhcom.2015.10.2.115 

  2. L. Chang, L. S. Weiner, S. J. Hartman, S. Horvath, D. Jeste, P. S. Mischel & D. M. Kado. (2019). Breast cancer treatment and its effects on aging. Journal of Geriatric Oncology, 10(2) 2, 346-355. DOI : 10.1016/j.jgo.2018.07.010 

  3. J. A. C. Desreux. (2018). Breast cancer screening in young women.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230, 208-211. DOI : 10.1016/j.ejogrb.2018.05.018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18. 12. 27.). A total of 1.74 million cancer patients, cancer survival rate continued to increase. In welfare, 1-23. 

  5. B. Y. Choi & S. C. Cho. (2017). Screenig of natural compounds for cancer prevention by cytotoxicities and AP-1 reporter gene activiti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6), 89-95. DOI : 10.22156/CS4SMB.2017.7.6.089 

  6. J. B. Son, J. E. Jeong, J. K. Joo, K. K. Kim & K. S. Lee. (2012).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reast cancer detected during hormone therapy in Korean women. 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 18(1), 52-59. DOI : 10.6118/jksm.2012.18.1.52 

  7. G. S. Min. (2018). Bidirectional cross-talk between estrogen receptor and growth factor receptors in breast cancer cell. Journal of Life Science, 28(2), 265-273. DOI : 10.5352/JLS.2018.28.2.265 

  8. K. M. Lee, J. S. Park, H. M. Kim & S. A. Kang. (2018). Nutritional intervention for dietary behavior modifica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5), 444-450. DOI : 10.5762/KAIS.2018.19.5.444 

  9. J. S. Seo, H. A. Park, J. H. Kang, K. W. Kim, Y. G. Cho, Y. I. Hur & Y. R. Park. (2014). Obesity and obesity-related lifestyles of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4(3), 93-102. DOI : 10.15384/kjhp.2014.14.3.93 

  10. J. M. Woo, J. H. Jeong & H. D. Rim. (2015). The effect of stressful life events on the patient delay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1(1), 36-43. 

  11. P. DiMarzio, R. Peila, O. Dowling, D. M. Timony, A. Balgobind, L. N. Lee, K. M. Kostroff & G. Y. F. Ho. (2018).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effect on radiotherapy associated risk of second primary cancer and mortality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Cancer Epidemiology, 57, 97-103. DOI : 10.1016/j.canep.2018.10.002 

  12. K. Y. Yoo. (1996). Epidemiologic approaches to breast cancer prevention in Korea. Cancer Symposium, 1, 129-170. 

  13. J. Y. Kang & E. Y. Suh. (2015). The influence of stress, spousal support, and resilience on the ways of coping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15(1), 1-8. DOI : 10.5388/aon.2015.15.1.1 

  14. M. K. Cho. (2018). Breast cancer survivor gynecologic care. The Korean Association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Academic publications, 104, 169-173. 

  15. Y. W. Kim, H. K. Choi & E. J. Oh. (2018). Convergence study of menopausal resilience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5), 373-383. DOI : 10.14400/JDC.2018.16.5.373 

  16. K. W. Sung & E. H. Cho. (2019). Comparative study on depressive symptoms, marital intimac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Global Health & Nursing, 9(1), 1-9. 

  17. E. K. Han. (2018). An analysis of convergence factors on depressive symptoms women n the postmenopausal: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1), 59-67. DOI : 10.22156/CS4SMB.2018.8.1.059 

  18. Y. K. Oh & S. Y. Hwang. (2018). Impact of uncertainty on the quality of life of young breast cancer patient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marital intima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8(1), 50-58. DOI : 10.4040/jkan.2018.48.1.50 

  19. M. H. Kim & H. Choi. (2011). Effects of 3 years of hormone therapy, raloxifene, and alendronate on mammographic breast density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 17(2), 94-101. 

  20. M. N. An, M. W. Baek, M. H. Cho, J. S. Kim, S. M. Kim, J. P. Kim & J. H. Kong. (2019). The effects of convegenced integration support program for home-based cancer pati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2), 65-74. DOI : 10.22156/CS4SMB.2019.9.2.065 

  21. E. J. Kim & N. H. Kim. (2017). Comparison of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between late middle-aged breast cancer survivors and healthy wome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9(1), 48-56. DOI : 10.17079/jkgn.2017.19.1.48 

  2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2). Cheongju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23. M. J. Cho, H. K. Kim & N. R. Oh. (2016). Influence of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of on sleep time and stress of adults older than 40 yea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7), 225-232. 

  24. S. J. Kim, H. S. Kim & H. J. Kim. (2018). Differences in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 according to obesity and weight perception among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3), 169-176. DOI : 10.7586/jkbns.2018.20.3.169 

  25. J. S. Seo, H. A. Park, J. H. Kang, K. W. Kim, Y. G. Cho, Y. Im Hur & Y. R. Park. (2014). Obesity and obesity-related lifestyles of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4(3), 93-102. DOI : 10.15384/kjhp.2014.14.3.93 

  26. G. D. Kim, B. Y. Chung, K. H. Kim, B. H. Sun & E. H. Choi. (2013). Comparison of climacteric symptoms and cognitive impairment in breast cancer survivors and healthy women. Asian Oncology Nursing, 13(1), 11-17. DOI : 10.5388/aon.2013.13.1.11 

  27. M. H. Do, H. J. Kim, S. S. Lee & M. H. Lee. (2000). Risk of breast cancer due to drinking, smoking and exercise habits: patient - control stud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5(4), 784. 

  28. C. Scoccianti, M. Cecchini, A. S. Anderson, F. Berrino, M. Boutron-Ruault, C. Espina, T. J. Key, M. Leitzmann, T. Norat, H. Powers, M. Wiseman & I. Romieu. (2015). European code against cancer 4th edition: alcohol drinking and cancer. Cancer Epidemiology, 39, s67-s74. DOI : 10.1016/j.cariep.2015.01.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