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무라입깃해파리 가수분해 추출물의 멜라닌합성 저해효과
Melanogenesis Inhibition Effects of Nemopilema nomurai Hydrolized Extract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0 no.4, 2014년, pp.341 - 347  

이하연 ((주)내추럴솔루션 중앙연구소) ,  김영훈 ((주)내추럴솔루션 중앙연구소) ,  엄선영 ((주)내추럴솔루션 중앙연구소) ,  정욱순 ((주)내추럴솔루션 중앙연구소) ,  장문식 ((주)내추럴솔루션 중앙연구소) ,  이남호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노무라입깃해파리(Nemopilema nomurai) 가수분해 추출물의 미백활성에 대하여 검색하였다. 가수분해 시료(NHE, N. nomurai Hydrolized Extract)는 노무라입깃해파리를 상업용 단백질분해효소(Protamex, Alcalase, Flavourzyme, Neutrase)를 이용하여 $55^{\circ}C$에서 pH 5-8 조건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거쳐 얻었다. 미백활성은 B16-F1 멜라노마 세포에서 멜라닌 색소 합성 저해능 평가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Neutrase로 처리된 시료(N-NHE)에서 $100{\mu}g/mL$의 농도에서 멜라닌 생성이 가장 효율적으로 89.9%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시료는 또한 tyrosinase와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1)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노무라입깃해파리 가수분해 추출물의 화장품 미백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skin whitening effects of Nomura's jellyfish (Nemopilema nomurai) hydrolyzed extracts (NHE). The extracts were prepared through the hydrolysis of N. nomurai using commercial proteolytic enzymes such as Protamex, Alcalase, Flavourzyme and Neutrase with optimum pH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N-NHE의 효능은 대조군인 arbutin 보다 우수하였다. 멜라닌 저해 작용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멜라닌 합성 관련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tyrosinase, TRP-1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였다.
  • 본 연구는 노무라입깃해파리 유래 추출물의 미백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서의 유효성을 규명하고 산업소 재화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형성분의 해파리를 단백질 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후 얻은 수용성 분해물(NHE, N.
  • 본 연구에서는 노무라입깃해파리해파리(N. nomurai) 가수분해물을 화장품의 새로운 미백소재로 이용하고자 해파리 추출물을 효소처리한 후 미백활성을 측정하고, 그 작용기전에 대해 확인하였다. 해파리 가수 분해물(NHE, N.
  • MITF는 멜라닌 합성 과정에서 중요한 전사 조절 인자로 tyrosinase, TRP-1, TRP-2의 전사를 촉진한다[23-25]. 본 연구에서는 해파리가수분해물(N-NHE)의 미백효과 검증을 위해 멜라닌 합성 관련 단백질인 tyrosinase, TRP-1, TRP-2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10, 50, 100 µg/mL 농도의 N-NHE를 B16-F1 melanoma cell에 처리한 후 72 h 배양한 뒤 단백질을 모아 Western blot assay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의 주 역할은 무엇인가? 피부의 멜라닌(melanin)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색소(pigement)로서 과도하게 노출된 자외선(UV)으로부터 UV를 흡수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사람들의 야외활동 증가 등으로 인한 멜라닌의 과도한 형성은 기미(melasma), 검버섯(lentigo), 주근깨(freckles) 등 균일하지 못한 피부색을 형성하여 미용적인 불편함을 야기하며 의학적으로는 피부암과 같은 질병과 노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1].
체내에서 멜라닌은 어떻게 합성되는가? 멜라닌은 표피층 내부에 자리잡은 멜라닌형성세포 (melanocyte)내 소기관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아미노산인 tyrosine을 출발물질로 하여 생합성된다. 멜라닌 색소는 노란색에서 붉은색을 보이는 pheome-lanin과 검은색에서 갈색을 띠는 eumelanin으로 구별된다[2].
노무라입깃해파리의 개체 수 급증은 어떤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가? nomurai)는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자주 관찰되는 몸집이 큰 해파리이다. 최근 해수 온도의 상승 등으로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우리나라 연안에서 수산어구의 파귀와 어획물의 작업지연 등을 유발하여 정상적인 조업을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 해파리의 촉수는 독성을 띠고 있으며 해수욕객 등의 해파리 접촉에 의한 통증 유발 등은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수산업 분야 및 일상생활에 피해를 입히고 있는 해파 리의 방제뿐만 아니라, 수산자원의 산업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D. Tobin, A. Quinn, S. Ito, and A. Thody, The presence of tyrosinase and related protein in human epidermis and theri relationship in melanin type, Pigment Cell Res., 7, 204 (1994). 

  2. T. Kobayashi, W. D. Vieira, B. Potterf, C. Sakai, G. Imokawa, and V. J. Hearing, Modulation of melanogenic protein expression during the switch from eu-to pheomelanogenesis, J. Cell Sci., 108, 2301 (1995). 

  3. V. J. Hearing and M. Jimenez, Analysis of mammalian pigmentation at the molecular level, Pigment Cell Res., 2, 75 (1989). 

  4. V. J. Hearing and K. Tsukamoto, Enzymatic control of pigmentation in mammals, FASEB J., 5, 2902 (1991). 

  5. T. Kobayashi, K. Urabe, A. Winder, C. Jimenez- Cervantes, G. Imokawa, T. Brewington, F. Solano, J. C. Garcia-Borron, and V. J. Hearing,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1) functions as a DHICA oxidase in melanin biosynthesis, EMBO J., 13, 5818 (1994). 

  6. K. Yokoyama, H. Suzuki, K. Yasumoto, Y. Tomita, and S. Shibahara, Molecular cloning and functional analysis of a cDNA coding for human DOPAchrome tautomerase/tyrosinase-related protein-2, Biochim. Biophys. Acta., 1217, 317 (1994). 

  7. I. Aksan and C. R. Goding, Targeting the microphthalmia basic helix-loop-helix-leucine zipper transcription factor to a subset of E-box elements in vitro and in vivo, Mol. Cell Biol., 18, 6930 (1998). 

  8. C. A. Hodgkinson, K. J. Moore, A. Nakayama, E. Steingrimsson, N. G. Copeland, N. A. Jenkins, and H. Arnheiter, Mutations at the mouse microphthalmia locus are associated with defects in a gene encoding a novel basic-helix-loop-helix-zipper protein, Cell, 74, 395 (1993). 

  9. E. Steingrimsson, K. J. Moore, M. L. Lamoreux, A. R. Ferre-D'Amare, S. K. Burley, D. C. Zimring, L. C. Skow, C. A. Hodgkinson, H. Arnheiter, N. G. Copeland, and N. A. Jenkins, Molecular basis of mouse microphthalmia (mi) mutations helps explain their developmental and phenotypic consequences, Nat. Genet., 8, 256 (1994). 

  10. H. R. Widlund and D. E. Fisher, Microphthala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a critical regulator of pigment cell development and survival, Oncogene, 22, 3035 (2003). 

  11. N. J. Bentley, T. Eisen, and C. R. Goding, Melanocytespecific expression of the human tyrosinase promoter: activation by the microphthalmia gene product and role of the initiator, Mol. Cell Biol., 14, 7996 (1994). 

  12. C. Bertolotto, P. Abbe, T. J. Hemesath, K. Bille, D. E. Fisher, J. P. Ortonne, and R. Ballotti, Microphthalmia gene product as a signal transducer in cAMP-induced differentiation of melanocytes, J. Cell Biol., 142, 827 (1998). 

  13. C. Levy, M. Khaled, and D. E. Fisher, MITF: master regulator of melanocyte development and melanoma oncogene, Trends Mol. Med., 12, 406 (2006). 

  14. K. Yasumoto, K. Yokoyama, K. Takahashi, Y. Tomita, and S. Shibahara, Functional analysis of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in pigment cell-specific transcription of the human tyrosinase family genes, J. Biol. Chem., 272, 503 (1997). 

  15. U. Yavuzer, E. Keenan, P. Lowings, J. Vachtenheim, G. Currie, and C. R. Goding, The microphthalmia gene product interacts with the retinoblastoma protein in vitro and is a target for deregulation of melanocyte- specific transcription, Oncogene, 10, 123 (1995). 

  16. T. Takizawa, K. Mitsumori, T. Tamura, M. Nasu, M. Ueda, T Imai, and M Hirose, Hepatocellular tumor induction in heterozygous p53-deficient CBA mice by a 26-week dietary administration of kojic acid, Toxicol. Sci., 73, 287-293 (2003). 

  17. F. Solano, S. Briganti, M. Picardo, and G. Ghanem, Hypopigmenting agents: an updated review on biological, chemical and clinical aspects, Pigment Cell Res., 19, 550-571 (2006). 

  18. T. Nagai, W. Worawattanamteekul, N. Suzuki, T. Nakamura, T. Ito, K. Fujiki, M. Nakao, and T. Yano,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llagen from rhizostomous jellyfish, Food Chemistry, 70, 205 (2000). 

  19. Y. P. Hsieh, F. M. Leong, and J. Rudloe, Jellyfish as food, Hydrobiologia, 451, 11 (2001). 

  20. A. Masuda, T. Baba, N. Dohmae, M. Yamamura, H. Wada, and K. Ushida, Mucin (Qniumucin), a glycoprotein from jellyfish and determination of its main chain structure, J. Nat. Prod., 70, 1089 (2007). 

  21. T. Mosmann,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the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 assay, J. Immun. Methods, 65, 55 (1983). 

  22. M. Oka, M. Ichihashi, and A. K. Chakraborty, Enhanced expression of protein kinase C subspecies in melanogenic compartments in B16 melanoma cells by UVB or MSH, J. Invest. Dermatol., 106, 377 (1996). 

  23. R. Busca and R. Ballott, Cyclic AMP a key messenger in the regulation of skin pigmentation, Pigment Cell Res., 13, 60 (2000). 

  24. C. P. Sassone, Coupling gene expression to cAMP signalling: Role of CREB and CREM, Int. J. Biochem. Cell B., 30, 27 (1998). 

  25. B, Saha, S. K. Singh, C. Sarkar, R. Bera, J. Ratha, D. J. Tobin, and R. Bhadra, Activation of the MITF promoter by lipid-stimulated activation of p38-stress signalling to CREB, Pigment Cell Res., 29, 595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