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기반 정신건강증진 및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단기적 실시의 효과에 대한 예비연구
School-Based Short Term Mental Health Awareness and School Bullying Prevention Programs : Preliminary Report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5 no.4, 2014년, pp.196 - 202  

이다영 (국립서울병원 일반정신과) ,  노은미 (국립서울병원 소아정신과) ,  김인영 (국립서울병원 소아정신과) ,  고귀녀 (국립서울병원 소아정신과) ,  최정원 (국립서울병원 청소년정신과) ,  이영렬 (국립서울병원 일반정신과) ,  김예니 (국립서울병원 소아정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liminary effects of school-based short term mental health awareness and school bullying prevention programs. Methods : From April to December 2013, the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Promotion team of Seoul National Hospital condu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3년 4월부터 국립서울병원 공공정신보건사업단 내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사업팀이 학교폭력 관련 정신건강증진 사업을 시행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이 중 일선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성 증진, 정신건강 인식개선,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후의 인식변화를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인 학생정신건강제공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를 참고하여 친사회적 행동과 사회적 기술 향상을 목표로 하는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과 감정의 이해와 표현, 공감능력의 증진을 바탕으로 한 정신건강 인식개선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특히 정신건강 인식개선 프로그램을 통해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정신병리적 문제들에 대한 개선 효과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 일선학교에서 주로 시행되고 있는 일반적인 학교폭력 예방교육이 자존감, 분노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확인하여 사회성 증진, 정신건강 인식개선 및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학생들에게 적용하였을 때 개인의 정서와 행동에 어느 정도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학교폭력 관련 정신건강증진 사업의 일환으로 일반 초등,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성 증진, 정신건강 인식개선,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전후 비교를 통해 효율적인 학생정신건강제공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사회성 증진 및 정신건강 인식개선 프로그램 시행 전 후 학생들의 친사회적 행동 및 정신건강 인식이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경우 1회의 단기 개입 후에도 분노척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이 장기간 개입될 때 학교폭력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 및 행동 변화가 개선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현재까지의 정서조절능력 증진 프로그램들14,15)의 구성을 보면 타인과 자신의 감정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표현 방법, 비폭력적 갈등 해결 방법 등 주로 건강한 감정 표현과 사회적 기술 습득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참고하여 친사회적 행동과 사회적 기술 향상을 목표로 하는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과 감정의 이해와 표현, 공감능력의 증진을 바탕으로 한 정신건강 인식개선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특히 정신건강 인식개선 프로그램을 통해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정신병리적 문제들에 대한 개선 효과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 일선학교에서 주로 시행되고 있는 일반적인 학교폭력 예방교육이 자존감, 분노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확인하여 사회성 증진, 정신건강 인식개선 및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학생들에게 적용하였을 때 개인의 정서와 행동에 어느 정도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 척도는 일반 환자들을 대상으로 정신질환을 선별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최근 2-3주 동안의 심리적 상태와 평소의 심리적 상태를 비교하여 현재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불안, 우울, 사회적 부적응과 외출 빈도의 하위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는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일반적인 정신건강 수준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어 정신건강총점을 산출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정신건강수준이 낮음을 의미하고 한국의 선행 연구에서는 13점 이상을 정신질환의 위험성을 가진 것으로 선별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폭력을 당한 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은 어떠한가? 학교폭력을 당한 학생들은 자존감이 낮고, 불안감이 높으며 사회적 기술이 떨어지고, 자기 존중을 잘 하지 못하는 심리적 특성을 보이게 된다.1,2) 학교폭력을 경험한 청소년에서 우울증과 자살 위험도가 높으며,3) 국내 연구에서도 학교폭력을 경험한 아동들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및 우울장애 등의 만성 정신질환 발생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판 일반정신건강척도란 무엇인가? 정신건강 수준 측정을 위해 영국의 Goldberg23)가 개발한 정신건강척도인 일반정신건강척도(General Health Ques tionnaire)를 2001년 Shin24)이 한국판으로 표준화하여 개발한 한국판 일반정신건강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일반 환자들을 대상으로 정신질환을 선별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최근 2-3주 동안의 심리적 상태와 평소의 심리적 상태를 비교하여 현재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불안, 우울, 사회적 부적응과 외출 빈도의 하위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는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일반적인 정신건강 수준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어 정신건강총점을 산출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정신건강수준이 낮음을 의미하고 한국의 선행 연구에서는 13점 이상을 정신질환의 위험성을 가진 것으로 선별한다.24)
학교폭력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것은 무엇인가? 학교폭력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잠재적으로 학교폭력의 가해자 및 피해자가 될 수 있는 모든 학생들에게 예방 교육을 실시하여 학교폭력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 및 지역사회와 연계된 전문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학교 기반 학교폭력 예방교육 실시 현황을 살펴봤을 때 일회성의 형식적 교육이 많으며 시청각 자료 또는 담당 교사를 통한 강의에 중점을 두고 있어 전문적인 프로그램 진행과 그에 따른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Egan SK, Perry DG. Does low self-regard invite victimization? Dev Psychol 1998;34:299-309. 

  2. Graham S, Juvonen J. Self-blame and peer victimization in middle school: an attributional analysis. Dev Psychol 1998;34:587-599. 

  3. Kaltiala-Heino R, Rimpela M, Marttunen M, Rimpela A, Rantanen P. Bullying,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Finnish adolescents: school survey. BMJ 1999;319:348-351. 

  4. Song DH, Yook KH, Lee HB, Noh KS. A case-analysis of the psychiatric sequelae in adolescents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J Korean Acad Child Adolese Psychiatry 1997;8:232-241. 

  5. Strom IF, Thoresen S, Wentzel-Larsen T, Sagatun A, Dyb G. A prospective study of the potential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preventing marginalization among individuals exposed to bullying and abuse in junior high school. J Youth Adolesc 2014;43: 1642-1657. 

  6. Min BK, Kim HS. The impact of marital relationship, conjugal dynamics and family violence on juvenile delinquenc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7;36:878-895. 

  7. Lee JK, Chin TW, Cho JY. A study on anxiety, depression, repression and coping strategy of deliquent adolesc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8;37:493-500. 

  8. Kim HS. Discriminative factor analysis of delinquent behavior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8;37:483-492. 

  9. Kee BS, Lee JG, Lee GH, Min BK. A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of problem behaviors among adolescent delinquents and students in Korea. Chung Ang J Med 1987;12:499-517. 

  10. Jung JH. The study of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school 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2009. 

  11. Olweus D. Bullying at school: basic facts and effects of a school based intervention program.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94;35: 1171-1190. 

  12. Kim YK.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policy and legislation on school violence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2013. 

  13. Goleman D.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New York: Bantam;1995. 

  14. Lee HM. Effects of the emotion regulation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2013. 

  15. Kim SY. The effect of a emotion regulation program on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ggression problems [dissertation].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2008. 

  16. Kang YH.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strenghening program on emotional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of primary school students [dissertation]. Seoul: Hongik Univ.;2008. 

  17. Oh YL, Jeon SI. Social skill training. Seoul: Hana Medical Publisher; 2002. 

  18. Kim CK, Park JS, Choi YJ, Kim SH, Lee JE, Ko KN, et al. Child group counseling program. Seoul: Hakjisa;2004. 

  19. Kim KH. Rising mental power. Seoul: Hakjisa;1998. 

  20. Lee HJ. The effects of prosocial behavior training on prosocial moral reasoning, social responsi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motivation with reference to children's age and gender. Korean J Educ Psychol 1997;11:189-221. 

  21. Im J. The effects of an empathy-based group training program on the prosocial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 of Education;2005. 

  22. Choi KM. The effect of a pro-sociality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ir pro-social behaviors and group cohesion [dissertation]. Cheongju: Korea National Univ. of Education;2007. 

  23. Goldberg DP. The detection of psychiatric illness by questionnaire; a technique for the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non-psychotic psychiatric illness. London, New York: Oxford Univ. Press;1972. 

  24. Shin SI.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KGHQ-20 & KGHQ-30. Korean J Soc Welf 2001;46:210-235. 

  25. Rosenberg M.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1965. 

  26. Jeon B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974;11:107-129. 

  27. Novaco RW, Monahan J. Anger as a risk factor for violence among the mentally disordered. In: Monahan J, Steadman HJ, editors. Violence and Mental Disorder: Developments in Risk Assessment.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1994. p.21-59. 

  28. Namgung HS. Effects of anger control program. Seoul: Yonsei Univ.;1997. 

  29. Cho YJ. Moderating variables on the transition to bullies of witnesses or victims of bullying (wang-ta in Korean) [dissertation]. Seoul: Sookmyung Women's Univ.;2005. 

  30. Kang JH.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gg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as a function of child sex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2003. 

  31. Shin HS. The effect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human relations training on prosocial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dissertation]. Busan: Pusan National Univ.;1995. 

  32. Eagly AH, Wood W, Diekman AB. Social role theory of sex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 current appraisal. In: Eckes T, Trautner HM, editors. The Developmental Social Psychology of Gender.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2000. p.123-174. 

  33. Lee SM. The effect of personal, family, friend and school variable on prosocial behaviors among adolescents [dissertation]. Busan: Dong-A Univ.;2007. 

  34. Kim TW. A study on self-esteem, problem behavior, and altruistic behavior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2006. 

  35. Jang JW. The causal relationship of maternal factors, peer factors and empathy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dissertation]. Busan: Pusan National Univ.;2005. 

  36. Hong HJ. The effects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on the anger-control of middle school boys [dissertation]. Changwon: Changwon National Univ.;2009. 

  37. Sung JE. The effects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on school violence attitudes, anger and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