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육기 온도상승이 고추의 생육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levated Temperature in Growing Season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6 no.4, 2014년, pp.349 - 358  

송은영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문경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손인창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김천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임찬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손다니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오순자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육기 온도상승이 고추의 생육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온도구배터널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생육기 온도상승에 따른 고추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인 대기온도 조건에 비해 $2^{\circ}C$ 높은 고온조건에서 자라는 고추가 초장도 길었고, 줄기직경도 두꺼웠으며, 엽수, 식물체당 총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도 증가되었다. 평균 엽면적은 생육온도가 높아질수록 점점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주된 개화 및 착과시기인 6월 상순7월 상순(정식 후 30일~60일간)의 일평균 대기온도가 26.8인 대기온도 $+2^{\circ}C$조건에서 개화수 및 착과수가 가장 많았다. 고추 생육기 온도가 높을수록 과중은 적었고 과장도 짧아으며 과경도 얇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과실 적과수, 적과량, 건조과 중량, 주당 누적 적과수, 누적수량 및 건고추수량을 조사한 결과 대기온도 $+2^{\circ}C$ 조건에서 가장 많았다. 건고추의 유리당 함량을 조사한 결과 fructose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glucose 순 이었고 sucrose는 거의 측정되지 않았다. 고온성 노지작물인 고추는 생육온도조건보다 $2^{\circ}C$ 상승되었을때 수량이 13% 증가하나 $4^{\circ}C$ 상승되었을 때에는 20% 이상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생육기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서 병해과, 기형과 및 소과 발생은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충해과의 발생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 결과 대기온도보다 $2^{\circ}C$ 상승시킨 조건에서는 수량이 증가하고 품질도 유지되었으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수량 및 과실품질이 저하되고 병해피해도 발생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elevated temperature in growing season on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by cultivating pepper in the temperature gradient tunnels. Plant height, stem diameter, leaf number and total leaf area, fresh weight and d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노지채소인 고추를 온도구배터널에서 재배하면서 생육기 고온 조건이 고추의 생육 및 과실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기후온난화에 대비한 안정 재배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생육기 온도상승이 고추의 생육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온도구배터널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생육기 온도상승에 따른 고추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인 대기온도 조건에 비해 2℃ 높은 고온조건에서 자라는 고추가 초장도 길었고, 줄기직경도 두꺼웠으며, 엽수, 식물체당 총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도 증가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 재배환경에서의 환경 요인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식물은 동일종이라도 생육 환경의 변화에 따라 형태적 또는 생리적으로 생장 상태가 크게 달라진다. 환경 요인 중에서도 온도는 식물의 지리적 분포와 생존, 그리고 생산량에 직결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일정 수준보다 낮거나 높으면 저온 또는 고온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Oh et al., 2014).
폐쇄형 챔버(closed chamber) 또는 반폐쇄형 챔버(open-top chamber)를 이용한 시스템의 연구가 어려움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 1995; Porter and Semenov, 2005).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광량 등의 미세 기후를 실제 대기조건과 유사하게 만들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반면에 온도구배터널(temperature gradient tunnel system)은 온도를 제외한 다른 환경인자(광량, 대기 CO2 농도 등)를 자연상태와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한 반폐쇄형 장치이다.
지구온난화가 작물재배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는가? 2oC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였고, 작물재배에서 온도가 1oC 상승함에 따라 작물 재배가능 지역은 위도상으로 81km가 북상하며, 해발고도상으로는 154m 높아진다(Heo, 2013). 지구온난화는 작물의 개화, 출수시기 변화 등 생리적 변화를 일으키고 작물의 품질변화, 재배적지를 이동시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FAO, 2004). Hought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rew, J., 1995: Peppers; The domesticated capsicum. Univ. Texas Press. Austin. 

  2. Brown, D., and W. Blackburn, 1987: Impacts of freezing temperatures on crop production in Canada. Canadian Journal of Plant Science 67, 1167-1180. 

  3. Cho, B. C., K. W. Park, H. M. Kang, and H. K. Yun, 2004: Correlationship between climatic elements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fruit in different growing period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3(2), 73-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 B. C., K. W. Park, H. M. Kang, W. M. Lee, and J. S. Choe, 2004: Correlationship between climatic elements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fruit in different growing period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3(2), 67-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J.-Y., and J. I. Yun, 2002: Implementing the Urban Effect in an Interpolation Scheme for Monthly Normals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4, 203-2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ung, U., H.-C. Seo, J. I. Yun, and K.-H. Lee, 2003: An Optimum Scale for Topoclimatic Interpolation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in Complex Terrai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5, 261-2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ung, U., H.-H. Seo, K.-H. Hwang, B. S. Hwang, and J. I. Yun, 2002: Minimum Temperature Mapping in Complex Terrain Considering Cold Air Drainag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4, 133-1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FAO., 2004: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e in Asia and the Pacific. Twenty-seventh FAO Regional Conference for Asia and the Pacific. Beijing, China, 17-21 May 2004. 

  9. Hadley, P., G. R. Batts, R. H. Ellis, J. I. L. Morison, S. Pearson, and T. R. Wheeler, 1995: Temperature gradient chamber for research on global environment change. II. A twin-wall tunnel system for low-stature, field-grown crops using a split heat pump. Plant, Cell & Environment 18, 1055-1063. 

  10. Heo, Y., E. G. Park, B. G. Son, Y. W. Choi, Y. J. Lee, Y. H. Park, J. M. Suh, J. H. Cho, C. O. Hong, S. G. Lee, and J. S. Kang, 2013: The Influence of abnormally high temperature on growth and yield of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7(2), 9-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Houghton, J. T., L. G. Meira Filho, B. A. Callander, N. Harrirs, A. Katenberg, and K. Maskell, 1996. Climate change 1995.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12. Hwang, J. M., and B. Y. Lee, 1978: Studies on some horticultural characters influencing quality and yield in the pepper (Capsicum annuum L.). II. Correlations and selection.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19, 48-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Hwang, K.-H., J.-T. Lee, J. I. Yun, S.-O. Hur, and K.-M. Shim, 2001: Characteristics of Nocturnal Cooling at a Pear Orchard in Frost-Prone A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 206-2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I. contribution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New York, USA. 

  15. Jang, K. S., D. J. Choi, D. H. Pae, J. T. Yoon, and S. K. Lee, 2000: Effects of altitudes on growth and fruit quality i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41(5), 485-4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Jung, J. E., U. Chung, J. I. Yun, and D. K. Choi, 2004: The Observed Change in Interannual Variations of January Minimum Temperature between 1951-1980 and 1971-2000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 235-2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B. S., K. Y. Kim, S. K. Kim, and J. K. Sung, 1995: Pepper profitable techniques and marketing strategy. Nongminshinmunsa. 

  18. Kim, S. H., H. You, E. G. Park, B. G. Son, Y. W. Cho., Y. J. Lee, Y. H. Park, J. M. Suh, J. M. Suh, J. H. Cho, C. O. Hong, S. G. Lee, and J. S. Kang, 2013: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mino acid and polyamin on pollen germination of pepper(Capsicum annuum L.).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7(2), 1-8. 

  19. Ku, K. H., N. Y. Kim, J. B. Park, and W. S. Park, 2001.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pungency in the red pepper for Kimchi.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2(2), 231-2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H. D., M. H. Kim, and C. H. Lee, 1992: Relationships between the taste components and sensory preference of Korean red pepper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4, 266-2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Oh, S., K. H. Moon, I. C. Son, E. Y. Song, Y. E. Moon, and S. C. Koh, 2014: Growth, photosysthesis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of chinese cabbage in response to high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32(3), 318-329. (in Korean). 

  22. Park, C. R., and K. J. Lee, 1975: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rying methods upon the chemical changes in red pepper. II. change of free amino acid, free sugar.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8(4), 167-1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Park, J. C., S. M. Park, K. C. You, and C. S. Jeong, 2001: Changes in postharvest physiology and quality of hot pepper fruits by harvest maturity and storage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42, 289-2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Poster, J. R., and M. A. Semenov, 2005: Crop response to climatic variation. Philosophical Transactions B 360, 2021-2035. 

  25. Seong, R. C., and H. J. Lee, 2002: Physiology of crop plants. Korea Univ. Press, Seoul (in Korean). 

  26. Yun, J. I., J.-Y. Choi, and J.-H. ahn, 2001: Seasonal Trend of Elevation Effect on Daily Air Temperature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 96-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Yun, J. Y., D. O. Kim., G. W. Choi, and S. K. Park, 2002: Breeding of hot pepper varieties for the international market.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Korea. 279pp. 

  28. White, D. R., and W. W. Wider, 1990: Application of high performance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with pulsed amperometic detection to sugar analysis in citrus juice.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38, 1918. 

  29. Wolfe, D. W., M. D. Schwartz, A. N. Lakso, Y. Otsuki, R. M. Pool, and N. J. Shaulis, 2005: Climate change and shifts in spring phenology of three horticultural woody perennials in northeastern USA.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9, 303-3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