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물 인터넷 기반 스마트 콜드 체인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 구조
Smart Cold-Chain Monitoring Automation System Architectur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12, 2014년, pp.351 - 356  

김석훈 (창신대학교 모바일통신공학과) ,  한정수 (백석대학교 정보통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적으로 신선물류를 내장하고 있는 컨테이너 화물 혹은 일반 화물 등의 상태 및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콜드 체인 시스템 구축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어 왔지만, 관련업계에서 활용하고 있는 상태 및 위치 파악 방식은 아직까지 전통적인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사물 인터넷 기반 스마트 콜드 체인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 구축 시 적용할 수 있는 설계 기법 및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스마트 콜드 체인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 구조는 oneM2M 표준을 기반으로 S/W 및 H/W로 구현되는 Network Services Layer 및 Entity, Common Services Layer 및 Entity, Application Layer 및 Entity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신선물류 유통 시 해당 물류의 상태 및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물류의 유통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nerally, although securing the condition and location of container freights or normal freights, which load a fresh goods, has been a very important issue in the cold-chain system implementations, it has not gotten out of the traditional methods in the related business world yet. To solve this pro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대해 명확히 정의되어있는 표준화된 시스템이 부재한 상태일 뿐 아니라, 관련 시스템 구축을 위한 아키텍처 및 프로토콜 정의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신선 물류를 내장한 컨테이너 화물 및 일반화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 및 상태 파악이 가능한 사물 인터넷 기반 스마트 콜드 체인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의 설계 기법 및 아키텍처에 대해 제안한다. 제안하는 설계 기법 및 아키텍처는 다양한 센싱 및 IoT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실시간 혹은 준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선 물류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여 물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자동화된 스마트 콜드 체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시 필요한 사물 인터넷 기반 스마트 콜드 체인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설계 기법 및 아키텍처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설계 기법 및 아키텍처는 M2M/IoT 기술을 기반으로 유통되는 신선물류의 상태 및 위치를 파악하여, 보다 투명하고 안전한 신선물류의 유통을 보장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자가 제안하는 스마트 콜드 체인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 구조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사물 인터넷 기반 스마트 콜드 체인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 구축 시 적용할 수 있는 설계 기법 및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스마트 콜드 체인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 구조는 oneM2M 표준을 기반으로 S/W 및 H/W로 구현되는 Network Services Layer 및 Entity, Common Services Layer 및 Entity, Application Layer 및 Entity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신선물류 유통 시 해당 물류의 상태 및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물류의 유통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IoT/M2M 기술이 주목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본적으로 IoT/M2M (Internet of Things/Machine to Machine) 기술은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acation), NFC (Near Field Communicatoin), Wi-Fi (Wireless Fidelity), Bluetooth, ZigBee, 3GPP 계열의 이동통신 기술 (LTE 등), 위성통신 기술 등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들을 활용하여 물리공간 및 가상공간에 존재하는 지능화된 사물들을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시켜 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미래 인터넷 인프라 기술로 정의되고 있는데, 특히 물류/유통, 환경, 의료 등 SCC (Smart Cold-Chain)가 적용될 수 있는 산업분야와 밀접한 연관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특히 주목 받고 있다.
플랫폼 기반의 환경을 활용하는 것이 더욱 선호되고 있음을 어떤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는가? 이를 통해, IoT 분야에서도 기존의 다른 기술 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아래 단계부터 완전히 코딩에 의존하는 구성을 보다는 플랫폼 기반의 환경을 활용하는 것이 더욱 선호되고있다. 이는 국제적인 무선통신 사업자 및 모듈 제조사들이 디바이스 플랫폼으로 Oracle Java ME Embedded를 선택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통해서도 쉽게 알 수 있다[1,2,3]. 결과적으로 이러한 기술 성숙을 바탕으로 IoT/M2M을 물류/유통, 환경, 의료 등 SCC가 적용될 수 있는 타 산업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충분한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 H. Choi, C-P-N-D Ecological System and ICC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3, pp. 7-16, 2014. 

  2. S. H. Lee, and D. W. Lee, A Study on Internet of Things in IT Convergence Perio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7, pp. 267-272, 2014. 

  3. G, J, Kim, and J. S. Han, Chronic Disease Management using Smart Mobile Devi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4, pp. 335-342, 2014. 

  4. J. D. Kim, J. H. Jang, and J. H. Jeong, LGERI Report: IoT era, LG Business Insight, pp. 2-14, 2014. 

  5. D. H. Shin, Weekly Focus: IoT era - it is the different 3 things from mobile era, LG Business Insight, pp. 29-38, 2014. 

  6. O. S. Kweon, M2M trend and challenge, Journal of Communications & Radio Spectrum, Vol. 52, No. 8, pp. 4-21, 2012. 

  7. Korea Communications Agency, Future of Freight Container Traceability Monitoring, Vol. 25, pp. 1-16, 2013. 

  8. ITU-T, Location Matters: Spatial Stnadards for the Internet of Things ITU-T Technology Watch Report, Sep., 2013. 

  9. IoT-A, D1.5-Final Architectural Reference Model for IoT v3.0, 2013. 

  10. Alessio Carullo, Simone Corbellini, Marco Parvis, and Alberto Vallan, A Wireless Sensor Network for Cold-Chain Monitoring, IEEE Transactions on Instrumentatation and Measurement, Vol. 58, No. 5, pp. 1405-1411, May, 2009. 

  11. Rohit Chaudhri, Gaetano Borriello, and Richard Anderson, Monitoring Vaccine Cold Chains in Developing Countries, IEEE Pervasive Computing, Vol. 11, Issue 3, pp. 26-33, 2012. 

  12. oneM2M, oneM2M Functional Architecture Baseline Draft, oneM2M-TS-0001-V-2014-08, oneM2M Technical Specification,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