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체 근로자의 비만도 따른 척추안정화근력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Spinal Stabilization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BMI for Industrial Work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12, 2014년, pp.441 - 447  

강경환 (건양대학교 재활퍼스널트레이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기업에 근무하는 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비만도에 따른 척추안정화근력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편의표본 추출방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에 의하여 50명을 표본을 추출하여, 체질량지수(BMI) $25kg/m^2$ 이상을 비만군(25명), 이하를 정상군(25명)으로 분류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으로 분석하였다. 집단간 척추안정화근력의 측정결과 정상군의 평균이 비만군에 비해 모두 높았으며, Sagittal Plane에서는 $0^{\circ}$ Forward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Coronal plane에서는 $90^{\circ}$ Left, $90^{\circ}$ Right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Diagonal Plane에서는 $45^{\circ}$ Left Tilt, $45^{\circ}$ Right Tilt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BMI 분류에 따른 근육량과 골격근량의 분석결과에서는 비만군이 정상군에 비해 모두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만군이 정상군에 비해 근육량은 많지만 척추안정화근력은 약하다는 것을 감안하여 Sagittal Plane, Coronal plane, Diagonal Plane에서의 비만인을 위한 척추안정화 강화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fferences of spinal stabilization muscle strength between groups classified by BMI for industrial workers. Fif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divided to obesity group(BMI over $25kg/m^2$) and non obesity group(BMI under $25kg/m^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 Forward 쪽으로 기울일 때 ES와 MF의 근육이 가장 활성화 되었고 180° Backward쪽으로 몸통이 기울어지면서 RA, OI, OE의 근육의 활성화도가 증가한다고 하여 본 연구와 같은 결과를 제시하였다.
  • 요통감소를 위해 척추안정화근육의 강화와 골반의 안정화와 같은 프로그램들이 효율적으로 실행되어 왔지만, 만성 요통환자에 있어 비만이 기능저하의 중요한 요인임에도[19] 불구하고 비만과 척추안정화근육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비만도에 따른 척추안정화근육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으며, CENTAUR 이용한 3차원 공간 회전운동 시 다양한 각도의 척추안정화근력 측정을 통해 각도 변화에 대한 척추안정화근력의 변화에 대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척추안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기업에 근무하는 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BMI 분류에 따른 척추안정화근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는 대기업에 근무하는 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비만도에 따른 척추안정화근력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실험은 횡단적연구(Cross-sectional study)로 진행되었다.

가설 설정

  • 가설 2. BMI 분류에 따른 Coronal Plane에서 척추안정화근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BMI 분류에 따른 Diagonal Plane에서 척추안정화근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1. BMI 분류에 따른 Sagittal Plane에서 척추안정화근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구적인 식습관으로의 변화가 야기하는 문제점은? 현대사회의 발달은 IT문화와 같이 많은 정보들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하였고 복잡한 노동의 형태를 단순 반복작업으로 노동과 직업의 패턴을 바꾸어 놓았다. 생활의 편리함은 좌업생활자의 증가를 가져왔고 서구적인 식습관으로의 변화는 비만 인구의 증가와 당뇨병, 고지혈증과 같은 성인병뿐만 아니라 비만으로 인한 척추전만증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을 증가시키고 있다. 근골격계 질환이란 주로 단순 반복 작업을 하는 기계적 스트레스가 신체에 누적되어 나타나는 목, 어깨, 팔, 팔꿈치, 손목, 손, 등의 신경, 건, 근육과 그 주변조직에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1].
현대사회의 발달로 생긴 이점은? 현대사회의 발달은 IT문화와 같이 많은 정보들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하였고 복잡한 노동의 형태를 단순 반복작업으로 노동과 직업의 패턴을 바꾸어 놓았다. 생활의 편리함은 좌업생활자의 증가를 가져왔고 서구적인 식습관으로의 변화는 비만 인구의 증가와 당뇨병, 고지혈증과 같은 성인병뿐만 아니라 비만으로 인한 척추전만증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을 증가시키고 있다.
근골격계 질환 중 요통의 특징은? 근골격계 질환이란 주로 단순 반복 작업을 하는 기계적 스트레스가 신체에 누적되어 나타나는 목, 어깨, 팔, 팔꿈치, 손목, 손, 등의 신경, 건, 근육과 그 주변조직에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1]. 그 중에서 요통은 업무상 질병자 수가 53.7%로 흔한 질병이며[2], 영국의 경우 성인의 49%가한 해 적어도 24시간 이상 지속되는 요통은 보고하고 성인 5명 중 4명은 평생에 한번 경험한다[3]. 비만이 반드시 요통의 원인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비만은 신체의 분절, 즉 허리, 무릎, 발의 중량을 늘려 체형의 변형을 가져오고 일상생활 활동의 역학적 기능을 제한하여 상해를 일으킨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inistry of Labor, Work management guideline of workers with Repetitive motion tasks. The Notification of Ministry of Labor(No. 200-72), 2000. 

  2.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A survey for causes of industrial accidents(report of work-related accident). 2008. 

  3. D. Coggon, & K. T. Palmer, Assessing fitness for work and writing a "fit note". British Medical Journal, Vol. 341, pp. 1213-1217. 2010. 

  4. H. S. Kim, & E. Taylor, Original Articles : Impact of Body Weight and Central Obesity on Postural Stability in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Vol. 18, No. 2, pp. 72-77, 2009. 

  5. Y. S. Kim, & C. H. Lee, Effect on obesity evaluation by methods of body mass measurement. The Kor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Vol. 33, pp. 488-497, 1995. 

  6. B. J. Sung, D. H. Park, B. G. Ko, Y. S. Kim, M. C. Lee, S. W. Youn, S. H. Lee, & S. K. Kim, The effect of exercise and 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on the body composition circumference & blood lipids of middle-aged obese women.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Vol. 16, No. 4, pp. 20-34, 2005. 

  7. N. N. Byl, & P. Sinnott, Variations in balance and body sway in middle-aged adults: Subject with healthy backs compared with subjects with low back dysfunction. Spine, Vol. 16, No. 3, 325-330, 1991. 

  8. A. Karlsson, & G. Frykberg, Correlations between force plate measures for assessment of balance. Clinical Biomechanics, Vol. 15, pp. 365-369, 2000. 

  9. B. W. Nelson, Treatment of surgical candidates with aggressive strengthening: results in a group of 140 cervical and lumbar patients. Exercise Rehabilitation of the Spine: Update '95, Sponsored by the University of Florida College of Medicine. April, 1995. 

  10. H. I. Andersson, G. Ejlertsson, I. Leden, & C. Rosenberg, Chronic pain in a geographically defined general population: studies of differences in age, gender, social class, and pain localization. Clinical Journal Pain, Vol. 9, No. 3, pp. 174-82, 1993. 

  11. J. E. Graves, M. L. Pollock, D. M. Carpenter, S. H. Leggett, A. Jones, M. MacMillan, & M. Fulton, Quantitative assessment of full range of motion isometric lumber extension strength. Spine, Vol. 15, No. 4, pp. 289-294, 1990. 

  12. J. E. Graves, M. L. Pollock, D. Foster, S. H. Leggett, D. M. Carpenter, R. Vuoso, & A. Jones, Effect of training frequency and specificity on isometric lumber extension strength. Spine, Vol. 15, No. 6, pp. 504-509, 1990. 

  13. J. E. Graves, M. L. Pollock, D. Foster, S. H. Leggett, D. M. Carpenter, R. Vuoso, & A. Jones, Effect of training frequency and specificity on isometric lumber extension strength. Spine, Vol. 15, No. 6, pp. 504-509, 1990. 

  14. W. S. Chung, S. S. Kim, & M. Y. Song, Correlation between obesity and lumbar lordosis in obese pre-menopausal korean females. Journal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Vol. 13, No. 3, pp. 91-99, 2003. 

  15. G. S. H, K. S. Lee, & G. D. Kim, Effects of obesity on the weight distribution and lumbar extension strength in femal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The Kor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19, No. 3, pp. 937-945, 2010. 

  16. P. W. Brill, & G. S. Couzen, The core program. 1st ed. New York: Bantam Book, 2002. 

  17. P. W. Hodge, & C. A. Richardson, Contraction of the muscle associated with movement of the lower limb. Physical Therapy, Vol. 77, pp. 132-142, 1997. 

  18. G. A. Koumantakis, P. J. Watson, & J. A. Oldham, Trunk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plus general exercise versus general exercise onl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atients with recurrent low back pain. Phys Ther, Vol. 85, No. 3, pp. 206-208, 2005. 

  19. J. M. Friedman, T. Elasy, & G. L. Jense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self-reported functional limitation among older adults: A gender differenc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 49, No. 4, pp. 398-403, 2001. 

  20. D. M. Carpenter, & B. W. Nelson, Low back strengthening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ow back pai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31, No. 1, pp. 18-24, 1999. 

  21. C. Anders, G. Brose, G. O. Hofmann, & H. C. Scholle, Evaluation of the EMG-force relationship of trunk muscles during whole body tilt. Journal of Biomechanics, Vol. No.41, pp. 333-339, 2008. 

  22. R. F. Fabio, N. B. Thomaz, S. H. Erica, & P. M. Amelia, Segmental stabilization and muscular strengthening in chronic low back pain-a comparative study. Clinics, Vol. 65, No. 10, pp. 1013-1017, 2010. 

  23. B. L. Johnson, & J. K. Nelson, Practical measurements for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Minneapolis: Burgess, 1986. 

  24. D. G. Behm, E. J. Drinkwater, J. M. Willardson, & P. M. Cowley. The use of instability to train the core in athletic and non-athletic conditioning. Applied Physiology Nutrition Metabolism, Vol. 35, No. 1, pp. 91-108,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