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노인과 비만노인의 대퇴부 근육량과 근력비교연구(Intermuscular fat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the Thigh Composition and its Functional Contractility in Obese and Nonobese Elderly Patien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4 no.10 = no.174, 2014년, pp.1125 - 1131  

최승준 (경성대학교 스포츠건강학부) ,  박성모 (동의대학교 체육학과) ,  곽이섭 (동의대학교 체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비만노인과 일반노인의 대퇴부 근육량과 등속성 근력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65~79세 사이 노인들을 비만군(BMI>25, N=21)과 일반군(BMI<25, N=13)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퇴부 근육량 및 지방량 측정 등은 CT 촬영을 통해 측정하였고, 대퇴부 등속성 근력은 BIODEX를 이용해 최대 신전력을 측정하였다. 모든 변인은 two-way ANOVA로 검증한 후 유의한 경우 Contrast test를 통해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퇴부 총 부피는 남녀 모두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퇴부 근육 부피는 비만군 남자가 일반군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비만군에서 남녀 성별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피하지방은 그룹간과 그룹내 성별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근간지방의 경우 비만군과 일반군의 동일 성별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간지방은 일반군 남자에서 비만인 남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간 유의한 차이도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비만 노인은 일반노인보다 남녀 모두 큰 대퇴부 근육 부피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위 체중당 대퇴부 근력은 일반노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만노인에 비해 일반노인의 근육기능이 생리적으로 더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driceps composition and its functional contractility in obese and nonobese elderly individuals. Thirty-four ($70{\pm}2yr$) individuals (obese, n=21; nonobese, n=13)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thigh composition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그리고 근수축력에 관련된 연구들이 최근 많이 수행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비만노인과 정상체중 노인을 대상으로 근간지방량과 근력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노인과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대퇴부 근간 지방 수준에 따른 대퇴부 근육량 및 등속성 근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노인과 정상체중 노인을 대상으로 대퇴부의 근간지방량(intermuscular fat)과 근력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모든 대퇴부 구성요소(총 대퇴부피, 근육, 피하지방, 근간지방)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부피를 나타냈고 비만그룹이 일반그룹 보다 높은 부피를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감소성 비만은 무엇인가? 노인들은 노화에 따른 다양한 생리적 변화를 겪게 되는데 그 중 근감소성 비만(sarcopenic obesity)은 체중은 변하지 않더라도 체성분의 변화가 나타나며 근육량이 감소되고 그 자리에 체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말한다[6]. 이러한 현상은 일상생활의 활동능력을 떨어뜨리는 직접적인 원인이며 이로 인해 노인들의 삶의 질은 저하된다[19].
남성의 체중 증가와 하체 피하지방 증가와의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남성은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주로 복부에 지방이 축적되고 심각한 비만이 될 때까지 하체 피하지방이 증가 되지 않는다[15]. 선행연구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내장지방량이 약 두 배정도 많다고 하였으며 비만하지 않더라도 대사 및 심혈관 질환의 유병률이 높다고 하였다.
비만노인과 일반노인의 대퇴부 근육량과 등속성 근력의 차이는 어떠한가? 그 결과 대퇴부 총 부피는 남녀 모두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퇴부 근육 부피는 비만군 남자가 일반군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비만군에서 남녀 성별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피하지방은 그룹간과 그룹내 성별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근간지방의 경우 비만군과 일반군의 동일 성별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간지방은 일반군 남자에서 비만인 남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간 유의한 차이도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비만 노인은 일반노인보다 남녀 모두 큰 대퇴부 근육 부피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위 체중당 대퇴부 근력은 일반노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bdelmoula, A., Martin, V., Bouchant, A., Walrand, S., Lavet, C., Taillardat, M., Maffiuletti, N. A., Boisseau, N., Duche, P. and Ratel, S. 2012. Knee extension strength in obese and nonobese male adolescents. Appl Physiol Nutr Metab 37, 269-275. 

  2. Addison, O. A., Marcus, P. C., LaStsyo, P. C. and Ryan, A. S. 2014. Intermusclear fat: a review of the consequences and causes. Int J Endocrinol, e309570. 

  3. Aniansson, A., Hedberg, M., Henning, G. B., and Grimby, G. 1986. Muscle morphology, enzyme activity, and muscle strength in elderly men: a follow-up study. Muscle Nerve 9, 585-591. 

  4. Cawthon, P. M., Fox, K. M. and Gandra, S. R. 2009. Do muscle Mass, muscle density, strength, and physical function similarly influence risk of hospitalizaion in older adults? J Am Geriatr Soc 57, 1411-1419. 

  5. Chen, B. B., Shih, T. T., Hsu, C. Y., Yu, C. W., Wei, S. Y., Chen, C. Y., Wu, C. H. and Chen, C. Y. 2011. Thigh muscle volume predicted by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correlated with physical function in the older adults. J Nutr Health Aging 15, 433-438. 

  6. Cruz-Jentoft, A. J., Baeyens, J. P, Bauer, J. M., Boirie, Y., Cederholm, T. and Landi, F., et al. 2010. Sarcopenia: European consensus on definition and diagnosis: Report of the european working group on sarcopenia in older people. Age Ageing 39, 412-423. 

  7. Farr, J. N., Van Loan, M. D., Lohman, T. G. and Going, S. B. 2012. Lower physical activity is associated with skeletal muscle fat content in girls. Med Sci Sports Exerc 44, 1375-1381. 

  8. Hong, J. Y. and Oak, J. S. 2013. Effects of 12 weeks aerobic, anaerobic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Fitness, body composition, skeletal muscle index and blood lipid profiles in obese elderly women. Korean J Obes 22, 30-38. 

  9. Huh, K. B., Lee, H. C., Kim, H, S. and Lee, J. H. 1998. Influence of age on serum hormone levels, visceral fat area and thigh muscle mass in healthy Korean men. Korean J Med 54, 406-414. 

  10. Kim, C. G., Lee, S. K., Kwon, Y. W. and Park, J. B. 2001. Correlation of isokinetic strength and cross-sectional area on psoas major and thigh muscles in elderly wome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Institute of Sports Science 20, 117-128. 

  11. Kim, H. J. 2012. Influence of aging and 10-wk resistance training on anabolic hormonal response and cross- sectional area of quadriceps muscle in men. Korean J Physical Education 51, 389-397. 

  12. Kim, H. T. 2001. The study for comparative thigh muscle between male athletic athletes and common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Korean J Phys Educ 40, 613-625. 

  13. Kim, K. J. 2009. The role of exercise on the activation of lipid metabolism in obese. Exerc Sci 12, 553-573. 

  14. Kim, T. N., Park, M. S., Yang, S. J, Yoo, H. J., Kang, H. J., Song, W., Seo, J. A., Kim, S. G., Kim, N. H., Baik, S. H., Choi, D. S. and Choi, K. M. 2013. Body size phenotypes and low muscle mass: the Korean sarcopenic obesity study (KSOS). J Clin Endocrinol Metab 98, 811-817. 

  15. Kissebah, A. H. and Krakower, G. R. 1994. Regional adiposity and morbidity. Physiol Rev 74, 761-811. 

  16. Macaluso, A. and De Vito, G. 2004. Muscle strength, power and adaptations to resistance training in older people. Eur J Appl Physiol 91, 450-472. 

  17. Maly, M. R., Calder, K. M., Macintyre, N. J. and Beattie, K. A. 2013. Relationship of Intermuscular fat volume in the thigh with knee extensor strength and physical performance in women at risk of or with knee osteoarthritis. Arthritis Care Res (Hoboken) 65, 44-52. 

  18. Marcus, R. L., Addison, O., Kidde, J. P., Dibble, L. E. and Lastayo, P. C. 2010. Skeletal muscle fat infiltration: impact of age, inactivity, and exercise. J Nutr Health Aging 14, 362-366. 

  19. Michael, J. J. 2005. Muscle strength, body composition, hormones, and aging. Exerc Sport Sci Rev 33, 61-62. 

  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2. 2011 National Health Statistics; 5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nd year (2011).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1. Parkkola, R., Kujala, U. and Rytokoski, U. 1992. Response of the tunk muscles to training assess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muscle strength.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65, 383-387. 

  22. Snijder, M. B., Dekker, J. M. and Visser, M. et al. 2003. Larger thigh and hip and thigh circumferences independent of waist circumference with the incidence of type-2 diabetes: the Hoorn Study. Am J Clin Nutr 77, 1192-1197. 

  23. Visser, M., Goodpaster, B. H. and Kritchevsky, S. B. 2005. Muscle mass, muscle strength, and muscle fat infiltration as predictors of incident mobility limitations in well-functioning older person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60, 324-333. 

  24. Walts, C. T., Hanson, E. D., Delmonico, M. J., Yao, L., Wang, M. Q. and Hurley, B. F. 2008. Do sex or race differences influence strength training effects on muscle or fat? Med Sci Sports Exerc 40, 669-676. 

  25. Yoon, J. H. 2012. Resistance Exercise strategies for sarcopenic obesity in elderly people. Korean J Obes 21, 5-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