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순창군 장류로부터 분리된 황국균의 동정 및 특성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spergillus oryzae Isolated from Soybean Products in Sunchang County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2 no.4, 2014년, pp.282 - 288  

임은미 (순창군 장류사업소) ,  이지영 (순창군 장류사업소) ,  모하메드 (우석대학교 제약공학과) ,  한갑훈 (우석대학교 제약공학과) ,  이보순 (우석대학교 외식산업조리학과) ,  조용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식품과) ,  김현영 (순창군 장류사업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순창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장류에서 곰팡이를 분리하고 동정하여 보다 안전하고 기능성이 높은 발효제품을 위한 균주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순창지역에서 생산되는 장류 제품으로부터 곰팡이를 분리하여 ${\beta}$-tubulin 유전자 분석 통해 10개의 균주가 Aspergillus oryzae/flavus complex임을 알 수 있었다. 보다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아플라톡신 클러스터 유전자 중에 하나인 omtA의 염기서열을 증폭하여 A. oryzae와 A. flavus 표준 균주의 omtA 서열과 함께 계통 분류한 결과, A. oryzae의 표준 균주와의 유연관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norB-cypA 사이의 염기서열을 증폭한 결과 500 bp이 증폭 산물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표준 균주인 A. oryzae의 norB-cypA 사이의 염기서열 증폭 산물과 동일한 크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oryzae로 확인된 10균주를 활용하여 코지를 제조하고 ${\alpha}$-amylase 활성과 prote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Protease 활성은 6, 13, 17, 27, 37, 그리고 38 균주로 제조된 코지는 대조구(시판되고 있는 종균으로 제작한 코지)보다 2배 정도 높은 protease 활성을 보였으며, ${\alpha}$-amylase 활성은 257~320 U/mL로 측정되었다. 식품안전성을 위한 아플라톡신 분비 확인 결과, 63번 균주로 제조된 코지를 제외한 모든 코지에서 아플라톡신을 만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순창에서 분리된 A. oryzae는 추후 메주 접종균으로 개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solate fungi from soybean fermented foods produced in Sunchang County and to identify Aspergillus oryzae from fungal isolates. Ten fungal isolates were identified with ${\beta}$-tubulin gene. According to the sequences of ${\beta}$-tubulin ge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oryzae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ominaga 등[22]과 Ehrlich 등[23]의 방법에 따라 A. oryzae와 A. flavus를 분류하기 위해 아플라톡신 유전자 군 중 omtA와 norB-cypA의 multiplex PCR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순창군에서 조제 및 시판되고 있는 메주 및 전통 장류 제품에서 황국균을 분리 및 선별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별된 황국균을 활용하여 코지를 제조하여 효소활성 측정하고 아플라톡신 생성 유무 확인하여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황국균을 확보하여 이를 메주 접종균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순창군에서 조제 및 시판되고 있는 메주 및 전통 장류 제품에서 황국균을 분리 및 선별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별된 황국균을 활용하여 코지를 제조하여 효소활성 측정하고 아플라톡신 생성 유무 확인하여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황국균을 확보하여 이를 메주 접종균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순창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장류에서 곰팡이를 분리하고 동정하여 보다 안전하고 기능성이 높은 발효제품을 위한 균주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순창지역에서 생산되는 장류 제품으로부터 곰팡이를 분리하여 βtubulin유전자 분석 통해 10개의 균주가 Aspergillus oryzae/flavus complex임을 알 수 있었다.
  • oryzae로 추정되는 균주를 확인하는데 유용한 유전정보를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norB-cypA 사이에 1.5 kb 정도가 결손되었는지를 확인하고자 PCR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량식 된장과 비교한, 재래식 방법으로 생산되는 전통된장의 장단점은? 우리나라의 된장은 콩메주를 주원료로 하여 자연접종의 형태로 발효되는 재래식 방법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곡물에 황국균(Aspergillus oryzae)을 배양하여 제조한 코오지(Koji)로 콩과 함께 혼합, 담금하여 제조한 미소(일본식 된장)의 제조기술과 제조설비의 기계화가 이루어지면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개량식 된장이 보급되었다[1-5]. 품질과 기호도의 측면에서 보면 전통된장의 깊고 구수한 맛이 일반적으로 기호성에서는 우수하나, 품질의 균일화가 어려워 제조업체에 따라 관능품질의 차이가 많으며 소비자의 연령층이나 취향에 따라 선호도의 차이가 크다[6, 7]. 한편, 공장에서 대량생산하는 개량식 된장은 맛과 풍미를 개선하고자 코지와 메주를 혼합 이용하여 전통풍미를 지닌 개량된장을 제조하고 있으나 업체별, 제품종류별 품질차이가 있으며 품질특성으로는 전통된장과 일본식된장의 중간 형태를 띠고 있다.
Aspergillus 종 곰팡이는 어디에 활용되어 왔나? Aspergillus 속 곰팡이는 큰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교적 높은 온도, 낮은 수분활성에서 생장 가능하다. 따라서다양한 Aspergillus 종 곰팡이는 경제적 중요한 곰팡이로 인식되어 왔으며, 화학물질 합성, 생합성 변형 그리고 효소생산 등에 활용되어 왔다. 특히 A.
우리나라 전통된장에, 특유의 품질 특성이 나타나는 원리는? 우리나라 전통된장 제조시에 메주를 띄우는 동안 수많은 종류의 세균과 곰팡이류가 자연적으로 착생하여 서식하기 때문에, 숙성과정에서 이들 미생물들의 대사작용에 의하여 된장 특유의 품질 특성이 나타나게 된다[8, 9]. 따라서 제조 장소 및 제조시기에 따라 전통메주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고, 잡균의 혼입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으며, 최근 전통 장류에서 과량 섭취 시 식중독 증상을 유발시키고 강력한 발암물질로 전환될 수 있는 잠재성을 갖고 있는 바이오제닉 아민[10], 발암성과 돌연변이성, 기형발현성 등을 나타내는 독성물질인 곰팡이독소 발생[11], Bacillus cereus와 Clostridium perfringens 등 식중독균의 증식[12, 13] 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ung YJ, Chung SH, Lee HK, Chun HS, Hong SB.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ungi from a Meju contaminated with aflatoxins. J Microbiol Biotechnol 2012;22:1740-8. 

  2. Kim JH, Yoo JS, Lee CH, Kim SY, Lee SK. Quality properties of soybean pastes made meju with mold producing protease isolated from traditional meju. J Kor Soc Appl Biol Chem 2006;49:7-14. 

  3. Lee CH, Lee SS. Cereal fermentation by fungi. Appl Mycol Biotechnol 2002;2:151-70. 

  4. Lee SS, Park KH, Choi KJ, Won SA.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f Zygomycetous fungi found on maeju, a raw material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s. Kor J Mycol 1993;21:172-87. 

  5. Yoo SK, Kang SM, Noh YS. Quality properties on soy bean pastes made with microorganism isolated from traditional soy bean pastes. Kor J Food Sci Technol 2000;32:1266-70. 

  6. Park JS, Lee MY, Kim JS, Lee TS. Compositions of nitrogen compound and amino acid in soybean paste(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Kor J Food Sci Technol 1994;26:609-15. 

  7. Song JY, Ahn CW, Kim JK. Flavor components produced by microorganism during fermentation of Korea ordinary soybean paste.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984;12:147-52. 

  8. Chang M, Chang HC. Characteristics of bacterial-koji and doenjang (soybean paste) made by using Bacillus subtilis DJI. Kor J Microbiol Biotechnol 2007;35:325-33. 

  9. Lee, GG. Soybean paste with good storage stability and flavor, and preparation method for the same. Kor Patent 2004; 10-0457354. 

  10. Lee HT, Kim JH, Lee SS. Analysi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and biogenic amines content in traditional and commercial Doenjang. J Fd Hyg Safety 2009;24:102-9. 

  11. Kang KJ, Kim HJ, Lee YG, Jung KH, Han SB, Park SH, Oh HY. Administration of mycotoxins in food in Korea. J Fd Hyg Safety 2010;25:281-8. 

  12. Koo MS. Bacillus cereus: An ambusher of food safety. Bull Food Technol 2009;22:587-600. 

  13. Lee NH, Jo EJ, Oh SW, Hong SP. Study on the Hurdle technique for the reduction of Bacillus cereus spore in Doenjang and Gochujang. J Kor Soc Food Sci Nutr 2012;41:1842-6. 

  14. Choi JH, Kim MH, Shon MY, Park SK, Choi SD, Hong H. Product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capsule type Meju prepared with Rhizopus oligosporus. Kor J Preserv 2002;9:315-20. 

  15. Lee SS, Park KH, Choi KJ, Won SA.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f Zygomycota fungi found on meju, a raw material of Korean traditional soy sources. Kor J Mycol 1993;21:172-87. 

  16. Sakurai Y, Shioda H, Komagata K, Kim CS. The physical properties and identification of molds isolated from Korean Meju. J Dongguk Univ. 1984;23:273-90. 

  17. Sookkheo B, Sinchaikul S, Phutrakul S, Chen ST.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highly thermostable proteases from Bacillus stearmothermphilus TLS33. Protein Expr Purif 2000;20:142-51. 

  18. Kim HJ, Lee JJ, Cheigh MJ, Choi SY. Amylase, protease, peroxidase and ascorbic acid oxidase activity of Kimchi ingredients. Kor J Food Sci Technol 1998;30:1333-8. 

  19. Chang PK, Ehrlich KC, Hua SST. Cladal relatedness among Aspergillus oryzae isolates and Aspergillus flavus S and L morphotype isolates. Int J Food Microbiol 2005;25:172-7. 

  20. Glourama, H. Bullerman, LB. Aspergillus flavus and Aspergillus parasticus, aflatoxingenic fungi of concern in foods and feeds-a review. J Food Protec 1995;58:1395-404. 

  21. Kurtzman CD, Horn BW, Hesselitine CW. Aspergillus nomius, a new aflatoxin producing species related to Aspergillus flavus and Aspergillus tamari. J Microbiol 1987;53:147-58. 

  22. Tominaga M, Lee YH, Hayashi R, Suzuki Y, Yamada O, Sakamoto K, Gotoh K, Akita O. Molecular analysis of an inactive aflatoxin biosynthesis gene cluster in Aspergillus oryzae RIB strain. Appl Environ Microbiol 2006;72:484-90. 

  23. Ehrlich KC, Chang PK, Yu J, Cotty PJ. Aflatoxin biosynthesis cluster gene cypA is required for G aflatoxin formation. Appl Environ Microbiol 2004;70:6518-624. 

  24. Pildain MB, Vaamonde G, Cabral D. Analysis of population structure of Aspergillus flavus from peanut based on vegetative compatibility, geographic origin, micotoxin and sclerotia production. Int J Syst Evol Microbiol 2008;58:725-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