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누룩에서 분리한 A. oryzae N041 균주를 서로 다른 4종류의 곡물에 접종하여 낱알누룩을 제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빚은 막걸리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곡물별 낱알 누룩의 품질특성을 분석한 결과, 쌀 낱알누룩보다 녹두 낱알누룩에서 산도와 아미노산도, 당화력이 높게 나타났다. 제조한 곡물별로 막걸리를 빚어 양조적성을 분석한 결과, 녹두 낱알누룩이 타 곡물 낱알누룩보다 당도와 환원당 함량이 높았으며, 반면 알코올 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술덧의 유기산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등의 주요한 유기산이 확인되었으며, 전체 유기산의 총량은 쌀(1,748.5 mg%), 녹두(1,551.2 mg%), 보리(1,003.2 mg%), 율무(940.8 mg%) 순으로 유기산 생성량이 많았다. 특히, 녹두 낱알누룩으로 빚은 막걸리는 아미노산도와 유기산 함량이 높아 소비자가 마시기 쉬운 감칠맛과 녹두가 가지는 깊은 풍미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containing different types of Nuruk grain inoculated with A. oryzae N041. In an analysis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our types of Nuruk grain, mung beans Nuruk grain had higher acidity, amino acidity and saccharogenic pow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당화력은 2% 가용성 전분용액을 기질로 하여 국세청 주류분석규정(국세청주류면허지원센터 2010)에 따른 SP와 일본 국세청 주류분석규정(The Brewing of Japan 1993)에 따른 glucoamylase의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당화력은 기질용액을 55℃에서 1시간 효소 반응시킨 다음, 생성된 환원당의 양을 Lane-Eynone법으로 측정하여 기질의 당화율이 15%되는 범위에서 희석배수를 곱하여 산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분 분해력과 단백질 분해력이 우수한 Aspergillus oryzae를 사용하여 낱알형태의 다양한 곡류 누룩을 제조하여 막걸리를 제조한 후, 이 술이 갖는 양조적성 등을 분석하였다.
  • 유기산 분석은 시료액을 0.45 μm 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HPLC (Shimadzu LC-20AD, Japan)에 20 uL를 주입하여 Aminex HPX-87H, 컬럼(300 mm×7.8 mm, flow 0.6 mL/min)으로 UV 210 nm에서 이동상인 4 mM sulfuric acid로 분석하였다.
  • 전통누룩에서 분리한 A. oryzae N041 균주를 서로 다른 4종류의 곡물에 접종하여 낱알누룩을 제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빚은 막걸리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곡물별 낱알누룩의 품질특성을 분석한 결과, 쌀 낱알누룩보다 녹두 낱알누룩에서 산도와 아미노산도, 당화력이 높게 나타났다.

대상 데이터

  • 낱알누룩 제조는 액체 종국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현미를 4시간 침지한 후, 110℃에서 30분간 증자하고 Aspergillus oryzae N041을 접종하여 28℃에서 10일간 배양하여 포자가 충분히 형성되게 하였다.
  • 막걸리제조는 원료별로 제조한 4종류의 낱알누룩을 속양주모법으로 담금하였다. 술덧의 원료 사용비율은 각각의 낱알누룩 100 g에 쌀 200 g, 효모 0.
  • 본 실험에 사용된 쌀은 경기 일반미(추청미), 국내산 보리, 율무, 녹두를 사용하였으며, 사용 균주는 농촌진흥청 발효이용과에서 분리․동정한 황국균(Aspergillus oryzae N041)를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당화력은 2% 가용성 전분용액을 기질로 하여 국세청 주류분석규정(국세청주류면허지원센터 2010)에 따른 SP와 일본 국세청 주류분석규정(The Brewing of Japan 1993)에 따른 glucoamylase의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당화력은 기질용액을 55℃에서 1시간 효소 반응시킨 다음, 생성된 환원당의 양을 Lane-Eynone법으로 측정하여 기질의 당화율이 15%되는 범위에서 희석배수를 곱하여 산출하였다.
  • 환원당은 Somogi법(정과장 1990)에 의해 정량하여 glucose 함량으로 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 누룩에 생육하는 미생물은? 우리 누룩에는 Aspergillus oryzae, Rhizopus oryzae, Mona- scus purpureus, Saccharomyces sp., Lactic acid bacteria, Bacillus sp. 등의 다양한 미생물이 생육하고 있다. 특히, 이들 누룩에는 Aspergillus 속, Absidia 속 및 Rhizopus 속 곰팡이가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이 우리 누룩의 가장 큰 특징이다(Kim et al 1990).
쌀 입국이란? 그러나 1938년 일본의 소주제조용 곰팡이인 Aspergillus kawachii가 국내 도입되었고(Lee DY 1968), 이 균주를 이용하여 만든 입국(koji)을 탁주제조에 사용되면서 전통누룩의 사용이 점차 감소되었다. 쌀 입국은 증자한 쌀에 양조용 곰팡이를 인위적으로 접종․배양한 것으로 탁․약주 및 청주 제조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일본식 발효제이다. 이는 곰팡이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효소를 포함하고 있어서 원료 중의 전분을 발효성 당으로 전환시키는 주된 역할을 담당한다(So & Lee 2010).
쌀 입국에 사용되는 미생물은? 이 시대에는 양조기술이 발달되었고, 각 가정에서 빚는 가양주의 수도 360여종 등 다양한 술들이 전성기를 맞이하기도 하였다(Lee et al 1994). 그러나 1938년 일본의 소주제조용 곰팡이인 Aspergillus kawachii가 국내 도입되었고(Lee DY 1968), 이 균주를 이용하여 만든 입국(koji)을 탁주제조에 사용되면서 전통누룩의 사용이 점차 감소되었다. 쌀 입국은 증자한 쌀에 양조용 곰팡이를 인위적으로 접종․배양한 것으로 탁․약주 및 청주 제조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일본식 발효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국세청주류면허지원센터 (2010) 주류분석규정(개정 2010.12.31.). 서울. pp 12-16. 

  2. 김세나, 조수묵, 이영민, 박홍주, 백오현, 나상현, 전혜경(2006) 식품성분표(제7개정판) 제1편. 삼미기획, pp 36-55. 

  3. 정동효, 장현기 (1990) 식품분석. 진로연구사, pp 176. 

  4. Gu YA, Jang SY, Park NY, Mun CR, Kim OM, Jeong YJ (2006) Property changes of mung bean depending on hydrolysis condition. Korean J Food Presev 13: 563-568. 

  5. Han H, Lee TS, Noh BS, Lee DS (1997)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6. Jin YI, Hong SY, Kim SJ, Ok HC, Lee YJ, Nam JH, Yoon YH, Jeong JC, Lee SA (2010) Comparisi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amino acid components of mungbean cultivars grown in Highland area in Korea. Korean J Environ Agric 29: 381-387. 

  7. Jo GY, Lee CW (199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fungi from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759-766. 

  8. Jung HK, Park CS, Park HH, Lee GD, Lee IS, Hong JH (2006)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hahyangju prepar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HA3 isolated from traditional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59-667. 

  9. Kang GH, Noh BS, Suh JH, Hawer D (1989) Food Analysis. Sungkkyunkwan University. pp 259-282, 694-698. 

  10. Kim CJ, Kim KC, Kim DY, Oh MJ, Lee SK, Lee SO, Chung ST, Chung JH (1990) Fermentation Technology. Sunjinmunhasa, Seoul. pp 79-103. 

  11. Kim HS, Hyun JS, Kim J, Ha HP, Yu TS (1997) Characteristics of useful fungi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767-774. 

  12. Lee DY (1968) The ecological studies on Aspergillus kawachii Kitahara. Korean J Microbiology 6: 113-121. 

  13. Lee JH, Yu TS (2000)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nuruk. Korean J Biotechnol Bioeng 15: 359-365. 

  14. Lee MK, Lee SW, Bae SM (1991) The quality of yakju brewed from many kind of nuruk.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 99-111. 

  15. Lee MK, Lee SW, Yoon TH (1994) Quality assessment of yakju brewed with conventional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 78-89. 

  16. Lee MK, Lee SW, Yoon TH (1994)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nuruk.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4: 19-29. 

  17. Lee SH, Jung HJ, Yeo SH, Kim HS, Yu TS (2004) Characteristics of $\alpha$ -amylase of a new species, Aspergillus coreanus NR 15-1. Korean J Biotechnol Bioeng 19: 301-307. 

  18. Lee SS, Kim KS, Eom AH, Sung CK, Hong IP (2002)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rice-wines made from cultures of single fungal isolate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Korean J Mycology 30: 61-65. 

  19. Lee TS, Choi JS (2005)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kawachii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44-950. 

  20. Lee TS, Han EH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Rhizopus japonicus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691-698. 

  21. Park CS, Lee T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96-302. 

  22. So MH (1991)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akju by the combined use of Aspergillus kawachii and Aspergillus oryzae. Korean J Food & Nutrition 4: 115-124. 

  23. So MH, Lee YS (2010) Effect of culture conditions of Rhizopus sp. ZB9 on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 during the preparation of rice koji. Korean J Food & Nutr 23: 70-75. 

  24. The Brewing Society of Japan (1993) The Annotation of the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the National Tax Administration Agency. 4th ed., Tokyo, pp 218-2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