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구피임약을 복용하는 한국여성과 치주질환의 관련성 연구: 제5기 3차년도(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contraceptive pill and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women: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analysis phase3(2012)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4 no.6, 2014년, pp.795 - 804  

이종화 (김천대학교 치기공학과) ,  유진영 (수성대학교 보건행정과) ,  정기옥 (경북전문대학교 치위생과) ,  박지영 (경북전문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contraceptive pill and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women aged from 19 to 50 years old. Methods: This study selected 1,579 women of childbearing age from 19 to 50 years old from the 5th National Health and Nu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역사적으로 여성의 sexuality 전반은 여성 자신의 통제 하에 있기보다 국가적, 법적, 사회적, 의료적 개입의 대상이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피임에 관한 연구는 남녀관계 및 사회⋅경제적 변화, 의학 담론, 보건의료정책, 성 규범 간의 사회적 배치를 고려한 여성들의 피임 행위와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1).
  • 특히, 경구피임약과 구강과의 관련성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치주질환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나, 현재 사용되는 경구피임약은 치주질환의 위험요소와 관련성이 없다고 보고하였다6). 따라서 치주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13)으로 알려져 있는 연령, 학력, 수입, 흡연, 당뇨, 구강위생상태, 심리적 요인, 비만 등을 고려한 다양한 인구사회경제적 요인과 보건행태를 고려하여, 우리나라 가임 여성을 대상으로 현재 복용하는 경구피임약의 복용기간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에, 경구피임약이 아직도 치주질환의 위험요소로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피임약과 치주질환과의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6). 따라서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가임여성의 경구피임약 복용 기간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치주질환과 관련성이 높은 인구사회경제적특성과 보건행태를 고려하여, 경구피임약 복용기간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9-50세의 가임 여성 1,579명 중 경구피임약 복용자는 약 8.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3차년도(2012년) 자료를 복합표본설계로 심층 분석하여 19-50세까지의 가임여성을 대상으로 경구피임약의 복용기간에 따른 치주질환유병과의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였다. 경구피임약 복용기간 및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과 보건형태에 따른 치주질환유병의 관련성을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전(경구)피임약의 특징은? 사전(경구)피임약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제제와 프로게스테론 제제의 복합제로, 합성 에스트로겐으로는 ethinyl estradiol이, 합성 프로게스테론으로는 levonorgestrel이 주로 사용되고,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배란을 억제하며, 효과는 에스트로겐 용량에 비례하여 나타나게 된다.
사전(경구)피임약의 피임 성공률은? 따라서 신약개발은 배란 억제를 위한 최소한의 여성호르몬 용량으로 부작용을 줄이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3) , 정확한 복용법을 따를 경우, 피임성공률이 99%, 일반적으로는 92%로 일시적 피임법 중 피임성공률이 가장 높다 4) .
피임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역사적으로 여성의 sexuality 전반은 여성 자신의 통제하에 있기보다 국가적, 법적, 사회적, 의료적 개입의 대상이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피임에 관한 연구는 남녀관계 및사회⋅경제적 변화, 의학 담론, 보건의료정책, 성 규범 간의 사회적 배치를 고려한 여성들의 피임 행위와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1) . 현재 사용되는 피임법에는 사전(경구)피임약, 콘돔이나 자궁 내 장치 등과 같이 계획에 의해 원하지 않는 임신을 예방할 수 있는 일차적 예방법과 사후에 원하지 않는 임신을 예방하고자, 적절한 시기에 사용하는 이차적 예방법인 사후(응급)피임약이 있다 2)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crimshaw SCM. Women and the pill: from panacea to catalyst. Fam Plann Perspect 1981; 13(6): 254-62. 

  2. Lee BR, Lee MK, Lee CK, Lim SC. Evaluation of use of emergency contraceptives in unmarried female Korean. J Pharm Sci 2008; 23: 83-9. 

  3. Park KJ. The contraceptive attitude and the latest contraception of Korea. Obstet Gynecol Sci Education Lecture 2002; 163-77. 

  4. Kim SR. Conflicts about classifying oral contraceptives and Its discourse structure. J Korean Women's Studies 2013; 29(3): 81-113. 

  5. Schindler AE. Non-contraceptive benefits of oral hormonal contraceptives. Int J Endocrinol Metab 2013; 11(1): 41-7. http://dx.doi.org/10.5812/ijem.4158. 

  6. Kim KR, Noh HJ. Relationship between oral contraceptive use and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women. J Digital Policy & Management 2013; 11(12): 569-76. 

  7. Mariotti A. Sex steroid hormones and cell dynamics in the periodontium. Crit Rev Oral Biol Med 1994; 5(1): 27-53. http://dx.doi.org/10.1177/10454411940050010201. 

  8. Parkar MH, Newman HN, Olsen I.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of oestrogen and androgen receptor expression in human gingival and periodontal tissue. Arch Oral Biol 1996; 41(10): 979-83. http://dx.doi.org/10.1016/S0003-9969(96)00053-2. 

  9. Fesseler A. Oral contraceptives and the periodontium. Zahnarztliche Mitteilungen 1979; 69(10): 634. http://www.popline.org/node/444522. 

  10. Lee YK, Park JR. The relationship of obesity and periodontal disease by age. J Korean Soc Dent Hyg 2013; 13(6): 1015-21. http://dx.doi.org/10.13065/jksdh. 2013.13.06.1015. 

  11. Lee JY, Kim GP, Yu BC.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s and quality of life. J Korean Soc Dent Hyg 2013; 13(5): 835-43. http://dx.doi.org/10.13065/jksdh.2013.13.05.835. 

  12. Jung JO, Chun JY, Lee KH.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periodontal diseases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J Korean Soc Dent Hyg 2013; 13(3): 481-9. http://dx.doi.org/10.13065/jksdh.2013.13.3.481. 

  13. Ku IY, Kim H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health behaviorals, oral health behavioral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periodontal disease status.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3): 597-609.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1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ormone replacement therapy clinical testing and evaluation guidelines.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6: 1-13. 

  16. Choi DS. Clinical use of oral contraceptives. Obstet Gynecol Sci Training Lecture 2006; 35: 157-65. 

  17. Preshaw PM, Knutsen MA, Mariotti A. Experimental gingivitis in women using oral contraceptives. J Dent Res 2001; 80(11): 2011-5. http://dx.doi.org/10.1177/00220345010800111201. 

  18. Taichman LS, Eklund SA. Oral contraceptives and periodontal diseases: rethinking the association based upon analysis of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J Periodontol 2005; 76(8): 1374-85. http://dx.doi.org/10.1902/jop.2005.76.8.1374. 

  19. Preshaw PM. Oral contraceptives and the periodontium. Periodontology 2000 2013; 61(1): 125-59. http://dx.doi.org/10.1111/j.1600-0757.2011.00399.x. 

  20. Soory M. Hormonal factors in periodontal disease. Dental Update 2000; 27(8): 380-3. 

  21. Taichman LS, Sohn W, Kolenic G, Sowers MF. Depot medroxyprogesterone acetate use and periodontal health in united states women ages 15-44. J Periodontol 2012; 83(8): 1088-17. http://dx.doi.org/10.1902/jop.2012.110534. 

  22. Brusca MI, Rosa A, Albaina O, Moragues MD, Verdugo F, Ponton J. The Impact of oral contraceptives on women's periodontal health and the subgingival occurrence of aggressive periodontopathogens and candida species. J Periodontol 2010; 81(7): 1010-8. http://dx.doi.org/10.1902/jop.2010.090575. 

  23. Mullally BH, Coulter WA, Hutchinson JD, Clarke HA. Current oral contraceptive status and periodontitis in young adults. J Periodontol 2007; 78(6): 1031-6. http://dx.doi.org/10.1902/jop.2007.060163. 

  24. Shufelt CL, Merz NB. Contraceptive hormone u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J Am Coll Cardiol 2009; 53(3): 221-31. http://dx.doi.org/10.1016/j.jacc.2008.09.042. 

  2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ress Release. Drug reclassification finalized.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8-3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