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여성의 구강건강행위, 우울, 스트레스가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Oral Health Behaviors, Depression and Stress on Periodontal Disease in Pregnant Wom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5, 2016년, pp.653 - 662  

박혜진 (부산대학교 간호대학.일신기독병원 간호부) ,  이해정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조수현 (일신기독병원 치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oral health behaviors, depression, and stress on periodontal disease in pregnant women.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9 pregnant women.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individual character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임신여성의 구강건강 행위에 대한 조사가 대부분이며, 특정 시기의 임신여성의 구강건강관리 정도와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검증한 연구만이 있을 뿐[6], 임신여성의 구강건강행위와 우울,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요소들을 함께 포함하여 그들과 치주질환과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임신여성의 치주질환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임신여성의 개인적 특성, 구강 건강행위, 우울, 스트레스를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 틀을 기초로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임신여성의 임신성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4,6-13]을 통해 관련 개념을 확인하였으며, 개인적 특성, 구강건강행위(구강건강관리와 식이 관리), 우울 및 스트레스가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임신성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감소하기 위한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선 그들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위험요인들을 심리·사회적 측면을 포괄하여 파악한 후 그들의 상황과 요구에 맞는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 임신여성의 치주질환은 모성의 치아상실과 전신적 건강에 영향미칠 뿐만 아니라 태아의 출산 결과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임신여성의 구강건강관리는 모아 건강에 중요한 영역이다. 본 연구는 임신여성의 개인적 특성, 구강건강행위, 심리적 요인 등과 치주질환발생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임신여성의 개인적 특성, 구강건강행위, 우울, 스트레스 수준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임신여성의 치주질환은 임신주수, 임신성 질병유무, 구강건강관리, 지각 스트레스와 관련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임신여성의 임신주수, 임신성 질병유무 및 우울과 스트레스와 같은 정서적 문제를 함께 고려한 구강건강행위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임신여성의 구강건강행위, 우울, 스트레스 및 치주질환 정도를 조사하고, 구강건강행위, 우울, 스트레스와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한 서술적 상관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여성의 구강건강행위, 우울, 스트레스 및 치주질환 정도를 파악하고, 개인적 특성, 구강건강행위, 우울 및 스트레스가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성 치주질환의 위험인자는 무엇이 있는가? 치주질환은 한 가지의 원인인자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위험인자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하여 발생하고 진행되는 질환이다[5]. 임신성 치주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는 임신여성의 개인적, 산과적 특성과 구강건강행위, 스트레스와 우울과 같은 심리적 요소들이 있으며, 치주염 발생과 관련이 높은 개인적 특성으로는 학력, 경제상태, 임신 전 체질량 지수, 임신 전 흡연 등이 포함되며[6], 초산모보다 경산모에서 치주염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 구강건강행위란 치아와 구강을 청결히 관리하고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하여 관리하는 행위를 의미하며[4], 잇솔질[10], 치실, 치간 칫솔의 사용[6,9,11,12] 등과 같은 구강건강관리와, 구강건강을 위한 적절한 식이섭취[13]를 포함하며, 특히 당분이 함유된 식이를 많이 섭취하는 경우, 치주질환 발생이 1.
구강의 역할은 무엇인가? 구강은 생물학적 차원에서 신체를 전신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고, 씹고, 삼키는 기능 뿐 만 아니라 자기평가, 표현, 의사소통, 아름다움과 같은 심리·사회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구강건강은전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 치주질환은 잇몸과 치아를 지탱해 주는 잇몸 뼈의 염증반응이 나타나거나 감염된 것을 의미하며, 치은염과 치주염을 총칭한다.
치주질환이란 무엇인가? 구강은 생물학적 차원에서 신체를 전신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고, 씹고, 삼키는 기능 뿐 만 아니라 자기평가, 표현, 의사소통, 아름다움과 같은 심리·사회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구강건강은전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 치주질환은 잇몸과 치아를 지탱해 주는 잇몸 뼈의 염증반응이 나타나거나 감염된 것을 의미하며, 치은염과 치주염을 총칭한다. 치은염은 잇몸에만 국한된 염증증상으로 치조골에는 변화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치은염이 더욱 진행되어 세균이 생산하는 독소에 의해 치조골이 손상된 상태를 치주염이라 하며[2], 심각한 경우 치아 상실[3,4]을 초래하며 전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ushnir D, Zusman SP, Robinson PG. Validation of a Hebrew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 Journal of Public Health Dentistry. 2004;64(2):71-75. 

  2. Hong NP, Nam YY. All kinds of learning of oral cavity. Paju: Kidaribooks; 2000. 

  3. Warren KR, Postolache TT, Groer ME, Pinjari O, Kelly DL, Reynolds MA. Role of chronic stress and depression in periodontal diseases. Periodontology 2000. 2014;64(1):127-138. http://dx.doi.org/10.1111/prd.12036 

  4. Silk H, Douglass AB, Douglass JM, Silk L. Oral health during pregnancy. American Family Physician. 2008;77(8):1139-1144. 

  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eriodontal disease [Internet]. Atlanta, GA: Author; 2013 [cited 2014 October 25]. Available from: http://www.cdc.gov/OralHealth/periodontal_disease/. 

  6. Ha JE, Yeo BM, Roh HY, Paik DI, Bae KH. Periodontal condition and pathogens distribution of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010;34(4):587-594. 

  7. Giannella L, Giulini S, Cerami LB, La Marca A, Forabosco A, Volpe A. Periodontal disease and nitric oxide levels in low risk women with preterm labor.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2011;158(1):47-51. http://dx.doi.org/10.1016/j.ejogrb.2011.04.034 

  8. Vogt M, Sallum AW, Cecatti JG, Morais SS.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in low-risk pregnant women. Reproductive Health. 2012;9:3. http://dx.doi.org/10.1186/1742-4755-9-3 

  9. Vogt M, Sallum AW, Cecatti JG, Morais SS. Periodontal disease and some adverse perinatal outcomes in a cohort of low risk pregnant women. Reproductive Health. 2010;7:29. http://dx.doi.org/10.1186/1742-4755-7-29 

  10. Piscoya MD, Ximenes RA, Silva GM, Jamelli SR, Coutinho SB. Periodontitis-associated risk factors in pregnant women. Clinics. 2012;67(1):27-33. http://dx.doi.org/10.6061/clinics/2012(01)05 

  11. Martinez-Beneyto Y, Vera-Delgado MV, Perez L, Maurandi A. Self-reported oral health and hygiene habits, dental decay, and periodontal condition among pregnant European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Gynaecology and Obstetrics. 2011;114(1):18-22. http://dx.doi.org/10.1016/j.ijgo.2011.03.003 

  12. Geisinger ML, Robinson M, Kaur M, Gerlach RW, Griffin R, Geurs NC, et al. Individualized oral health education improves oral hygiene compliance and clinical outcomes in pregnant women with gingivitis. Oral Hygiene & Health. 2013;1(2):1000111. http://dx.doi.org/10.4172/2332-0702.1000111 

  13. American Dental Association. Diet and dental health [Internet]. Chicago, IL: Author; 2015 [cited 2015 April 24]. Available from: http://www.mouthhealthy.org/en/az-topics/d/diet-and-dental-health. 

  14. Saletu A, Pirker-Fruhauf H, Saletu F, Linzmayer L, Anderer P, Matejka M. Controlled clinical and psychometric studies on the relation between periodontitis and depressive mood.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2005;32(12):1219-1225. http://dx.doi.org/10.1111/j.1600-051X.2005.00855.x 

  15. Rosania AE, Low KG, McCormick CM, Rosania DA. Stress, depression, cortisol, and periodontal disease. Journal of Periodontology. 2009;80(2):260-266. http://dx.doi.org/10.1902/jop.2009.080334 

  16.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p. 1-400. 

  17. Kloetzel MK, Huebner CE, Milgrom P. Referrals for dental care during pregnancy.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2011;56(2) :110-117. http://dx.doi.org/10.1111/j.1542-2011.2010.00022.x 

  18. American Dental Association. Brushing your teeth [Internet]. Chicago, IL: Author; 2015 [cited 2015 April 24]. Available from: http://www.mouthhealthy.org/en/az-topics/b/brushing-your-teeth. 

  19. Moynihan PJ. Dietary advice in dental practice. British Dental Journal. 2002;193(10):563-568. http://dx.doi.org/10.1038/sj.bdj.4801628 

  20.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7;1(3):385-401. http://dx.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21. Chon KK, Rhee MK.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2;11(1):65-76. 

  22. Ahn HL. A pilot study of stressor and stress situation and nursing intervention of pregnant woman.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83;13(3):75-85. 

  23. Cohen S, Kamarck T, Mermelstein R. A global measures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83;24 (4):385-396. 

  24. Lee J, Shin C, Ko YH, Lim JH, Joe SH, Hyun KS, et al.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2012; 20(2):127-134. 

  25. Kim BO, Shim HS, Lee CS, Chung SH, Han YK, Cho MS, et al. Periodontology. Seoul: DaehanNarae Publishing, Inc.; 2003. 

  26. World Health Organization. Oral health surveys: Basic methods. 4th ed. Geneva, CH: Author; 1997. p. 1-66. 

  27. Xiong X, Elkind-Hirsch KE, Vastardis S, Delarosa RL, Pridjian G, Buekens P. Periodontal disease is associated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 case-control study. Journal of Periodontology. 2009; 80(11):1742-1749. http://dx.doi.org/10.1902/jop.2009.090250 

  28. Park YN, Shim CS.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the pregnant women about oral health car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Education. 2008;8(3):53-64. 

  29. Li D, Liu L, Odouli R. Presence of depressive symptoms during early pregnancy and the risk of preterm delivery: A prospective cohort study. Human Reproduction. 2009;24(1):146-153. http://dx.doi.org/10.1093/humrep/den342 

  30. Giurgescu C, Misra DP, Sealy-Jefferson S, Caldwell CH, Templin TN, Slaughter-Acey JC, et al. The impact of neighborhood quality, perceived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ve symptoms during pregnancy in African American women. Social Science and Medicine. 2015;130:172-180.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15.02.006 

  31. Lee EJ, Park JS. Status of antepartum depress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pregnant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8):3897-3906. http://dx.doi.org/10.5762/KAIS.2013.14.8.38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