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Job Stress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Rehabilitation Units원문보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rehabilitation uni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job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surveyed 240 nurses working at the rehabilitation u...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rehabilitation uni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job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surveyed 240 nurses working at the rehabilitation units of 10 hospitals located in G City. To collect the data, nurses' job stress,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instrument (PSCNI), and the Korean-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K-MSQ)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18.0 program. Results: The scores for job stres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were $3.34{\pm}0.61$, $72.36{\pm}8.64$ and $3.17{\pm}0.39$, respectively.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showed a low-level negative correla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r=-.13, p=.042), whereas a medium-level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r=.46, p<.001). Job stress, professional self-concept, total career length and size of working hospital explained approximately 25.8% of job satisfaction (F=17.52, p<.001).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s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 to establish positive professional self-concept for nurses in rehabilitation units. Such efforts must be supported by clinical nursing administrations through policies aimed at reducing job stress and increasing job satisfactio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rehabilitation uni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job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surveyed 240 nurses working at the rehabilitation units of 10 hospitals located in G City. To collect the data, nurses' job stress,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instrument (PSCNI), and the Korean-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K-MSQ)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18.0 program. Results: The scores for job stres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were $3.34{\pm}0.61$, $72.36{\pm}8.64$ and $3.17{\pm}0.39$, respectively.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showed a low-level negative correla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r=-.13, p=.042), whereas a medium-level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r=.46, p<.001). Job stress, professional self-concept, total career length and size of working hospital explained approximately 25.8% of job satisfaction (F=17.52, p<.001).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s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 to establish positive professional self-concept for nurses in rehabilitation units. Such efforts must be supported by clinical nursing administrations through policies aimed at reducing job stress and increasing job satisfac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무만족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 및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재활병동의 간호사는 대상자와 가족이 그들의 삶을 함께 엮어나감으로서 지역사회에 복귀하여 사회의 생산적인 일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재활간호 대상자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무만족을 확인하고,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3.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는 Kim과 Gu (1984)의 도구를 5점 척도로 수정하여 “전혀 느끼지 않는다” 1점, “매우 심하게 느낀다” 5점으로 측정하고, 총 점수를 각 문항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직무 스트레스는 Kim과 Gu (1984)가 개발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도구를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도구사용을 위해 원개발자에게 이메일로 도구사용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원도구는 5점 Likert 척도로 “매우 만족” 1점, “매우 불만족” 5점으로 측정하나, 본 연구에서는 점수를 역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 모집은 G광역시에 위치한 병원 중 재활의학과 단독병동을 운영중인 병원을 선정하여 해당병원 간호부서장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자료수집을 허락한 10개의 병원에서 이루어졌다. 해당병원 재활의학과 병동 간호사실에 연구대상자 모집을 위한 모집공고문을 부착하고, 자발적으로 연구참여 의사를 밝힌 간호사에게 서면동의서와 설문지를 배포하고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병동에 비치된 회수용 서류봉투에 넣도록 하고 연구자 또는 연구보조원이 일괄 수거하였다.
해당병원 재활의학과 병동 간호사실에 연구대상자 모집을 위한 모집공고문을 부착하고, 자발적으로 연구참여 의사를 밝힌 간호사에게 서면동의서와 설문지를 배포하고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병동에 비치된 회수용 서류봉투에 넣도록 하고 연구자 또는 연구보조원이 일괄 수거하였다. 총 256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42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94.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G광역시에 위치한 병원 중 재활의학과 단독병동을 운영중인 10개 병원의 재활의학과 병동에서 근무중인 간호사 중 재활의학과 병동에서의 근무경력이 6개월 이상이며,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자발적으로 동의하고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한방병원 및 재활의학과와 다른 진료과가 함께 운영 중인 병동은 제외하였다.
3을 이용하였다. 회귀분석을 위한 효과크기 .15, 유의수준 .05, 검정력 .95, 예측변인 12개로 설정하였을 때 184명이 산출되어, 탈락률을 고려하여 25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설문지중 불충분한 응답자를 제외한 2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6월부터 7월까지였다. 자료수집 전 C대학교 생명윤리심의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연구승인을 받았다(IRB No.
JBNU-2013-05-004). 연구대상자 모집은 G광역시에 위치한 병원 중 재활의학과 단독병동을 운영중인 병원을 선정하여 해당병원 간호부서장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자료수집을 허락한 10개의 병원에서 이루어졌다. 해당병원 재활의학과 병동 간호사실에 연구대상자 모집을 위한 모집공고문을 부착하고, 자발적으로 연구참여 의사를 밝힌 간호사에게 서면동의서와 설문지를 배포하고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병동에 비치된 회수용 서류봉투에 넣도록 하고 연구자 또는 연구보조원이 일괄 수거하였다. 총 256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42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94.5%), 이 중 불충분한 응답이 있는 2부를 제외한 240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80)점이었다는 Arthur, Sohng, Noh와 Kim (1998)과 Sung 등(2011)의 연구결과보다는 낮은 점수였는데 이는 연구대상자의 차이 때문으로 생각된다. Arthur 등(1998)과 Sung 등(2011)이 대도시의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연구대상으로 한 것과 달리, 본 연구대상자는 200~400병상 규모의 지방 소재 재활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가 근무하는 병원은 대학병원에 비해 간호인력이 충분하지 않고, 재활팀의 일원이지만 타 의료요원인 치료사들과 비교해 볼 때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업무가 불분명하고 역할 수행에 한계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데이터처리
제 변수들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으며,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 스트레스,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 만족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제 변수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 검증을 위해 Scheffé test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 스트레스,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 만족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제 변수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 검증을 위해 Scheffé test를 이용하였다. 제 변수들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으며,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상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직무 스트레스와 전문직 자아개념,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직무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연령, 종교, 총 임상경력 및 근무하는 병원의 병상수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이었으며(=0.
이론/모형
한방병원 및 재활의학과와 다른 진료과가 함께 운영 중인 병동은 제외하였다. 연구표본의 크기는 Cohen의 표본추출공식에 따른 표본수 계산 프로그램인 G*Power 3.1.3을 이용하였다. 회귀분석을 위한 효과크기 .
전문직 자아개념은 Arthur (1995)의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측정도구(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 Instrument, PSCNI)를 Sohng과 Noh (1996)가 한국어로 번역하여 타당도가 확인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구사용을 위해 원개발자에게 이메일로 도구사용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직무만족은 미네소타 산업관계 연구소에서 개발한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를 Park (2005)이 한국어로 번역하여 타당도가 확인된 Korean-MSQ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내향적 가치, 외향적 가치, 일반적 가치의 세 영역, 총 20문항이다.
성능/효과
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3.34±0.61점이었다.
사후 검정 결과 연령이 36세 이상인 경우가 26세 이상 30세 이하인 경우보다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았다. 또한 기혼, 종교가 있는 경우, 책임간호사 이상의 직위에 있는 경우, 규칙적으로 낮근무만 하는 경우가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았다.
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13, p=.042),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46, p<.001).
대상자의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이었으며(=0.45, p<.001), 직무 스트레스, 전문직 자아개념, 총 임상경력과 근무하는 병원의 병상수를 포함하면 약 25.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17.52, p<.001)(Table 4).
04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 검정 결과 연령이 25세 이하인 경우가 31세 이상 35세 이하인 경우보다 직무만족이 높았고, 종교가 있는 경우와 총 임상경력은 5년 미만인 경우가 5년 이상 10년 미만인 경우보다 직무만족이 더 높았다.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가정을 검토하기 위하여 제 변수들의 다중공선성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분산팽창지수(Variation Inflation Factor: VIF)를 확인한 결과 모든 변수에서 VIF가 10을 넘지 않아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Durbin-Watson 통계량이 1.76으로 자기상관이 없어 오차 항들이 서로 독립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회귀분석을 시행하기 위한 기본가정은 충족되었다.
직무 스트레스는 대상자의 교육정도와 총 임상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학사 이상이며 임상경력이 10년 이상인 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것은 다른 선행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Kwon & Lee, 2012; Oh et al.
연구변수간의 상관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져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른 선행연구결과(Choi, 2009; Oh et al.
본 연구대상자는 일 지역의 재활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대상자를 확대한 반복연구 및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 특성을 반영한 직무 스트레스 도구를 활용하여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을 재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져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다수의 선행연구결과(Choi & Park, 2009; Lee, 2008; Lim et al.
17점으로 재활병동이 아닌 다른 부서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만족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전문직 자아개념이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가장 주요한 영향을 주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긍정적인 전문직 자아개념 정립을 위한 교육 및 간호실무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겠다.
후속연구
이는 응급실과 같이 의사뿐만 아니라 물리치료사, 언어치료사, 작업치료사 등 많은 타의료요원과 함께 해야 하는 재활병동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라고 생각되며, 이러한 치료과정에서 의사의 우선순위, 타 의료요원의 우선순위, 환자요구의 우선순위 등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역할에 대한 갈등이 스트레스 요인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타 의료요원과의 대인관계 및 이들과의 업무상 갈등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대상자들이 근무하는 지방에 소재한 병원들은 간호사 인력부족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신규간호사의 급여가 인상되어 경력 간호사와 신규간호사의 급여 차이가 크지 않은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급여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으나, 경력이 많고 급여가 높은 간호사의 직무만족이 높았다는 선행연구결과를 고려해 볼 때(Choi, 2009; Lee, 2008; Sung et al., 2011) 급여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를 확인하고, 경력 등을 고려한 합리적인 급여 시스템 구축 및 이와 관련된 대상자의 직무만족을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 2011)와 비교해 볼 때,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상관관계가 다소 약한 편이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일 지역의 재활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대상자를 확대한 반복연구 및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 특성을 반영한 직무 스트레스 도구를 활용하여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을 재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져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2011). 따라서,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위해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고, 간호사의 임상경력에 따라 차별화된 실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만족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전문직 자아개념이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가장 주요한 영향을 주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긍정적인 전문직 자아개념 정립을 위한 교육 및 간호실무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겠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재활병동의 업무환경 및 간호사의 역할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 및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만족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재활병동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정립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및 간호실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활간호사의 직무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대상자나 가족의 간호전문직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 등으로 간호사들은 보다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데(Park & Kang, 2007), 이 중 업무 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Elfering, Semmer, & Grebner, 2006). So, Kim, Park과 Lim (2009)은 신경인성 장·방광관리, 연하장애 관리, 호흡재활 간호, 기동성 장애관리, 인지재활 간호, 사회심리간호, 상담 및 교육 등을 재활간호사의 직무로 제시하였으며, 가정간호사나 노인간호사의 직무와 차이가 있음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재활간호학을 전공과목으로 개설한 교육기관은 극소수에 불과하여 간호사의 재활간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So et al.
재활이란 무엇인가?
재활이란 심신장애인이 신체적 기능을 재통합함으로써 사회로 복귀하여 가정과 지역사회와 직업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도모하는 과정으로(WHO, 1994), 최근 사회문화적 발달과 더불어 질병의 만성화, 노령인구의 증가 및 산업재해 환자의 증가로 재활간호가 필요한 대상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Kim et al., 2005).
Korean-MSQ 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직무만족은 미네소타 산업관계 연구소에서 개발한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를 Park (2005)이 한국어로 번역하여 타당도가 확인된 Korean-MSQ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내향적 가치, 외향적 가치, 일반적 가치의 세 영역, 총 20문항이다. 내향적 가치는 자율성, 성취감, 직업적 긍지 및 안정성, 외향적 가치는 상사, 급여 및 승진, 일반적 가치는 환경 및 동료와의 관계와 관련된 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원도구는 5점 Likert 척도로 “매우 만족” 1점, “매우 불만족” 5점으로 측정하나, 본 연구에서는 점수를 역산하여 분석하였다.
참고문헌 (30)
Arthur, D.(1995). Measurement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Developing a measurement instrument. Nurse Education Today, 15(5), 328-335.
Arthur, D., & Randle, J.(2007).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from 1992-2006.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4(3), 60-64.
Arthur, D., Sohng, K. Y., Noh, C. H., & Kim, S.(1998).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Korean hospital nurses. Journal of International Nursing Studies, 35(3), 155-162.
Choi, J., & Park, H. J.(2009).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in schoolwor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1), 37-344.
Choi, Y. J.(2009). A study on the related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Curtis, E. A.(2007). Job satisfaction: A survey of nurses in the Republic of Ireland.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4(1), 92-99. DOI: 10.1111/j.1466-7657.2007.00507.x
Elfering, A., Semmer, N. K., & Grebner, B.(2006). Work stress and patient safety: observer-rated work stressors as predictors of characteristics of safety-related events reported by young nurses. Ergonomics, 49(5-6), 457-469.
Her, S., Kim, K. H., & Oh, H. S.(2013). A study on work condition, stress,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infection control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4), 327-338.
Kim, J. H., & Jo, H. S.(2013). A comparative study on job stress and satisfaction between ward nurses and outpatient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2), 83-92. http://dx.doi.org/10.5807/kjohn.2012.22.2.83
Kim, K. H.(2013).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tress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im, K. S., Kim, J. H., Park, J. I., Cho, B. H., Cho, N. O., Yoo, K. H., et al.(2005). Rehabilitation need on-hospital with disabilitie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8(2), 102-109.
Kim, M. J., & Gu, M. O.(1984). Developing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4(2), 29-37.
Kim, Y. J., Song, H. K., & Lee, M. A.(2011). Perceived relationship among professional self-concept, head nurse's leadership, and nursing clinical competency by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 (1), 96-105.
Kim, Y. M., & Yi, Y. J.(2012). Influence of job stress and empowerment on clinical nurses' performance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3), 258-265.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3.258
Ko, Y. K.(2013). Relationship of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work-family conflict to job satisfaction in hospit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2), 207-216.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2.207
Kwon, K. J., & Lee, S. H.(2012).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yles as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4), 383-393.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383
Lee, B. I.(2012). Trend analysis of nurses' stress based on the last 10 years of international research.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1), 27-36.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1.27
Lee, S. H.(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 10-20.
Lim, J. H., Lee, S. H., Yoon, J. A., & Chon, M. Y.(2012). A study o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hemodialysis unit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5(1), 54-62.
Min, A., & Kim, I. S.(2013). Relationship of perception of clinical ladder system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empowerment based on nurses' clinical career st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2), 254-264.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2.254
Oh, M. O., Sung, M. H., & Kim, Y. W.(2011). Job stress, fatigue, jon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2), 215-227.
Park, H. S., & Kang, E. H.(2007). A study on job stress and the coping of ICU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5), 810-821.
Park, I. J.(2005). A validation study of the Mi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MSQ).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o, H. Y., Kim, J. W., Park, J. W., & Lim, N. Y.(2009). Task analysis of the job description of rehabilitation nurse based on DACUM.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2(1), 16-29.
Sohng, K. Y., & Noh, C. H.(1996). An analytical study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hospit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1), 94-106.
Statistics Korea.(2014). The present condition of local hospitals, Retrieved March 11, 2014,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TX_117_2009_H3090&conn_pathI3
Sung, M. H., & Oh, M. O.(2011). The relationship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1), 107-115.
Sung, M. H., Kim, Y. A., & Ha, M. J.(2011). The relationship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professional autonomy and selfesteem to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4), 547-555.
WHO.(1994).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 Geneva: Author.
Yi, Y. J., & Lee, B. I.(2013). Research trend of nurses' job stress: A comparative stud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1), 13-23.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1.1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