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Nurse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8 no.1, 2015년, pp.62 - 70  

박지애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여정희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determine the level of professional autonomy,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nurses, and to investigate their correlations and verify the effects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job satisf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직 자율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 전문직 자아 개념 및 직무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하여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고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은 중간정도 이었으며, 총점을 기준으로 낮은, 중간, 높은 전문직 자율성으로 구분 하였을 때 중간 전문직 자율성의 빈도가 가장 많았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직무만족도는 간호사 역할의 정체성에 대한 만족감이 클수록 증가하였고, 전문직 자율성이 낮을 때 감소하였으며, 환자와 동료들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할수록 증가하였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실이란? 응급실은 생명을 위협하는 긴급한 상황에 찾게 되는 유일한 일차적 의료서비스 기관이다. 이들 응급실의 주요 고객은 중증외상환자로 2011년 30,989명에서 2012년 36,135명으로 약 20%의 급격한 증가를 보이면서, 2012년 응급환자현황에 따른 연간 응급실 이용객은 1,000만 명을넘어섰다(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3).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곧 응급간호업무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조직에 대한 몰입도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환자에 대한 책임감을 저하시킨다(Lee & Hong, 2003).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간호사 역할에 영향을 주어 응급환자의 간호의 질을 저하시키는데 관여하는 중요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전문직 간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 들어 전문직 간호와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전문 직업성(Kwon, Chu, & Kim, 2009), 전문적 위치(Lee & Hong, 2003), 전문직 자아개념(Choi & Kim, 2000; Jang, Yang, & Lee, 2007; Lee, 2008), 전문직 자율성(Iliopoulou & While, 2010; Sung, Kim, & Ha, 2011) 등이 연구되었고, 이들 각각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특히 전문직 자율성은 의료팀의 상호협력 체계를 위해 간호사 역할의 사회적으로 그리고 법적으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의사를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McDonald,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rthur, D. (1992).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7 (6), 712-719. 

  2. Cho, J. Y., Lee, Y. W., Kim, H. S., & Kim, S. H. (2011). Relationships among response for violence experience, hardin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 (5), 494-502. 

  3. Choi, E. Y., & Kim, G. H. (2000). A study on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self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nephrology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2 (3), 345-355. 

  4. Cole, F. L., Ramirez, E., & Launa-Gonzales, H. (1999). Scope of practice for the nurse practitioner in the emergency care set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Texas-Houston, Texas, USA. 

  5. Cornock, M. (2002). Legal basis of decision-making in critical care. Nursing in Critical Care, 7 (5), 235-240. 

  6. Gundersen, R. J. (2002). Professional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in nursing for the year 2002. Unpublished master's thesis, Central Missouri State University, Missouri, USA. 

  7. Han, K. J., Strickland, O. L., & Waltz, C. F. (1994). Measurement of nursing outcomes. Seoul: Hyeonmunsa Publishing. 

  8. Hooper, C., Craig, J., Janvrin, D. R., Wetsel, M. A., & Reimels, E. (2010).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compassion fatigue among emergency nurses compared with nurses in other selected inpatient specialtie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6 (5), 420-427. 

  9. Iliopoulou, K. K., & While, A. E. (2010). Professional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survey of critical care nurses in mainland Gree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 (11), 2520-2531. 

  10. Im, S. H. & Yeo, J. S. (2001). A study on attitudes toward professional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of pediatric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5 , 37-54. 

  11. Jang, H. J., Yang, S. O., & Lee, M. O. (2007).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need for advanced practice nurse among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 (1), 110-119. 

  12. Kim, M. J., Park, J. M., Lee, J. H., Cho, J. H., & Chung, S. P. (2008). Cause, effect and coping skills of stress in physicians and nurses of an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9 (4), 428-433. 

  13. Kwon, K. J., Chu, M. S., & Kim, J. A. (2009).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2), 182-192. 

  14. Lee, K. M., & Hong, M. S. (2003). A study on relationships of work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Nursing Science, 8 (1), 87-103. 

  15. Lee, S. H. (2008).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 (1), 10-20. 

  16. Lee, Y. H. (2010). A study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7. McDonald, C. (2002). Nurses autonomy as relational. Nursing Ethics, 9 (2), 194-201. 

  18.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3, September 2). Statistics of emergency medical. Retrieved December 30, 2014, from http://www.nemc.or.kr/egen/inf.bor42.do?pageflag2&flag4&strid69452&strnum2 

  19. Oh, S. B., Lee, K. H., Cha, K. C., Ji, H. J., Kim, H. J., Kim, H., et al. (2004). Comparison of the prehospital death and emergency department death between 1991 and 2001.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Traumatology, 17 (2), 206-212. 

  20. Park, S., & Yun, S. N. (1992). Measurement of job satisfaction of nurses and health workers in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2 (3), 316-324. 

  21. Saber, D. A. (2014). Frontline registered nurse job satisfaction and predictors over three decades: a meta-analysis from 1980 to 2009. Nursing Outlook, 62 (6), 402-414. 

  22. Schutzenhofer, K. K. (1983). The development of autonomy in adult women.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21 (4), 25-30. 

  23. Sohng, K. Y., & Noh, C. H. (1996). An analytical study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hospit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 (1), 94-106. 

  24. Song, K. H., & Ahn, K. Y. R. (2013). The effect of employee'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sychotherapy, 5 (2), 117-129. 

  25. Stamps, P. L., Piedmont, E. B., Slavitt, D. B., & Haase, A. M. (1978).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Care, 337-352. 

  26. Sung, M. H., Kim, Y. A., & Ha, M. J. (2011). The relationship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professional autonomy and selfesteem to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 (4), 547-555. 

  27. Sung, M. H., & Oh, M. O. (2011). The relationship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 (1), 107-115. 

  28. Varjus, S. L., Suominen, T., & Leino-Kilpi, H. (2003). Autonomy among intensive care nurses in Finland.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19 (1), 31-40. 

  29. Yoon, J. W., & Park, Y. S. (2008). Communication type related to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emergency room.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12 (1), 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