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긴산 나트륨/PEO와 키토산/PEO 블렌드 필름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Sodium Alginate/PEO and Chitosan/PEO Blend Films

한국섬유공학회지 =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51 no.6, 2014년, pp.292 - 298  

강영정 (영남대학교 나노메디컬유기재료공학과) ,  김은현 (영남대학교 나노메디컬유기재료공학과) ,  김준호 (영남대학교 나노메디컬유기재료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ginates and chitosan are natural biopolymers with desirable biological properties. Sodium alginate/poly(ethylene oxide) (PEO) and chitosan/PEO blend films that are non-toxic, biodegradable, and biocompatible were prepared using the solvent casting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end films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위에서 나열한 바와 같이 독성이 없고, 생분해성과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알긴산 나트륨과 키토산에 PEO를 블렌딩하여 메디컬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천연고분자 물질을 이용하여 합성고분자 물질에 각각 블렌딩하여 필름을 제조한 뒤 두 필름의 물성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제조된 필름의 상용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고분자간의 혼화성, 용융온도와 같은 열적 특성 및 역학적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고분자재료 활용 범위는? 최근 고분자재료는 단순히 섬유, 생활용품, 일반 산업재료 등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의료, IT 등 신규 분야에 접목되어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기능성 고분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의료기기와 의약외품의 핵심 부품과 소재로 사용되고 있고, 인체의 모든 생명활동에 직간접적으로 작용하여 항균성,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등이 우수한 천연 고분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천연고분자와 합성고분자를 블렌드한 소재도 의료용 재료나 생분해성 재료로서의 사용가능성에 대한 연구도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1].
알지네이트란? 알지네이트는 미역과 같은 갈색 해조류 등에서 추출되는 천연 다당류로서 1881년 영국의 Standford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알긴산 나트륨은 (1,4)-β-D-mannuronic acid와 (1,3)-α-L-gluronic acid가 결합된 공중합체이며 고분자 전해질의 성질을 가지는 강직한 분자쇄이다[4].
알긴산 나트륨의 장점은? 분자 속에 우론산의 카르복시기가 있으므로 산의 성질을 나타내는데 보통은 나트륨염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인체에 무독성이며 가공하기가 쉽고 물에 용해되어 고점성을 나타내므로 식품, 의약품, 섬유공업에서 증점, 안정, 유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많은 양의 물을 함유하는 우수한겔 형성 재료로 창상부위에 습윤한 환경을 제공하며 지혈 작용과 함께 단핵구의 자극을 통해 창상치유에 중요한 기전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5,6]. 이러한 알긴산은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으로 인해 창상피복재나 조직공학용 지지체 및 약물 운반체 등 생의학적 분야에 널리 이용하기에 적합한 물질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 Carenza, "Recent Achievements in the Use of Radiation Polymerization and Grafting for Biomedical Applications", Radiat Phys Chem, 1992, 39, 485-493. 

  2. N. Koyama and Y. Doi, "Miscibility of Binary Blends of Poly[(R)-3-hydroxybutyric acid] and Poly[(S)-lactic acid]", Polymer, 1997, 38, 1589-1593. 

  3. C. Prashsarn and A. M. Jamieson, "Morphological Studies of Binary Homopolymer/Block Copolymer Blends: Effect of Molecular Weight", Polymer, 1997, 38, 1273-1283. 

  4. E. Ozturk, C. Agalar, K. Kececi, and E. B. Eenkbas,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iprofloxacin-Loaded Alginate/Chitosan Sponge as a Wound Dressing Material", J Polym Sci, 2006, 101, 1602-1609. 

  5. M. Kitamikado, K. Yanaguchi, C. H. Tseng, and B. Okabe, "Method Designed to Detect Alginate-Degrading Bacteria", J Envir Microbio, 1990, 56, 2939-2940. 

  6. R. S. Doubet and R. S. Quatrano, "Isolation of Marine Bacteria Capable of Producing Specific Lyases for Alginate Degradation", J Envir Microbio, 1982, 44, 754-756. 

  7. K. D. Yao, T. Peug, Y. J. Yin, and D. C. Liang, "Microcapsules/Microspheres Related to Chitosan", J Mater Sci, 1994, 35, 155-180. 

  8. B. A. Zileinski, and P. Aebischer, "Chitosan as a Matrix for Mammalian Cell Encapsulation", Biomaterials, 1994, 15, 1049-1056. 

  9. V. Hiroshi and Y. Haruo, "Accelerating Effects of Chitosan for Healing at Early Phase of Experimental Open Wound in Dogs", Biomaterials, 1999, 20, 1407-1414. 

  10. O. Felt, A. Carrel, P. Baehmi, P. Buri, and R. Gurny, "Chitosan as Tear Substitute: A Wetting Agent Endowed with Antimicrobial Efficacy", J Ocul Phamacol Ther, 2000, 16, 261-270. 

  11. N. Angelova, N. Manolova, I. Rashkov, V. Maximova, S. Bogdanova, and A. Domard,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Modified Chitosan Films for Drug Release", J Bioact Compat Polym, 1995, 10, 285-298. 

  12. S. Salmon and S. M. Hudson, "Crystal Morphology, Biosynthesis, and Physical Assembly of Cellulose, Chitin, and Chitosan", J Macromol Sci, Part C: Polym Rev, 1997, 37, 199-276. 

  13. J. H. Lee, H. B. Lee, and J. D. Andrade, "Blood Compatibility of Polyethylene Oxide Surface", Prog Polym Sci, 1995, 20, 1043-1079. 

  14. J. H. Lee, J. Kopecek, and J. D. Andrade, "Protein-resistant Surfaces Prapared by PEO-Containing Block Copolymer Surfactants", J Biomed Mate Res, 1989, 10, 351-368. 

  15. T. Caykara, S. Demiric, M. S. Eroglu, and O. Guven, "Poly(ethylene oxide) and Its Blends with Sodium Alginate", Polymer, 2005, 46, 10750-10757. 

  16. W. K. Son, J. H. Youk, T. S. Lee, and W. H. Park, "Preparation of Antimicrobial Ultrafine Cellulose Acetate Fibers with Silver Nanoparticles", Polymer, 2004, 45, 1632-1637. 

  17. J. M. Deitzel, J. D. Kleinmeyer, J. K. Hirvonen, and N. C. Beck Tan, "Controlled Deposition of Electrospun Poly(ethylene oxide) Fibers", Polymer, 2001, 42, 8163-8170. 

  18. Y. Ikada, "Surface Modification of Polymers for Medical Applications", Biomaterials, 1994, 1, 725-736. 

  19. ASTM, Standard Test Method for Tensile Properties of Thin Plastic Sheeting, Vol. 8.01, pp. 182-190. 

  20. J. W. Rhim, J. W. Park, S. T. Jung, and H. J. Park, "Formation and Properties of Corn Zein Coated K-carrageenan Films", Korean J Food Sci, 1997, 29, 1184-1190. 

  21. J. H. Lee, Y. M. Lim, Y. C. Nho, and T. I. Son, "The Phys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hitosan-Polyethylene Glycol Complexed Membranes", J Chitin Chitosan, 2004, 9, 56-60. 

  22. N. Nishioka, Y. Nakano, T. Hirota, N. Fujiwara, and M. Uno, "Thermal Decomposition of Cellulose/Synthetic Polymer Blends Containing Grafted Products. II. Cellulose/ Polyacrylonitrile Blends", J Appl Polym Sci, 1996, 59, 1203-1211. 

  23. J. H. Kim, J. Y. Kim, Y. M. Lee, and K. Y. Kim, "Properties and Swelling Characteristics of Cross-linked Poly(vinyl alcohol)/Chitosan Blend Membrane", J Appl Polym Sci, 1992, 45, 1711-1717. 

  24. L. Li, B. Li, M. A. Hood, and C. Y. Li, "Carbon Nanotube Induced Polymer Crystallization: The Formation of Nanohybrid Shish-kebabs", Polymer, 2009, 50, 953-965. 

  25. M. Avella and E. Martuscelli, "Poly-d-(-)(3-hydroxybutyrate)/Poly(ethylene oxide) Blends: Phase Diagram, Thermal and Crystallization Behaviour", Polymer, 1988, 29, 1731-1737. 

  26. O. Olabish and L. M. Robenson, "Polymer-Polymer Miscibility", Academic Press, New York, 1979, p.120. 

  27. E. Yilmaz, N. Erdenizci, and O. Yilmaz, "Miscibility of Chitosan and Poly(ethylene oxide) in Dilute Solution", Int J Polym Anal Charact, 2003, 8, 327-338. 

  28. M. Miya, R. Iwamoto, and S. Mima, "Structures and Tensile Properties of Chitosan Films", J Polym Sci: Polym Phys Ed, 1984, 22, 1149-1153. 

  29. H. Zheng, Y. Du, J. Yu, R. Huang, and L. Zhang,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tosan/Poly(vinyl alcohol) Blend Fibers", J Appl Polym Sci, 2000, 13, 2558-2565. 

  30. J. Breen, Ed., "Polyethyleneoxide-Dynamics in Aqueous Solutions Studied by Nuclear Magnetic Relaxation", Berichte der Bunsengesellschaft fur Physikalische Chemie, 1986, 90, 1112-1122. 

  31. G. G. Hammes and P. B. Roberts, "Cooperativity of Solvent- Macromolecule Interactions in Aqueous Solutions of Polyethylene Glycol and Polyethylene Glycol-urea", J Am Chem Soc, 1968, 90, 7119-7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