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영과잉 경시적 가산자료 분석을 위한 허들모형
Hurdle Model for Longitudinal Zero-Inflated Count Data Analysis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7 no.6, 2014년, pp.923 - 932  

진익태 (성균관대학교 통계학과) ,  이근백 (성균관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허들모형은 영이 과잉 가산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되어 왔다. 이 모형은 이산부분을 위한 로짓모형과 절삭된 가산부분을 위한 절삭된 포아송모형의 혼합모형이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경시적 영과잉 가산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수정된 콜레스키 분해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이분산성을 가지는 변량효과 공분산행렬을 제안한다. 수정된 콜레스키 분해는 변량효과 공분산행렬을 일반화자기상관 모수와 혁신분산모수로 분리되면, 이러한 모수들은 베이지안 일반화 선형모형을 통해 추정된다. 그리고 실제 자료분석을 통하여 설명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urdle model can to analyze zero-inflated count data. This model is a mixed model of the logit model for a binary component and a truncated Poisson model of a truncated count component. We propose a new hurdle model with a general heterogeneous random effects covariance matrix to analyze longi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경시적 영과잉 가산자료 분석을 위해 수정된 콜레스키 분해를 통해 일반적인 형태의 이분산성을 가지는 변량효과 공분산행렬을 가지는 허들모형을 제안했다. 공분산행렬은 공변량에 의존하는 일반화자기회귀모수와 혁신분산에 의해 표현된다.
  • 모수들의 추정은 베이지안 방법을 이용한 WinBUGS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추정하였다. 본 논문은 영과잉 가산자료 분석에서 허들모형이 어떻게 쓰이고 추정되는지 살펴보았다.
  • 하지만 이러한 가정은 매우 강한 가정이기 때문에 고정된 효과(fixed effects) 추정에 편의(bias)가 발생할 수 있다(Heagerty와 Kurland, 2001). 이 논문에서 우리는 수정된 콜레스키분해(modified Cholesky decomposition; Pourahmadi, 1999) 방법을 통하여 더 높은 차수를 가질 수 있는 AR(p) 형태의 공분산행렬을 제안한다. 그리고 공변량(covariate)에 의존하는 이분산성(heteroscedasticity)의 공분산행렬을 제안한다.
  • 이 모형의 장점은 영이 과잉이나, 과소일 때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경시적 영과잉 자료분석을 위한 허들 모형을 제안할 것이다.
  • 따라서 60년간 조사된 자료로서 259개의 관찰값을 가진다. 이 연구의 목적은 60년에 걸쳐서 살인율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인 요인(demographic factor)을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고려한 요인들은 흑인의 비율(Problack), 소득의 분위수(IQ), 15 ∼ 24세의 비율(Pro15to24)이다.

가설 설정

  • 그러나 공분산행렬은 주로 고차원(high dimension)이고, 양정치(positive definite)를 만족해야 하기 때문에 추정이 쉽지가 않다. 그래서 AR(1)과 같은 간단한 형태의 공분산행렬 구조를 가정한다. 그리고 등분산성을 가지는 행렬을 가정한다.
  • , ni)번째의 가산형 반응변수이다. 그리고 Yit는 변량효과 bit가 주어 졌을 때 조건부독립을 가정한다. xit는 Yit에 상응하는 공변량이다.
  • 그래서 AR(1)과 같은 간단한 형태의 공분산행렬 구조를 가정한다. 그리고 등분산성을 가지는 행렬을 가정한다. 하지만 이러한 가정은 매우 강한 가정이기 때문에 고정된 효과(fixed effects) 추정에 편의(bias)가 발생할 수 있다(Heagerty와 Kurland, 2001).
  • 2에 제시하였다. 모형1, 2, 그리고 3은 모두 AR(1)구조를 가지며 모형1은 등분산성을, 모형2는 Problack에 의존하는 이분산성을, 그리고 모형3은 Pro15to24에 의존하는 이분산성을 가지는 변량효과 공분산행렬을 가정 한다. 모형4, 5, 그리고 6은 모두 AR(2)구조를 가지며, 모형4는 등분산성을, 모형5는 Problack에 의존하는 이분산성을, 그리고 모형6은 Pro15to24에 의존하는 이분산성을 가지는 변량효과 공분산 행렬을 가정한 모형들이다.
  • 변량효과 bi는 bit가 이전의 bi1, . . . , bi,t−1로 이루어진 회귀식으로 표현된다는 가정을 한다.
  • 분석의 단순화를 위해서 구역간 살인사건의 수는 독립이라고 가정하였다. 응답변수인 살인사건 수는 인구에 비례해서 커짐으로 지역의 인구를 offset로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수 자료란 무엇인가? 관찰 값들이 셀 수 있는 자료일 때 계수 자료(count data)라고 한다. 계수 자료는 여러 분야에서 이용 되고 있는데 여기서 영(zero)의 값이 가정한 분포보다 과잉(inflation) 관측 되는 경우가 있다.
ZIP모형은 어떤 것으로 이뤄진 혼합모형인가? ZIP모형은 영과잉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모형이다. 이 모형은 영과 영 이외의 값의 구분을 위한 로지스틱 회귀모형과 포아송 모형으로 이루어진 혼합모형이다. 따라서 ZIP모형은 영이 과잉 관측 됐을때만 사용 할 수 있고, 영이 거의 관측이 되지 않았을(deflation) 때는 확률을 표현하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에서의 영향력 추정값이 무한대로 추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Min과 Agresti, 2005).
허들모형은 주로 무엇을 위해 사용되었는가? 허들모형은 영이 과잉 가산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되어 왔다. 이 모형은 이산부분을 위한 로짓모형과 절삭된 가산부분을 위한 절삭된 포아송모형의 혼합모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reslow, N. E. and Clayton, D. G. (1993). Approximate inference in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8, 125-134. 

  2. Celeux, G., Forbes, F., Robert, C. P. and Titterington, D. M. (2006). Deviance Information Criteria for Missing Data Models, Bayesian Analysis, 1, 651-674. 

  3. Daniels, J. M. and Pourahmadi, M. (2002). Bayesian analysis of covariance matrices and dynamic models for longitudinal data, Biometrika, 89, 553-566. 

  4. Daniels, J. M. and Zhao, Y. D. (2003). Modelling the random effects covariance matrix in longitudinal data, Statistics in Medicine, 22, 1631-1647. 

  5. Daniels, M. J. and Hogan, J. W.(2008). Missing data in longitudinal studies: Strategies for Bayesian modeling and sensitivity analysis, Chapman & Hall/CRC. 

  6. Gelfand, A. E. and Ghosh, S. K. (1998). Model choice: A minimum posterior predictive loss approach, Biometrika, 85, 1-13. 

  7. Heagerty, P. J. and Kurland, B. F. (2001). Misspecified maximum likelihood estimates and generalised linear mixed models, Biometrika, 88, 973-985. 

  8. Lambert, D. (1992). Zero-inflated Poisson regression, with an application to defects in manufacturing, Technometrics, 34, 1-14. 

  9. Lee, K., Joo, Y., Song, J. J. and Harper, D. W. (2011). Analysis of zero-inflated clustered count data: A marginalized model approach,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55, 824-837. 

  10. Lee, K. (2013). Bayesian modeling of random effects covariance matrix for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20, 235-240. 

  11. Mullahy, J. (1986). Specification and testing of some modified count data models, Journal of Econometics, 33, 341-365. 

  12. Min, Y. and Agresti, A. (2005). Random effect models for repeated measures of zero-inflated count data, Statistical Modelling, 5, 1-19. 

  13. Neelon, B. H., O'Malley, A. J. and Normand, S. T. (2010). A Bayesian model for repeated measures zeroinflated count data with application to outpatient psychiatric service use, Statistical Modelling, 10, 421-439. 

  14. Pan, J. X. and Mackenzie, G. (2003). Model selection for joint mean-covariance structures in longitudinal studies, Biometrika, 90, 239-244. 

  15. Pan, J. X. and MacKenzie, G. (2006). Regression models for covariance structures in longitudinal studies, Statistical Modelling, 6, 43-57. 

  16. Pourahmadi, M. (1999). Joint mean-covariance models with applications to longitudinal data: Unconstrained parameterisation, Biometrika, 86, 677-690. 

  17. Pourahmadi, M. (2000).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of generalized linear models for multivariate normal covariance matrix, Biometrika, 87, 425-435. 

  18. Pourahmadi, M. and Daniels, M. J. (2002). Dynamic conditionally linear mixed models for longitudinal data, Biometrika, 58, 225-2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