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각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지구과학 II 교과서의 기술
Teachers' Understanding of Declination and Its Explanation Presented in the Earth Science II Textbook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5 no.7, 2014년, pp.585 - 597  

이규호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쌍극자 모형이 제시된 읽기 자료만으로 교사들의 편각에 대한 이해도가 얼마나 높아질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와 함께 2009 개정 교육과정 하의 "지구과학 II" 교과서에서 기술된 내용이 과거의 교과서 내용과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편각에 대한 이해도 조사는 1급 정교사 연수를 받고 있는 경기도 지역 교사 30명, 서울지역 교사 33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들도 편각에 관한 여러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대표적으로 나침반 바늘이 자북극을 가리킨다고 하는 오개념이 있었다. 이러한 오개념은 읽기 자료만으로도 잘 수정되지 않았다. 둘째로 비쌍극자 모형이 포함된 읽기 자료를 통해 편각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으며, 셋째로 개발된 자료는 학생들에 비해 교사들에게 더욱 효과적임을 통계적인 방식으로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는 비쌍극자 모형이 포함된 설명도 보완 수정이 필요함을 알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rveys how teachers can improve their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of declination only through reading the material presented as non-dipole magnetic model.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a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 of declination presented in "Earth Science II" textbook under the 2...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과학 II은 어떤 학생들을 위한 과목인가? 따라서 어느 특정 분야의 과학 지식을 배우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주요 과학 개념을 바탕으로 과학자들이 가졌던 의문을 해결하는 방안을 탐색함으로써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도록 하고 있다. 그에 반해 지구와 우주에 대해 흥미가 많은 학생과 이공계 진학자를 위한 지구과학 과목이 “지구과학 II”이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즉 “지구과학 II”는 지구와 우주에 관한 기본 현상에 대한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되 관련 분야로 진학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탐구능 력을 갖도록 하고 있다.
편각 개념은 교사의 설명이 학생들의 이해에 더욱 필요한 이유는? 편각이라는 개념은 “지구과학 II” 교과서 내에서도 지층의 주향을 측정하는데 실제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기초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반드시 이해하 여야 하는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관련 내용을 읽기만을 통해서는 이해하기 어려워하였다(Lee, 2011). 그러므로 편각 개념은 교사의 설명이 학생들의 이해에 더욱 필요하다고 하겠다.
교과서의 특징은 무엇인가? 교과서가 오개념을 유발할 수 있게끔 기술되어 있다면 교사들 또한 교과서를 통해 새롭게 오개념을 가지거나 가지고 있던 오개념이 더욱 강화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과서는 대학 교재와 같이 하나의 개념에 많은 지면을 할애할 수 없는 특징이 있다. 분량의 제한 때문에 제대로 된 내용이 교과서에 실릴 수 없거나 내용을 너무 축약한 나머지 이해하기 힘들게 기술된다면 학교 현장에서의 활용성과 실효성은 떨어질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ae, K.S., 1997, A study on the conception of force and motion in gravitational field.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natural science, 11, 5-28. (in Korean) 

  2. Cho, J.-W. and Park, M.-S., 2004, The study on investigation of the high school students' concept of gravity. Study of Student Life, 23, 105-129. (in Korean) 

  3. Choi, K. and Chang, H., 2003, A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s related to magnetism. Sae Mulli, 47, 207-217. (in Korean) 

  4. Choi, K.-S., Yang, I.-S., and Lee, S.-G., 2008, A main concepts analysis of gravity and geomagnetics of Earth science textbooks in high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1, 72-84. (in Korean) 

  5. Helm, H., 1980, Misconception in physics amongst South African students. Physics Education, 15, 92-97. 

  6. Hewson, P.W., 1981, A conceptual change approach to learning science.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 383-396. 

  7. Jeong, C.-G., Kim, H.-S., and Lee, W.-K., 1995,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model for conceptual change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gravity.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6, 171-187. (in Korean) 

  8. Jeong, J.W., 1991,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s misconception on earth science concept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2, 304-322. (in Korean) 

  9. Kang, I.S., Jeong, J.W., and Kim, Y.J., 2008, The preconceptions about shape, color and gravity of the Earth in the third grade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7, 31-41. (in Korean) 

  10. Kang, S.H., 1992,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level of high school student of Korea and the scientific thinking ability demanded by chemical subject content. Research of Subject Education, 1, 46-73. (in Korean) 

  11. Kim, I.G., 1989,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notions in mechanic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Study, 6, 27-46. (in Korean) 

  12. Kook, D.-S. and Kim, G.-S., 2004, Misconceptions on geology concept and analysis of Earth science textbook. Journal of Science Research Institute, 20, 81-90. (in Korean) 

  13. Lee, G.H., 2011, Analysis of highschool students' misconception textbooks related to the declinati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687-703. (in Korean) 

  14. Lee, H.C. and Jung, S.H., 2004, An investigation of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s of magnet.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3, 141-151. (in Korean) 

  15. Lee, M.W., 1988, Concept formation stage for Earth's gravity and spatial concep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8, 73-77. (in Korean) 

  16.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5, Teacher's guide of science 3-1.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Korea, 362 p. (in Korean) 

  1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269 p. (in Korean) 

  18. Oh, J.Y. and Chae, D.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naive conceptions and their core beliefs on stars. The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2, 427-452. (in Korean) 

  19. Paik, S.H. and Cho, M.J., 2005, Survey of high school student and chemistry teacher perceptions and analysis of textbook contents related to the effect of water vapor in the air on evaporation and boil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 773-786. (in Korean) 

  20. Park, J.H., Paik, S.H., and Kim, D.U., 2003, An analysis of conceptual difficulties in electro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in-service chemistry teachers, and chemistry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 660-670. (in Korean) 

  21. Park, K.E. and Park, J.H., 2010, A survey on the misconception about magnetic field of two bar magnet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search for Education, 49, 31-53. (in Korean) 

  22. Watts, D.M. and Zylbersztajn, A., 1981, A survey of some children's ideas about force. Physics Education, 16, 360-36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