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의 미이용 관련요인 분석: 전남지역을 대상으로
Factors Associated with the Non-Use of Beneficiaries of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The Case of Jeollanam-do Province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4 no.4, 2014년, pp.349 - 356  

국경남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김노을 (연세대학교 보건정책 및 관리연구소) ,  임승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박종연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김재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정우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plor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non-use of beneficiaries of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Jeollanam-do Province by analyzing a dataset obtained from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Methods: The study sample consists of 1,663 individuals w...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장기요양 인정자의 서비스 미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국내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장기요양등급 판정과 서비스 제공에 관련된 정책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처럼 장기요양 인정자의 서비스 미이용에 대한 국내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역시 현 제도 도입 이전 연구이거나 시범사업결과를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라는 제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남 지역을 대상으로 현 제도 도입 후 장기요양 인정자의 서비스 미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11%인 것에 비해 전남지역은 18%로 지역별 노인인구 비율이 전국 16개 시도 중 가장 높아서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2].
  • 이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장기요양 보험제도의 도입 후 장기요양등급 인정자를 대상으로 장기요양서 비스 미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08년 7월부터 2009년 6월까지 1년 동안 건강보험 자격을 유지하 는 전남지역의 장기요양 인정자 1,663명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기요양 인정자의 서비스 미이용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어떤 것들이 확인되었는가? 다변량분석결과, 장기요양 인정자의 서비스 미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거주지역, 주거형태, 인정조사 당시 장기요양등급 인정 후 희망서비스, 장기요양 인정등급, IADL로 확인되었다. 거주 지역이 농어촌인 경우, 주거형태가 자택 등이 아닌 병원인 경우, 희망서비스가 가족요양비인 경우, 장기요양 인정등급이 낮을수록, IADL의 제한이 많을수록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서비스 간 연계체계가 필요하게된 배경은 무엇인가? 인정조사 당시 주거형태가 병원인 경우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여부에 차이가 있는 것은 현재 장기요양보험 제도특성상의료적특성을배제하고설계되었기때문인것으로생 각된다. 노인은 만성질환과 기능장애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거나 2개 이상의 만성질환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보건의료서비스와 장기요양서비스가 동시에 필요한 경우가 많다. 또한 장기요양 인정자는 만 성질환의 유병률이 높기 때문에 의료이용의 필요도가 더욱 높아 장기요양과 의료서비스의 연계와 통합서비스에 대한 요구도가 높 은 실정이다[28]. 하지만 현 제도는 의료적 요소를 최소화한 형태로 설계되어 있어 병원에 입원한 급성기상태인 경우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을 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장기요양보험과 건강보험제도의 효율적인 연계가 필요하고, 의료서비스와 장기요양서비스의 협력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장기요양보험은 건강보험과 비교해 어떤 점이 다른가? 0%를 차지하고 있다[3]. 건강보험은 개인의 욕구 또는 필요(needs)에 의해 의료이용 수요가 발생하지만, 이와 달리 장기요양보험은 수급자의 요양 필요도에 따라 전문가의 등급판정과정을 거쳐 장기요양 인정등급을 받은 사람에게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자격이 부여되는 일종의 사전승인체계이다. 하지만 수급자는 요양 필요도에 따른 등급판정 전에 개인의 욕구를 바탕으로 장기요양등급 인정신청과정을 거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ealth statistics 2014 [Internet].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4 [cited 2013 Oct 10]. Available from: http://www.oecd.org/els/health-systems/health-data.htm.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book of 2013.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3. Han EJ, Kwon JH, Lee JM, Lee JS, Choi JK, Park JD. A improvement of service support counselling system for in-home care service user in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3. 

  4. Curry LA, Robison J, Shugrue N, Keenan P, Kapp MB. Individual decision making in the non-purchase of long-term care insurance. Gerontologist 2009;49(4):560-569. DOI: http://dx.doi.org/10.1093/geront/gnp041 

  5. Lee D. Determinants of long-term care services utilization for the elderly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6. 

  6. Lim JG. A study on factors of elderly residential care service utilization for using decision tree regression. Korean J Soc Welf 2008;60(3):129-150. 

  7. Lee Y. Current situation and policy implication for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Health Welf Policy Forum 2009;156:23-31. 

  8. Chung WK. Determinants of demand for long-term care service. KDI J Econ Policy 2009;31(1):139-167. 

  9. Kim BN. Determinants of long-term care service utilization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of Seoul; 2009. 

  10. Bass DM, Noelker LS. The influence of family caregivers on elder's use of in-home services: an expanded conceptual framework. J Health Soc Behav 1987;28(2):184-196. DOI: http://dx.doi.org/10.2307/2137131 

  11. Friedman HR. Determinants of caregiver's decisions about respite service use [dissertation]. Chicago (IL): Northwestern University; 1996. 

  12. Calsyn RJ, Winter JP. Predicting different types of service use by the elderly: the strength of the behavioral model and the value of interaction terms. J Appl Gerontol 2000;19(3):284-303. 

  13. Borrayo EA, Salmon JR, Polivka L, Dunlop BD. Utilization across the continuum of long-term care services. Gerontologist 2002;42(5):603-612. DOI: http://dx.doi.org/10.1093/geront/42.5.603 

  14. Finlayson M. Changes predicting long-term care use among the oldest-old. Gerontologist 2002;42(4):443-453. DOI: http://dx.doi.org/10.1093/geront/42.4.443 

  15. Cha HB. A study of family caregiver's preference and its determinants for the long-term care service use for the impaired elderly. Seoul: Chung-Ang University; 1998. 

  16. Lee IJ. The determinants of community service utilization among family caregivers of the impaired older persons. Korean J Soc Welf 2004;56(3): 183-205. 

  17. Kang IO, Park JY, Kwan JH, Kim KH. Policy alternatives of healthcare systems for the elderly in Korea.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07. 

  18. Kim EY, Nam ES, Chae YR, Lee HK.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s preference for utilization of long-term care services based on Andersen's Behavioral Model. J Korean Gerontol Soc 2008;28(3):385-602. 

  19. Kim JY.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election and determination of long-term care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8. 

  20. Lee HS. Health status and utilization of long-term care facility in the urban and rural aged.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8;19(2): 260-269. 

  21. Song DY. Factors affecting family caregivers' preference for utilization of community eldercare services. Korean J Soc Welf 2003;53:105-128. 

  22. Yoo SH, Kim C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caregivers' family relationship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focusing on problems, burden and institutionalization. J Welf Aged 2004;26:191-214. 

  23. Chang SI. Effect factors of long-term care services utilization of elderly stroke patients in Taiwan [dissertation]. Cleveland (OH):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1993. 

  24. Andersen R, Newman JF.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Milbank Mem Fund Q Health Soc 1973;51(1):95-124. DOI: http://dx.doi.org/10.2307/3349613 

  25.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ssessment for long-term care insurance [Interne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ited 2013 Oct 25]. Available from: http://www.longtermcare.or.kr/portal/site/nydev/MENUITEM_GRADEPROC/. 

  26. Lee Y. Determinants of long-term care service use by elderly. J Korean Gerontol Soc 2009;29(3):917-933. 

  27. Miner S. Racial differences in family support and formal service utilization among older persons: a nonrecursive model.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1995;50(3):S143-S153. DOI: http://dx.doi.org/10.1093/geronb/50b.3.s143 

  28. Park JY, Lee YH, Kwon JH, Lee EM, Lee HY, Kim YH.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are model for the long-term care and medical service.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0. 

  29. Sun WD, Choi JS, Yoo GC, Jang SR, Kim SJ, Improvement in evalu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long-term care quality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