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 환자 이송서비스의 적절성: 미충족 의료와 부적절한 이용
Unmet Need and Inappropriate Use in Emergency Ambulance Service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4 no.4, 2014년, pp.357 - 366  

강경희 (가천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an emergency ambulance system and to investigate socio-econom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emergency ambulance service. Methods: Based on 2011 Korea health panel, unmet need and inappropriate use of emergenc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Weaver 등[11]은 1997-2007년 미국의 전국 병원이송 의료 설문자료(national hospital ambulatory medical care survey)를 이용해 응급 환자 이송서비스의 부적절한 이용을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장기간에 걸쳐 전국적인 응급 환자이송서비스의 이용을 분석하고 있어 향후 관련 연구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즉 응급 환자 이송서비스의 적절성 평가를 위해서는 제한된 지역과 기간의 자료보다는 보다 광범위한 지역의 장기간 자료를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한국의료패널 2011 연간 데이터(version 1.0) [26]를 이용해 응급 환자 이송서비스의 미충족 의료와 부적절한 이용비율을 측정하고, 이용 특성과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응급의료기관이나 응급 환자 이송서비스 제공자(응급의료의 공급자)가 아닌 응급 환자(응급의료의 수요자)의 관점에서 응급 환자 이송서비스를 분석해봄으로써 신속하고 안전한 응급 환자 이송서비스의 제공과 함께 응급의료센터의 과밀화 해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충족 의료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떻게 사용됩니까? 일반적으로 미충족 의료(unmet needs)와 부적절한 이용(inappropriate use)은 의료이용의 형평성과 의료자원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이다. 미충족 의료는 대상자가 원하거나 의료 전문가의 기준으로 필요하다고 판단하지만 대상자가 받지 못한 의료서비스 또는 서비스를 적절히 이용했으면 예방, 경감, 또는 제거될 수 있는 질병이나 불능 상태를 유발하는 경우를 의미하며[1],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문제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한편 의료의 적절성(appropriateness)을 ‘정확한 시간과 시설로 적절한 사람을 위한 올바른 절차(the right procedure for the right person at the right time and setting)’가 제공되는 서비스로 정의한다면[2], 부적절한 이용은 제공된 서비스가 ‘정확한 시간과 시설, 그리고 올바른 절차’를 담보할 때 ‘부적절한’ 사람이 대상자가 된 경우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료이용의 형평성과 의료자원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일반적으로 미충족 의료(unmet needs)와 부적절한 이용(inappropriate use)은 의료이용의 형평성과 의료자원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이다. 미충족 의료는 대상자가 원하거나 의료 전문가의 기준으로 필요하다고 판단하지만 대상자가 받지 못한 의료서비스 또는 서비스를 적절히 이용했으면 예방, 경감, 또는 제거될 수 있는 질병이나 불능 상태를 유발하는 경우를 의미하며[1],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문제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병원 전 단계의 응급 환자 이송서비스는 어떻게 요약되며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응급의료체계에서 병원 전 단계의 응급 환자 이송서비스는 응급 현장과 병원을 이어주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응급 환자 이송서비스는 응급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와 응급의료기관으로의 이송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병원 내에서의 적절한 치료뿐만 아니라 응급 환자가 발생한 현장으로부터 병원까지의 이송과정에서 환자에게 시행되는 응급처치는 환자의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응급 환자를 위한 병원 전 단계의 적절한 처치와 신속한 이송은 응급의료체계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Donabedian A. Aspects of medical care administr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3. 

  2. Sanmartin C, Murphy K, Choptain N, Conner-Spady B, McLaren L, Bohm E, et al. Appropriateness of healthcare interventions: concepts and scoping of the published literature. Int J Technol Assess Health Care 2008;24(3): 342-349. DOI: http://dx.doi.org/10.1017/S0266462308080458 

  3. Park RE, Fink A, Brook RH, Chassin MR, Kahn KL, Merrick NJ, et al. Physician ratings of appropriate indications for six medical and surgical procedures. Am J Public Health 1986;76(7):766-772. DOI: http://dx.doi.org/10.2105/ajph.76.7.766 

  4. Gibson G. Evaluative criteria for emergency ambulance systems. Soc Sci Med 1973;7(6):425-454. DOI: http://dx.doi.org/10.1016/0037-7856(73)90011-5 

  5. Gibson G. Measures of emergency ambulance effectiveness: unmet need and inappropriate use. JACEP 1977;6(9):389-392. DOI: http://dx.doi.org/ 10.1016/s0361-1124(77)80002-6 

  6. Brown E, Sindelar J. The emergent problem of ambulance misuse. Ann Emerg Med 1993;22(4):646-650. DOI: http://dx.doi.org/10.1016/s0196-0644(05)81841-4 

  7. Billittier AJ, Moscati R, Janicke D, Lerner EB, Seymour J, Olsson D. A multisite survey of factors contributing to medically unnecessary ambulance transports. Acad Emerg Med 1996;3(11):1046-1052. DOI: http://dx.doi.org/10.1111/j.1553-2712.1996.tb03352.x 

  8. Camasso-Richardson K, Wilde JA, Petrack EM. Medically unnecessary pediatric ambulance transports: a medical taxi service? Acad Emerg Med 1997;4(12):1137-1141. DOI: http://dx.doi.org/10.1111/j.1553-2712.1997.tb03696.x 

  9. Richards JR, Ferrall SJ. Inappropriate us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transport: comparison of provider and patient perspectives. Acad Emerg Med 1999;6(1):14-20. DOI: http://dx.doi.org/10.1111/j.1553-2712.1999.tb00088.x 

  10. Kost S, Arruda J. Appropriateness of ambulance transportation to a suburban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Prehosp Emerg Care 1999;3(3):187-190. DOI: http://dx.doi.org/10.1080/10903129908958934 

  11. Weaver MD, Moore CG, Patterson PD, Yealy DM. Medical necessity in emergency medical services transports. Am J Med Qual 2012;27(3):250-255. DOI: http://dx.doi.org/10.1177/1062860611424331 

  12. Morris DL, Cross AB. Is the emergency ambulance service abused? Br Med J 1980;281(6233):121-123. DOI: http://dx.doi.org/10.1136/bmj.281.6233.121 

  13. Gardner GJ. The use and abuse of the emergency ambulance service: some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decision whether to call an emergency ambulance. Arch Emerg Med 1990;7(2):81-89. DOI: http://dx.doi.org/10.1136/emj.7.2.81 

  14. Palazzo FF, Warner OJ, Harron M, Sadana A. Misuse of the London ambulance service: how much and why? J Accid Emerg Med 1998;15(6):368-370. DOI: http://dx.doi.org/10.1136/emj.15.6.368 

  15. Little GF, Barton D. Inappropriate use of the ambulance service. Eur J Emerg Med 1998;5(3):307-311. DOI: http://dx.doi.org/10.1097/00063110-1998 09000-00005 

  16. Patton GG, Thakore S. Reducing inappropriate emergency department attendances: a review of ambulance service attendances at a regional teaching hospital in Scotland. Emerg Med J 2013;30(6):459-461. DOI: http://dx.doi.org/10.1136/emermed-2012-201116 

  17. Reed B. Ambulance utilisation in serious health emergencies in rural populations: measuring unmet need [Internet]. New South Wales: Ambulance Research Institute; 2011 [cited 2014 Jun 14]. Available from: http://www.ruralheti.health.nsw.gov.au/_documents/ complete-projects/ buck_ reed_rrcbp_report_final_191011.pdf. 

  18. Rademaker AW, Powell DG, Read JH. Inappropriate use and unmet need in paramedic and nonparamedic ambulance systems. Ann Emerg Med 1987;16(5):553-556. DOI: http://dx.doi.org/10.1016/s0196-0644(87)80684-4 

  19. Chen JC, Bullard MJ, Liaw SJ. Ambulance use, misuse, and unmet needs in a developing emergency medical services system. Eur J Emerg Med 1996;3(2):73-78. DOI: http://dx.doi.org/10.1097/00063110-199606000-00003 

  20. Kim YK, Ryoo JH, Moon WS, Chun BJ, Heo T, Min YI. An analysis on the patient transported via 119 system. J Korean Soc Emerg Med 2000; 11(2):190-195. 

  21. Bae HA, Ryu JY, Eo EK, Jung KY. Study of the appropriateness of 119 rescue usage. J Korean Soc Emerg Med 2004;15(1):36-46. 

  22. Lee HK, Do BS, Lee SB. Appropriateness of the us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propensities toward choice by local residents of hospitals. J Korean Soc Emerg Med 2010;21(5):525-530. 

  23. Park SW, Lee BK, Ryu HH, Jeung KW, Heo T. Out-of-jurisdiction transport of patients by the 119 rescue group. J Korean Soc Emerg Med 2010; 21(5):531-538. 

  24. Lim JE, Yeom SR, Cho SJ, Han SK, Park SW, Lee SH. Field triage of severely injured patients and transportation by the EMS rescue group of Busan and Kyungnam, Korea: is it appropriate? J Trauma Inj 2012;25(4): 145-151.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2017 Emergency medicine plan.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26.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Korea health panel 2008-2011 annual data (version 1.0) [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4 [cited 2014 Apr 14]. Available from: http://www.khp.re.kr/. 

  27. Ohshige K, Kawakami C, Kubota K, Tochikubo O. A contingent valuation study of the appropriate user price for ambulance service. Acad Emerg Med 2005;12(10):932-940. DOI: http://dx.doi.org/10.1197/j.aem.2005.05.033 

  28. Schuman LJ, Wolfe H, Sepulveda J. Estimating demand for emergency transportation. Med Care 1977;15(9):738-749. DOI: http://dx.doi.org/10.1097/00005650-197709000-00002 

  29. Patterson PD, Moore CG, Brice JH, Baxley EG. Use of ED diagnosis to determine medical necessity of EMS transports. Prehosp Emerg Care 2006;10(4):488-493. DOI: http://dx.doi.org/10.1080/10903120600886918 

  30. Jacob SL, Jacoby J, Heller M, Stoltzfus J. Patient and physician perspectives on ambulance utilization. Prehosp Emerg Care 2008;12(2):176-181. DOI: http://dx.doi.org/10.1080/10903120701710058 

  31. Park IC, Lee KR, Lee HS. The severity of emergency patient via ambulance. J Korean Soc Emerg Med 1996;7(1):104-111. 

  32. Chung SH, Yoon HD, Na BJ. Characteristics of non-emergent patients at emergency departments. Korean J Health Policy Admin 2006;16(4):128-146. 

  33. Lee EK, Ji EJ. Analysis of older patients using a regional emergency center. J Korean Gerontol Nurs 2009;11(1):71-80. 

  34. Cho HJ, Kim DH, Han KS, Park JS, Moon SW, Lee SW, et al. Analysis of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transferred from geriatric hospitals: case series descriptive study. J Korean Soc Emerg Med 2011;22(5):531-5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