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가 경험한 긍정적인 간호조직문화
Clinical Nurses' Experience of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5, 2014년, pp.469 - 480  

염영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노상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  김경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clinical nurses' experience of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in order to provide data for effective strategies of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competent nurses. Methods: In this qualitative study, interviews with four focus groups of four to six nurs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들이 임상현장에서 경험한 긍정적인 조직문화의 경험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을 통해 임상간호사들이 경험한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확인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유능한 간호사의 유지를 위한 전략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사가 임상현장에서 경험하는 간호조직문화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임상간호사들이 경험한 긍정적인 간호조직문화를 확인하기 위해 포커스그룹 인터뷰 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일반 간호사와 간호관리자 등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긍정적인 간호문화의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임상현장에서의 긍정적인 간호문화를 도출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임상간호사가 실제 간호업무 환경에서 경험한 긍정적인 간호조직문화에 대한 세부적인 접근을 통해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전반적인 간호조직문화에 대해 질적 연구한 선행연구의 간호조직문화 분류영역과 차이가 있는데, Kwon[16]은 조직문화의 전반적인 특성측면에 대해 분류하였고, Jung[17]은 간호업무와 인간관계 및 간호사 자신에 대한 경험으로 분류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제와 하위주제가 Kwon[16]과 Jung[17]의 연구에서 분류한 여러 영역에 걸쳐서 나타나기도 하고, 부정적으로 인식된 경험이 문제점의 보완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으로 인식되어 본 연구의 주제와 하위주제에 포함되기도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들이 임상현장에서 경험한 긍정적인 조직문화의 경험은 어떠한가?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간호사의 업무환경의 현재 상태는 어떠한가? 임상간호사들은 어떠한 경험을 긍정적인 조직문화라고 생각하는가? 라는 물음을 제기하게 되었다. 간호사들이 임상현장에서 경험하는 긍정적인 간호문화에 대해 보다 심도 깊은 탐구를 하기 위해서 연구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참여자의 의견과 경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해줄 수 있는 포커스 그룹을 활용하여 임상간호사가 경험한 긍정적인 간호문화는 무엇인지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문화란? 조직문화는 조직구성원 모두가 공유하는 믿음, 가치, 행동 패턴 및 가정으로 정의된다[4]. 조직문화가 관심을 받는 이유는 조직문화가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며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5].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이 끼치는 영향은? 6%[1]로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은 간호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새로운 인력을 모집하고 훈련시키는 비용을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조직에 재정적인 손해를 끼치게 된다[2,3]. 이에 병원들은 간호사의 이직을 방지하고 나아가 유능한 간호사를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적용하고 있다.
긍정적인 조직문화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조직문화는 조직구성원 모두가 공유하는 믿음, 가치, 행동 패턴 및 가정으로 정의된다[4]. 조직문화가 관심을 받는 이유는 조직문화가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며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5]. 따라서 조직문화는 전략적 차원에서 핵심적인 자원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고 우수한즉,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창출하고 관리하는 것이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Status of hospital nurse staffing on 2009. Seoul: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09. 

  2. Aiken LH, Clarke SP, Sloane DM, Sochalski J, Silber JH. Hospital nursestaffing and patient mortality, nurse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The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2;288(16):1987-1993. http://dx.doi.org/10.1001/jama.288.16.1987 

  3. Buerhause PI, Donelan K, Ulrich BT, Norman L, DesRoches C, Dittus R. Impact of the nurse shortage on hospital patient care: Comparative perspectives. Health Affairs. 2007;26(3):853-862. http://dx.doi.org/10.1377/hlthaff.26.3.853 

  4. Cooke RA, Rousseau DM. Behavioral Norms and Expectations: A quantitative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organizational culture. Group and Organization Management. 1988;13(3):245-273. http://dx.doi.org/10.1177/105960118801300302 

  5. Van Ess Coeling H, Wilcox JR.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culture: A key to management decision-making.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1989;19(11):16-24. 

  6. Appelbaum SH, Zinati SM, MacDonald A, Amiri Y.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to a patient centric culture: A case study. Leadership in Health Services. 2010;23(1):8-32. http://dx.doi.org/10.1108/17511871011013742 

  7. Han S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2;8(3):441-456. 

  8. An JY, Yom YH, Ruggiero JS. Organizational culture, quality of work lif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Korean nurses.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2011;22(1):22-30. http://dx.doi.org/10.1177/1043659609360849 

  9. Choi J, Ha NS, Park HM. The Relationship between 7S factors of th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4;10(2):255-264. 

  10. Yu GW, Min S, Ha YJ, Na SS, Kim HS. The influence of nurses'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type on organization efficiency at the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09;22(1):525-550. 

  11. Kwon HJ, Suk BH, Chee SJ, Ahn YM, Kim YJ, Park SA, et a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nurses' satisfaction with lif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1):57-69. 

  12. Im SB, Kim SY, Ko Y, Lee MY. Clinical nurses' perceptions o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according to age group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2):215-227. 

  13. Lee HS, Kim JK.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4):488-496. 

  14. Bellot J. Nursing home culture change: What does it mean to nurses? Research in Gerontological Nursing. 2012;5(4):264-273. http://dx.doi.org/10.3928/19404921-20120906-02 

  15. Malloy DC, Hadjistavropoulos T, McCarthy EF, Evans RJ, Zakus DH, Park IY, et 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limate: Nurses's insights into their relationship with physicians. Nursing Ethics. 2009;16(6):719-733. http://dx.doi.org/10.1177/0969733009342636 

  16. Kwon SB. A study o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hospital setting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0. 

  17. Jung OB. Organizational culture experienced by clinical nurses [dissertation]. T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1. 

  18. Kim SJ, Kim HJ, Lee KJ, Lee SW. Research methodology for focus group. Seoul: Hyunmoonsa; 1999. 

  19. Brink PJ, Wood MJ. Advanced design in nursing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89. 

  20. Morgan DL.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 2nd ed.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translator. Seoul: Koonja; 2007. 

  21. Kim KJ, Han JS, Seo MS, Jang BH, Park MM, Ham HM, et al. Relationship between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afety attitude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2):213-221.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2.213 

  22. Kang KH, Ko YK. Change commitment and learning orientation as factors affecting the innovativeness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 (3):404-413.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3.404 

  23. Im SI, Park J, Kim HS. The effects of nurse's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3):274-282.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3.274 

  24. Kim MJ, Koh MS. Mediating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core self-evaluation and innovative behaviour. Health and Social Science. 2011;30:171-198. 

  25. McClure ML; American Academy of Nursing, Task Force on Nursing Practice in Hospitals. Magnet hospitals: Attraction and retention of professional nurses. Kansas City, Mo.: American Nurses' Association; 1983 

  26. Kang KN.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2):155-165.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2.155 

  27. Kim SY, Kim EK, Lim HM, Lee MY, Park KO, Lee K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nursing productivity of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1):20-29. http://dx.doi.org/10.4040/jkan.2013.43.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