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 일부 지역 중년 성인의 식사 패턴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에 관한 연구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by Dietary Patterns of Middle-aged Adults in Gyeonggi Provinc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9 no.6, 2014년, pp.527 - 536  

이유신 (동국대학교-서울 가정교육과) ,  이무용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심장혈관센터) ,  이심열 (동국대학교-서울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을 대상으로 식사 패턴을 파악하고, 식사 패턴에 따른 영양소 섭취실태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품군별 평균 섭취량을 이용한 요인분석을 통해 육류, 주류, 난류, 유지류 등의 섭취가 두드러진 '육류와 술', 주식으로 잡곡류를 섭취하고 과일과 채소 등을 섭취하는 '잡곡과 채소 및 과일', 주식으로 백미를 위주로 하고 김치와 어패류를 섭취하는 '백미와 김치 및 어패류' 패턴이 분리되었다. 2) '육류와 술' 패턴의 요인점수가 높아질수록 신장, 체중, 허리둘레, 체질량지수가 증가하였고, 연령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잡곡과 채소 및 과일' 패턴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육류와 술' 패턴의 경우 남자, '잡곡과 채소 및 과일' 패턴의 경우 여자의 비율이 높았고, '백미와 김치 및 어패류' 패턴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식사 요인점수의 사분위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은 '육류와 술' 패턴의 식사를 할수록 에너지, 단백질, 나트륨의 섭취가 증가하였고, '잡곡과 채소 및 과일' 패턴의 식사를 할수록 탄수화물, 칼륨, 칼슘과 식이섬유의 섭취가 증가하였으며, '백미와 김치 및 어패류' 패턴의 식사를 할수록 에너지와 지질의 섭취가 증가하였고, 탄수화물, 칼륨과 식이섬유의 섭취가 감소하였다. 4) 식사 패턴과 영양소 섭취와의 상관관계에서 '육류와 술' 패턴의 경우 보정 후 단백질과 나트륨의 섭취가 양의 상관관계였으나, 탄수화물, 식이섬유, 칼슘, 칼륨 등의 섭취는 음의 상관관계였고, '잡곡과 채소 및 과일' 패턴의 경우 단백질, 지질, 나트륨과 티아민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백미와 김치 및 어패류' 패턴과 지질의 섭취는 양의 상관관계였고, 탄수화물, 식이섬유, 칼륨 등의 무기질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5) 식사 요인점수의 사분위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는 '육류와 술' 패턴의 식사를 할수록 복부비만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도가 높아졌고, '잡곡과 채소 및 과일' 패턴의 식사를 할수록 고중성지방혈증에 대한 위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식사 패턴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간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육류와 술의 섭취를 줄이고, 잡곡을 위주로 채소와 과일 등을 추가한 균형 잡힌 건강식을 섭취하는 것이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해 권장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how nutrient intakes are related to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dietary patterns in the middle-aged adults. Methods: The subjects (n = 187; 47 men, 140 women) consisted of middle-aged adults over 30 years old in Ilsan area. The 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들은 한국인의 주요 식사 패턴과 다양한 식사와의 연관성이 높은 요인들을 찾아냄으로써, 질병의 고위험군을 파악하고 식사개선 방안의 과학적 근거 자료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의 발생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는 연령대인 중년 성인을 대상으로 식사 패턴을 파악하고, 식사 패턴에 따른 영양소 섭취실태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분석단계에서 대사질환과 관련된 약을 복용하거나, 질병을 인지하고 있는 대상자를 분석에서 제외하여 횡단 연구 방법의 제한점인 질병으로 인한 식사 및 생활습관 변화의 가능성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통계 분석시 교란인자를 보정함으로써 식사 패턴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독립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경기 일부 지역 성인을 대상으로 식사 패턴별 영양소 섭취와 상관관계 및 대사증후군의 발생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식사 패턴은 ‘육류와 술’, ‘잡곡과 채소 및 과일’, ‘백미와 김치 및 어패류’의 3가지로 도출되었다.
  •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을 대상으로 식사 패턴을 파악하고, 식사 패턴에 따른 영양소 섭취실태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질환과 관련된 식생활은? 만성질환은 유전적 요인, 사회·형태적 요인, 식사 요인 등의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하고 있고, 이 중 식사 요인은 생활의 편의성 추구에 따른 서구화된 식생활의 도입으로 가장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추정되며(Kang 등 2011), 이에 따른 식생활과 대사증후군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방과 탄수화물 섭취가 대사증후군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으며, 저탄수화물식사가 고혈압과 고중성지방혈증의 유병률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Park 등 2003; Muzio 등 2007). 또한 나트륨 섭취는 대사증후군과 양의 상관관계에 있으며, 칼륨 섭취는 고혈압을 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Yoo & Kim 2008; Buyck 등 2009).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 순위는?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급속한 사회경제적 발달로 인해 과거 전염병 위주의 감염성 질환에서 선진국형의 만성질환이 주요한 사망원인이 되고 있다.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은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의 순이었으며(Statistics Korea 2013), 대사증후군 및 그 위험요인인 혈당조절장애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및 복부 비만은 결과적으로 당뇨병,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키게 된다.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000년 이전 27.
대사증후군 및 그 위험요인인 혈당조절장애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및 복부 비만이 초래하는 질병은?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급속한 사회경제적 발달로 인해 과거 전염병 위주의 감염성 질환에서 선진국형의 만성질환이 주요한 사망원인이 되고 있다.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은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의 순이었으며(Statistics Korea 2013), 대사증후군 및 그 위험요인인 혈당조절장애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및 복부 비만은 결과적으로 당뇨병,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키게 된다.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000년 이전 2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uyck JF, Blacher J, Kesse-Guyot E, Castetbon K, Galan P, Safar M, Hercberg S, Czernichow S (2009): Differential associations of dietary sodium and potassium intake with blood pressure: a focus on pulse pressure. J Hypertens 27(6): 1158-1164 

  2. Esmaillzadeh A, Kimiagar M, Mehrabi Y, Azadbakht L, Hu FB, Willett WC (2006): Fruit and vegetable intakes, C-reactive protein, and the metabolic syndrome. Am J Clin Nutr 84(6):1489-1497 

  3. Flint AJ, Hu FB, Glyn RJ, Jensen MK, Franz M, Sampson L, Rimm EB (2009): Whole grains and incident hypertension in men. Am J Clin Nutr 90(3): 493-498 

  4. Han BK, Kang YM, Ju SH, Shin MY, Kim JM, Rha SY, Joung KH, Lee JH, Kim KS, Kim HJ, Ku BJ (2014): Effects of green whole grain mixed diet on body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 Korean Soc Study Obes 23(1):41-49 

  5. Hoffmann IS, Cubeddu LX (2009): Salt and the metabolic syndrome. Nutr Metab Cardiovasc Dis 19(2): 123-128 

  6. Hong SY, Song YJ, Lee KH, Lee HS, Lee MS, Jee SH, Joung HJ (2012): A fruit and dairy dietary pattern is associated with a reduced risk of metabolic syndrome. Metabolism 61(6): 883-890 

  7. Hu FB (2002): Dietary pattern analysis: a new direction in nutritional epidemiology. Curr Opin Lipidol 13(1): 3-9 

  8. Jones JM, Reicks M, Adams J, Fulcher G, Weaver G, Kanter M, Marquart L (2002): The importance of promoting a whole grain foods message. J Am coll nutr 21(4): 293-297 

  9. Kang MJ, Joumg HJ, Lim JH, Lee YS, Song YJ (2011): Secular trend in dietary patterns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the 1998, 2001, and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44(2): 152-161 

  10. Kant AK (2004): Dietary patterns and health outcomes. J Am Diet Assoc 104(4): 615-635 

  11. Kim JH, JO IH (2011): Grains, vegetables, and fish dietary pattern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South Korean adults. J Am Diet Assoc 111(8): 1141-1149 

  12. Lee S, Park HS, Kim SM, Kwon HS, Kim DY, Kim DJ, Cho GJ, Han JH, Kim SR, Park CY, Oh SJ, Lee CB, Kim KS, Oh SW, Kim YS, Choi WH, Yoo HJ (2006): Cut-off Points of waist circumference for defining abdominal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Korean J Obes 15(1): 1-9 

  13. Lee SY, Park HS, Kim DJ, Han JH, Kim SM, Cho GJ, Kim DY, Kwon HS, Kim SR, Lee CB, Oh SJ, Park CY, Yook HJ (2007): Appropriate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central obesity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 Clin Pract 75(1): 72-80 

  14. Lee TY, Yoo HJ, Joo NS (2009): Daily calcium intake and obesity in middle-aged Koreans. Korean J Obes 18(2): 59-64 

  15. Lim HJ (2012): A study on the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urinary excretion of adult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17(6): 737-751 

  16. Lim S, Shin H, Song JH, Kwak SH, Kang SM, Yoon JW, Choi SH, Cho SI, Park KS, Lee HK, Jang HC, Koh KK (2011):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1998-2007. Diabetes care 34(6): 1323-1328 

  17. Moon HK, Kong JE (2010): Assessment of nutrient intake for middle aged with and without metabolic syndrome using 2005 and 200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43(1): 69-78 

  18. Mozumdar A, Liguori G (2011): Persistent increase of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 NHANES III to NHANES 1999-2006. Diabetes Care 34(1): 216-219 

  19. Muzio F, Mondazzi L, Harris WS, Sommariva D Branchi A (2007): Effects of moderate variations in the macronutrient content of the diet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obese patients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m J Clin Nutr 86(4): 946-951 

  20.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2002):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Circulation 106(25): 3143-3421 

  21. Newby PK, Tucker KL (2004): Empirically derived eating patterns using factor or cluster analysis: a review. Nutr Rev 62(5): 177-203 

  22. Park YW, Zhu S, Palaniappan L, Heshka S, Carnethon MR, Heymsfield SB (2003): The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 findings in the US population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4. Arch Intern Med 163(4): 427-436 

  23. Riccardi G, Giacco R, Rivellese AA (2004): Dietary fat, insulin sensitiv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Clin Nutr 23(4): 447-456 

  24. Rizzo. NS, Sabate J, Jaceldo-Siegl K, Fraser GE (2011): Vegetarian dietary patterns are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metabolic syndrome: the adventist health study 2. Diabetes care 34(5):1225-1227 

  25. Rumawas ME, Meigs JB, Dwyer JT, McKeown NM, Jacques PF (2009): Mediterranean-style dietary pattern, reduced risk of metabolic syndrome traits, and incidence in the Framingham Offspring Cohort. Am J Clin Nutr 90(6): 1608-1614 

  26. Sacks FM, Svetkey LP, Vollmer WM, Appel LJ, Bray GA, Harsha D, Obarzanek E, Conlin PR, Miller ER, Simons-Morton DG, Karanja N, Lin PH (2001): Effects on blood pressure of reduced dietary sodium and 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diet. N Engl J Med 344(1): 3-10 

  27. Sahyoun NR, Jacques PF, Zhang XL, Juan W, McKeown NM (2006): Whole-grain intake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nd mortality in older adults. Am J Clin Nutr 83(1): 124-131 

  28. Shin KO, Oh SY, Park HS (2007): Empirically derived major dietary pattern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overweight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Br J Nutr 98(2): 416-421 

  29. Son SH, Lee HJ, Park K, Ha TY, Seo JS (2013): Nutritional evaluation and its relation to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of cooked rice and cooked rice with multi-grains in Korean adults: based on 2007-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8(1): 77-87 

  30. Song YJ, Joung HJ, Paik HY (2005): Socioeconomic, nutrient, and health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ietary patterns in adult populations from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38(3): 219-225 

  31. Statistics Korea (2013): The statistics of mortality and the causes. Available from http://www.kostat.go.kr [cited November 25, 2014] 

  3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1):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4.0 for Professionals 

  33. Van dam RM, Rimm EB, Willett WC, Stampfer MJ, Hu FB (2002): Dietary patterns and risk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in U.S. men. Ann Intern Med 136(3): 201-209 

  34. Wirfalt E, Hedblad B, Gullberg B, Mattisson I, Andren C, Rosander U, Janzon L, Berglund G (2001): Food patterns and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men and women: a cross-sectional study within the malmo diet and cancer cohort. Am J Epidemiol 154(12): 1150-1159 

  35. Yang EJ, Kerver JM, Song WO (2005): Dietary patterns of Korean Americans described by factor analysis. J Am Coll Nutr 24(2):115-121 

  36. Yoo HJ, Kim YH (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 intake in metabolic syndrome subjects. Korean J Nutr 41(6):510-5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