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 식생활 행위, 신체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Association of Sleep, Dietary Behaviors and Physical Activity with Quality of Life among Shift-work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9 no.4, 2017년, pp.252 - 257  

이아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임성주 (중앙대학교 간호대학) ,  한기혜 (중앙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of sleep, dietary behaviors and physical activity with quality of life among shift-work nurses. Methods: For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91 shift-work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Multiple linear reg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 식생활 행위, 신체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면, 식생활 행위, 신체활동과 삶의 질을 측정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삶의 질 향상을 돕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면, 식생활 행위, 신체활동과 삶의 질을 측정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삶의 질 향상을 돕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 식생활 행위, 신체활동 수준을 파악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선행연구에서 수면, 식생활 행위, 신체활동 등 건강활동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3,9].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진행했던 것보다는 더 포괄적으로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수면, 식생활 행위, 신체활동을 함께 측정하여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근로자의 개인적 삶의 질 측면이나 기업과 사회적 발전측면에서 야간근로자들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해야 한다.
  •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 식생활 행위, 신체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근로자의 개인적 삶의 질 측면이나 기업과 사회적 발전측면에서 야간근로자들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업무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간호사의 삶의 질에 관련된 요인으로 수면, 식생활 행위, 신체활동을 연구하고자한다.
  • 하였고 자료입력과 분석은 연구자가 직접 시행함으로써 사생활보호에 유의조사대상자들에게 본 연구의 참여가 자발적이며 설문지는 연구의 목적으로만 사용할 것과 익명성과 비밀을 보장한다는 내용으로 구성된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서에 자필 서명을 한 후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조사 후 수집과정에서 동료간호사가 볼 여지가 있어, 설문지와 동의서를 각각 따로 서류봉투에 넣어 밀봉하게 한 후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행위란?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불규칙한 생활은 건강행위 실천의 저해요인이다[6]. 건강행위란 더 높은 수준의 건강을 위하여 능동적으로 환경에 반응하는 행동으로, 수면, 식생활 행위, 신체활동 등을 포함한다[7]. 특히 야간작업을 포함한 교대근무를 하는 경우 건강활동을 충분히 하지 못하여 이와 관련된 다양한 건강문제가 있을 수 있다[8].
수면의 질 저하로 인한 수면장애는 심한 경우 어떤 증상이 발생하는가? 수면의 질 저하로 인한 수면장애는 대사성 내분비계 기능에도 영향을 주어 당뇨병 등 대사성질환 발병률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10] 위장관계 문제, 우울과 불안 등 정신 건강 문제를 일으키는 위험요인이기도 하다[2,11]. 심한 경우는 기억력, 판단력과 집중력 저하로 업무 중 사고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게 된다[9]. 또한 한국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식생활행위는 전반적으로 좋지 않으며, 식사시간이 불규칙하다.
삶의 질은 무엇과 관계가 있는가? 삶의 질은 낮은 수면장애, 건강한 식생활 행위, 활발한 신체활동과 관계가 있었다. 이는 수면습관이 좋을수록,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건강 습관이 좋을수록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난다고 한 선행연구[20]의 결과와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0 Survey report on labor conditions by employment type. Final report. Seoul: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1 Jun. Report No.: 11-1490000-000336-10. 

  2. Bang YE, Park B. The effects of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job stress on health problems of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6;25(3):227-237. http://dx.doi.org/10.5807/kjohn.2016.25.3.227 

  3. Yun MJ, Lee EN, Won YH. Concept analysis of shift work maladaptation syndrom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4;21(2):135-144. http://dx.doi.org/10.5953/JMJH.2014.21.2.135 

  4. Kim W, Kim TH, Lee TH, Choi JW, Park EC. The impact of shift and night work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working women: Findings from the Korea Health Pane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16;14:1-6. http://dx.doi.org/10.1186/s12955-016-0564-x 

  5. Cruz JP. Quality of life and its influence on clinical competence among nurses: A self-reported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7;26(3-4):388-399. http://dx.doi.org/10.1111/jocn.13402 

  6. Bakhshi S, Sun F, Murrells T, While A. Nurses' health behaviours and physical activity-related health-promotion practices. British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2015;20(6):289-296. http://dx.doi.org/10.12968/bjcn.2015.20.6.289 

  7. Pender NJ.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10. p.1-368. 

  8. Yu E, Rimm E, Qi L, Rexrode K, Albert CM, Sun Q, et al. Diet, lifestyle, biomarkers, genetic factors,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nurses' health studi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6;106(9):1616-1623. http://dx.doi.org/10.2105/AJPH.2016.303316 

  9. Jung YJ, Kang SW. Differences in sleep, fatigue, and neurocognitive function between shift nurses and non-shift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7;29(2):190-199. https://doi.org/10.7475/kjan.2017.29.2.190 

  10. Silva-Costa A, Rotenberg L, Nobre AA, Schmidt MI, Chor D, Griep RH. Gender- specific association between night-work exposure and type 2 diabetes: results from the longitudinal study of adult health, ELSA-Brasil.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2015;41(6):569-578. http://dx.doi.org/10.5271/sjweh.3520 

  11. Kim EJ, Jung HS, Choi E. Relationship of shift work to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14;14(4):172-179. http://dx.doi.org/10.15384/kjhp.2014.14.4.172 

  12. Han K, Choi-Kwon SM, Kim KS. Poor dietary behaviors among hospital nurses in Seoul, South Korea. Applied Nursing Research. 2016;30:38-44. http://dx.doi.org/10.1016/j.apnr.2015.10.009 

  13. Kim SJ. Job satisfaction, leisure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clinical nurses [master's thesis].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1. p.1-29. 

  14. Lee KA. Self-reported sleep disturbances in employed women. Sleep. 1992; 15(6):493-498. https://doi.org/10.1093/sleep/15.6.493 

  15. Choi H, Kim SJ, Kim B, Kim I. Korean versions of self-reported sleep questionnaires for research and practice on sleep disturbanc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2;15(1):1-10. http://dx.doi.org/10.7587/kjrehn.2012.1 

  16. Moon SJ, Lee MH, Lee YM, Jo SS, Lee MJ, Lee SM. Nutrition Education. 1st ed. Seoul: Hyoil; 1994. p.226. 

  17. Yoon H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nutrient intakes of dietitians living in Kangwon area. Korean Journal of Dietary Culture. 1999;14(4): 319-331. 

  18. Youn HS, Choi, YY, Lee KH. Evaluation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nutrient intakes of nurses working in Kyungnam area. Korean Journal of Nutrition. 2003;36(3):306-318. 

  19. Oh JY, Yang YJ, Kim BS, Kang J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short form.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07;287:532-541. 

  20. Park YM. Interrelation of living habits and living quality of shift nurses [master' s thesis]. Suwon: Kyonggi University; 2005. p.1-51. 

  21. Kim J, Kim C. Association of job stress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health status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6;25(4):311-319. http://dx.doi.org/10.5807/kjohn.2016.25.4.311 

  22. Choi YS.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focused on hospital nurse.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012;26(2):381-397. 

  23. Fie S, Norman IJ, While A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ians' and nurses' personal physical activity habits and their health-promotion practice: a systematic review. Health Education Journal. 2012;72(1):102-119. http://dx.doi.org/10.1177/0017896911430763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