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각적 생체 되먹임 훈련과 공차기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체중지지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uditory Biofeedback Training and Kicking Training on Weight-bearing Ratio in Patients with Hemiplegia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9 no.4, 2014년, pp.363 - 373  

전현주 (동신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이진수 (동신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기종 (동신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제갈혁 (청암대학 물리치료학과) ,  남기원 (동신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of scale using auditory biofeedback training and kinging training on walking speed and weight bearing ratio in patients hemiplegia with stroke to determine of the effects of such training would be maintained even after stopping the intervention. METHODS: The 3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의 방법들은 단순한 과제가 아니며, 고가의 장비들이 필요한 연구들이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들을 고려하여 청각적 생체되먹임 훈련과 체중이동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 그러나 지금까지 뇌졸중 환자들의 생체되먹임과 체중이동에 관한 접근법은 많이 중재되어 왔으나 단순한 하나의 중재가 아니라 복잡한 중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고가의 장비를 이용한 훈련으로 어디에서나 쉽게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들의 치료를 위한 중재 방법으로 쉽고 간단해서 가정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체중계를 이용한 청각적 생체되먹임 훈련과 공차기 방법을 통한 체중이동 훈련을 통해 대칭적 체중지지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4주간 청각을 이용한 체중계 훈련과 공차기 훈련이 체중지지율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훈련을 중단하고 4주 후 즉, 8주 후 에도 효과가 지속되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청각을 이용한 체중계 훈련을 하고 체중지지율을 측정한 결과는? 청각을 이용한 체중계 훈련군은 체중지지율에서 측정 시기와 그룹 간 상호 작용에 대하여 4주 후 눈을 뜬 채 정면을 바라보는 자세, 눈을 감은 채 정면을 향한 자세, 눈을 뜬 채 불안정판 위에서 정면을 바라보는 자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8주 후 눈을 뜬 채 정면을 바라보는 자세, 불안정판 위에서 정면을 바라보는 자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눈을 감은 채 정면을 향한 자세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유지되었다.
뇌졸중이란? 우리나라 통계청 자료 ‘2012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 의하면 3대 사망원인은 악성신생물,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으로써 뇌혈관 질환은 3위를 차지하고 있다 (Statistics Korea, 2012). 뇌졸중은 뇌에 공급되는 혈류가 차단되거나 뇌 조직의 출혈로 인하여 장애가 생기는 질병으로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의 발전에 따라 수명의 증가와 함께 뇌졸중 환자의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Kim 등, 2003). 뇌졸중 환자들은 비대칭적인 자세, 균형및 체중이동능력이 감소하게 되어 섬세한 기능을 수행하는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Rodgers 등, 2008).
2012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3대 사망원인은? 우리나라 통계청 자료 ‘2012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 의하면 3대 사망원인은 악성신생물,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으로써 뇌혈관 질환은 3위를 차지하고 있다 (Statistics Korea, 2012). 뇌졸중은 뇌에 공급되는 혈류가 차단되거나 뇌 조직의 출혈로 인하여 장애가 생기는 질병으로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의 발전에 따라 수명의 증가와 함께 뇌졸중 환자의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Kim 등,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WH, Jeong MK, Kim CK. The training effect of balance pad in stroke.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08;32(2):803-11. 

  2. Beninato M, Gill-Body K, Krebs DE. Relationship among balance impairments, functional performance, and disability in people with peripheral vestibular hypofunction. Phys Ther, 2000;80(8):748-58. 

  3. Dean CM, Channon EF, Hal JM. Sitting training early after stroke improves sitting ability and quality and carries over to standing up but not to walking: a randomised trial. Aust J Physiother. 2007;53(2):97-102. 

  4. Dobkin BH. Training and Exercise to drive poststroke recovery. Nature Reviews Neurology. 2008;4(2):76-85. 

  5. Eng JJ, Chu KS.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t-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8):1138-44. 

  6. Haartde M, Geurts AC, Dault MC et al. Restoration of weight-shifting capacity in patients with post acute stroke: a rehabilitation cohor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5;86(4):755-62. 

  7. Harris J, Eng J, Marigold D et al. Relationship of balance and mobility to fall incidence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Phys Ther. 2005;85(2):150-8. 

  8. Hatch J, Gill-Body KM, Portney LG. Determinants of balance confidenc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Phys Ther. 2003;83(12):1072-79. 

  9. Huang H, Wolf SL, He J. Recent developments in biofeedback for neuromotor rehabilitation. J Neuroeng Rehabil. 2006;3:11. 

  10. Ikai T, Kamikub T, Takenhara I et al. Dynamic postural control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Am J Phys Med Rehabil. 2003;82(6):463-9. 

  11. Kim KT, Lee KM, Kim K, et al. Timing and causes of death of stroke patients died in hospitation. J Koeean Acad Rehabil Med. 2003;27(4):494-9. 

  12. Kwan YC, Lee HJ, Tae K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auditory feedback gait training system induced symmetrical weight-bearing in hemiplegic patients. Rehabilitation Engineering and Assistive Technology Society of Korea. 2012;6(2):23-30. 

  13. Laufer Y, Dickstein R, Resnik S et al. Weight-bearing shift of hemiparetic and healthy adults upon stepping on stairs of zarious heights. Clin Rehabil. 2000;14(2):125-9. 

  14. Lee DY, Shin WS, Lee KJ et al. The effects of problem-solving task training on a functional standing balance and gait of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2008;16(4):97-115. 

  15. Lee SW, Lee HS. The effect of treadmill-based leg weight loading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Science. 2011;50(1):89-111. 

  16. Marigold DS, Eng JJ, Dawson AS. Exercise leads to faster postural reflexes, improved balance and mobility, and fewer fall older persons with chronic stroke. J Am Geriatr Soc. 2005;53(3):416-23. 

  17. Nichols DS. Balance retraining after stroke using force platform biofeedback. Phys Ther. 1997;77(5):553-8. 

  18. Patterson SL, Forrester LW, Rodgers MM et al. Determinants of walking function after stroke: differences by deficit severity. Arch Phys Med Rehabil. 2007;88(1): 115-9. 

  19. Rodgers SL, Rodgers MM, Macko RF, et al.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training on spatial and temporal gait parameters in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J Rehabil Res Dev. 2008;45(2):221-8. 

  20. Salbach NM, Mayo NE, Robichaud-Ekstrand S et al. The effect of a task-oriented walking intervention on improving balance self-efficacy post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Am Geriatr Soc. 2005;53(4):576-82. 

  21. Schwartz S, Seqal O, Barkana Y et al. The effect of cataract on sugery on postural control.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5;46(3):920-4. 

  22. Smania N, Montagnana B, Faccioli S et al. Rehabilitation of somatic sensation and related deficit of motor control in patients with pure sensory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1):692-1702. 

  23. Song CH, Lee EJ, Shin WS. The effect of combined with locomotor and function strengthening training in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49(3): 151-170. 

  24. Statistics Korea. http://www.kostat.go.kr. 

  25. Walker C, Brouwer BJ, Cuham EG. Use of visual feedback in retraining balance following acute stroke. Phys Ther. 2000;80(9):886-95. 

  26. Wi GS. The effects of stair and ramp gait training on a static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stroke. 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1. 

  27. Winstein CJ, Gradmer ER, Mcneal DR et al. Standing balance training: effects on balance and locomotion in hemiparetic adults. Arch Phys Med Rehabil, 1989;70:755-62. 

  28. Youn SW. The effect of audiovisual biofeedback exercises on the balance and gait of chronic hemiplegia patient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cience Eulj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