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강종아리 관절의 활주 방향이 발목관절의 능동적 발등굽힘 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rection of Gliding in Tibiofibular Joint on Angle of Active Ankle Dorsiflexion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9 no.4, 2014년, pp.439 - 445  

고은경 (마산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원종혁 (중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정도영 (중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rection of gliding in the tibiofibular (TF) joint on angle of active ankle dorsiflexion (AADF). METHODS: Fifteen subjects with no medical history of lower extremitie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The digital dynamometer was used to maintai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록 이전의 많은 연구들 에서 먼쪽 정강종아리 관절의 관절 가동술이 발등굽힘 각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다고 언급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몸쪽 정강종아리 관절의 가동술이 발등굽힘 각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몸쪽과 먼쪽 정강종아리 관절의 다양한 활주 방향이 능동적인 발목 관절의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자료는 골절과 발목 염좌와 같은 발목관절의 제한이 있는 대상자에게 발등굽힘의 향상을 위한 관절 가동술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는 목적은 몸쪽과 먼쪽 정강종아리 관절의 다양한 활주 방향이 능동적인 발목관절의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먼쪽 정강종아리 관절에서의 앞쪽-아래 방향과 몸쪽 정강종아리 관절에서의 뒤쪽-아래 방향의 활주조건이 유의하게 능동적인 발등굽힘 각을 제한 시켰다.
  • 본 연구는 발등굽힘 운동 시 먼쪽과 몸쪽 정강종아리 관절에서 각각의 활주 방향에 따른 발등굽힘 각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먼쪽 정강종아리 관절에서 발등굽힘 운동 시 종아리뼈의 정상적인 활주 움직임의 반대 방향인 앞쪽-아래 방향으로 활주 시에 활주가 없는 조건과 뒤쪽-위 방향의 활주 조건 보다 유의하게 발등굽힘 각이 제한되었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몸쪽 정강종아리 관절의 활주를 통해 발목관절의 가동범위를 확인하였다. 몸쪽 정강종아리 관절의 활주 방향을 앞쪽-위 방향과 뒤쪽-아래 방향으로 결정한 이유는 반좌위 자세에서 발목관 절의 발등굽힘 시 먼쪽 정강종아리 관절이 뒤쪽-위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몸쪽 정강종아리 관절이 앞쪽-위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라고 사료되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목 움직임을 향상 시키기 위한 물리치료 방법의 종류는? 발목 움직임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물리치료 방법으로 크게 관절가동범위 운동(range of motion exercise)과 관절 가동술(joint mobilization) 그리고 스트레칭(stretching) 등이 있다(Green 등, 2001; Whitman 등, 2005). 관절가동범위 운동은 능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반복적인 가동범위 움직임으로 수행되며, 스트레칭은 근육, 인대 그리고 관절낭과 같은 치밀 결합조직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관절가동범위 운동의 특징은? 발목 움직임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물리치료 방법으로 크게 관절가동범위 운동(range of motion exercise)과 관절 가동술(joint mobilization) 그리고 스트레칭(stretching) 등이 있다(Green 등, 2001; Whitman 등, 2005). 관절가동범위 운동은 능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반복적인 가동범위 움직임으로 수행되며, 스트레칭은 근육, 인대 그리고 관절낭과 같은 치밀 결합조직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관절 가동술은 관절의 부수적인 움직임(accessory motion)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되며 관절의 기능부전(dysfunction)과 통증 감소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Seiger와 Draper, 2006).
발목 골절, 염좌, 인대손상과 같은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은? 발목 움직임의 제한(limitation of ankle motion)은 발목 골절, 염좌, 인대손상과 같은 정형외과적인 흔한 질환으로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발목 손상은 손상 정도에 따라 발목 움직임 부동(immobilization)을 위해 몇 주 동안 보조기 또는 판 고정(plate fixation)이 요구된다 (Denegar 등, 2002; Drewes 등 2009; Lin 등 2009). 집중적인 치료를 받고도 발목 염좌 이후 환자의 20∼40%에서 발목 움직임 제한 또는 지속적인 통증이 계속된다 (Hertel,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eazell JR, Grindstaff TL, Sauer LD et al. Effects of a proximal or distal tibiofibular joint manipulation on ankle range of motion and functional outcomes in individual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2;42(2):125-34. 

  2. Berkowitz MJ, Kim DH. Fibular position in relation to lateral ankle instability. Foot Ankle Int. 2004;25(5):318-21. 

  3. Collins N, Teys P, Vicenzino B. The initial effects of a Mulligan's mobilization with movement technique on dorsiflexion and pain in subacute ankle sprains. Man Ther. 2004;9(2):77-82. 

  4. Denegar CR, Hertel J, Fonseca J. The effect of lateral ankle sprain on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posterior talar glide, and joint laxity.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2;32(4):166-73. 

  5. Drewes LK, McKeon PO, Kerrigan DC et al. Dorsiflexion deficit during jogging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 Sci Med Sport. 2009;12(6):685-7. 

  6. Eren OT, Kucukkaya M, Kabukcuoglu Y et al. The role of a posteriorly positioned fibula in ankle sprain. Am J Sports Med. 2003;31(6):995-8. 

  7. Fujii M, Suzuki D, Uchiyama E et al. Does distal tibiofibular joint mobilization decrease limitation of ankle dorsiflexion? Man Ther. 2010;15(1):117-21. 

  8. Green T, Refshauge K, Crosbie J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passive accessory joint mobilization on acute ankle inversion sprains. Phys Ther. 2001;81(4):984-94. 

  9. Hertel J. Functional instability following lateral ankle sprain. Sports Med. 2000;29(5):361-71. 

  10. Hubbard TJ, Hertel J. Anterior positional fault of the fibula after sub-acute lateral ankle sprains. Man Ther. 2008;13(1):63-7. 

  11. Hubbard TJ, Hertel J. Mechanical contributions to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Sports Med. 2006;36(3):263-77. 

  12. Kavanagh J. Is there a positional fault at the inferior tibiofibular joint in patients with acute or chronic ankle sprains compared to normals? Man Ther. 1999;4(1):19-24. 

  13. Lin CW, Moseley AM, Herbert RD et al. Pain and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predict short- and medium-term activity limitation in people receiving physiotherapy intervention after ankle fracture: an observational study. Aust J Physiother. 2009;55(1):31-7. 

  14. Loudon JKBell SL. The foot and ankle: an overview of arthrokinematics and selected joint techniques. J Athl Train. 1996;31(2):173-8. 

  15. Mulligan BR. Manual Therapy 'NAGS', 'SNAGS', 'MWMS' etc. Wellington, Plane view Services Ltd, 1995. 

  16. Norkin CC, White J. Measurement of joint Motion: A Guide to Goniometry, Philadelphia, PA: FA Davis; 1983:352-8. 

  17. Seiger CD, raper DO. Use of pulsed shortwave diathermy and joint mobilization to increase ankle range of motion in the presence of surgical implanted metal: A case serie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6;36(9):669-77. 

  18. Whitman JM, Childs JD, Walker V. The use of manipulation in a patient with an ankle sprain injury not responding to conventional management: a case report. Man Ther. 2005;10(3):224-31. 

  19. Yeo HK, Wright A. Hypoalgesic effect of a passive accessory mobilisation technique in patients with lateral ankle pain. Man Ther. 2011;16(4):37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