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말밑 관절의 중립자세와 무릎관절 자세가 수동적인 발등굽힘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talar Joint Neutral Position and Knee Position on the Passive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6 no.3, 2019년, pp.23 - 31  

정도영 (중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운동병리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Measurement of passive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ADROM) is often part of a physical therapy assessment. Objec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ubtalar joint neutral position (SJNP) on passive ADROM according to knee position in young adults. Meth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목말밑 관절의 중립자세 유무에 따른 무릎관절의 폄과 굽힘 시 수동적인 발등굽힘 각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목말밑 관절의 자세와 무릎관절 자세가 수동적인 발등굽힘 가동범위에 상호작용(interation effect)할 것이다. 2) 목말밑 관절의 중립자세 여부에 따른 수동적인 발등굽힘 각의 차이가 무릎 굽힘 자세보다 폄 시에 더 큰 차이를 보일 것이다.
  • 1) 목말밑 관절의 자세와 무릎관절 자세가 수동적인 발등굽힘 가동범위에 상호작용(interation effect)할 것이다. 2) 목말밑 관절의 중립자세 여부에 따른 수동적인 발등굽힘 각의 차이가 무릎 굽힘 자세보다 폄 시에 더 큰 차이를 보일 것이다. 3) 목말밑 관절의 중립자세 없이 측정한 발등굽힘 가동범위가 목말밑 관절의 중립자세에서 측정한 발등굽힘 가동범위보다 클 것이다.
  • 2) 목말밑 관절의 중립자세 여부에 따른 수동적인 발등굽힘 각의 차이가 무릎 굽힘 자세보다 폄 시에 더 큰 차이를 보일 것이다. 3) 목말밑 관절의 중립자세 없이 측정한 발등굽힘 가동범위가 목말밑 관절의 중립자세에서 측정한 발등굽힘 가동범위보다 클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목말밑 관절의 중립자세 유무에 따라 무릎 관절의 폄과 굽힘 시 수동적인 발등굽힘 범위를 조사하였을 때 한계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몇몇 제한점들이 있다. 첫째, 발목관절의 발등굽힘 뿐만 아니라 목말밑 관절과 발목뼈중간 관절에서의 발둥굽힘각을 측정하지 못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목말밑 관절의 중립자세가 수동적인 발등굽힘 시 목말밑 관절과 발목뼈중간 관절에서의 발등굽힘 제한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목말밑 관절의 중립세 유무에 따른 수동적인 발등굽힘 힘 적용 시 힘의 크기를 통제하지 못했다. 발등굽힘 힘의 크기에 따라 발등굽힘 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세 번째, 대상자가 20대 성인을 대상으로만 하고 남성보다 여성이 많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화 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능동적인 발등굽힘 가동범위는 측정하지 못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목말밑 관절의 중립자세 여부에 따른 능동적인 발등굽힘 가동범위와 앞정강근(tibialis anterior)과 긴 발가락 폄근(extensor digitorum longus)의 근활성도 혹은 근력을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무릎관절 폄 자세에서의 발등굽힘의 제한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무릎관절 폄 자세에서의 발등굽힘의 제한은 장딴지근(gastrocnemius)의 유연성 감소를 의미하고 무릎관절 굽힘 자세에서의 발등굽힘의 제한은 가지미근(soleus)의 유연성 감소를 의미한다. 장딴지근의 단축은 무릎을 폈을 때 발등굽힘 움직임을 제한시킬 수 있다(Kibler 등, 1991; Riemann 등, 2001).
발등굽힘 제한은 어떠한 증후군들과 관련이 있는가? 정상적인 보행을 위해서 발목관절의 발등굽힘 가동 범위(ankle dorsiflexion)가 중요하다(Jordan, 1979). 발등굽힘 제한은 아킬레스 힘줄염(Achilles tendonitis)(Wilder와 Sethi 2004), 발바닥 근막염(plantar fasciitis)(Kibler 등, 1991; Riddle 등, 2003) 안쪽 정강 스트레스 증후군(medial tibial stress syndrome)(Lilletvedt 등, 1979), 엉덩정강근막띠 증후군(iliotibal band friction syndrome)(Messier와 Pittala, 1988), 무릎넙다리 증후군(patellofemoral pain syndrome)(Messier와 Pittala, 1988), 만성 발목 불안정성(chronic ankle instability)(Pope 등, 1998) 그리고 정강뼈 스트레스 골절(Fredericson, 1996)과 같은 다양한 하지 과사용 증후군과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발목관절의 발등굽힘 제한으로 인한 하지의 과사용 증후군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발목관절 가동술과 장딴지 근육의 스트레칭과 같은 다양한 중재들이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10.7547/16-128 Alawna MA , Unver BH , Yuksel EO. The reliability of a smartphone goniometer application compared with a traditional goniometer for measuring ankle joint range of motion. J Am Podiatr Med Assoc. 2019 ;109(1):22-29. 

  2. Albert SF , Curran SA , Root JA , et al. Lower Extremity Biomechanics: Theory and practice volume 1 Kindle edition, Denver, Colorado: Bipedmed, LLC, 2018:1390. 

  3. 10.7547/87507315-83-5-251 Baggett BD , Young G. Ankle joint dorsiflexion. Establishment of a normal range. J Am Podiatr Med Assoc. 1993;83(5):251-254. 

  4. 10.1007/s00402-016-2513-x Baumbach SF , Braunstein M , Seeliger F , et al. Ankle dorsiflexion: What is normal? Development of a decisionpathway for diagnosing impaired ankle dorsiflexion and M. gastrocnemius tightness. Arch Orthop Trauma Surg. 2016;136(9):1203-1211. 

  5. 10.2519/jospt.1991.13.1.20 Bohannon RW , Tiberio D , Waters G. Motion measured from forefoot and hindfoot landmarks during passive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1;13(1):20-22. 

  6. 10.2106/00004623-200206000-00010 DiGiovanni CW , Kuo R , Tejwani N , et al. Isolated gastrocnemius tightness. J Bone Joint Surg Am. 2002;84(6):962-970. 

  7. 10.1093/ptj/68.5.678 Elveru RA , Rothstein JM , Lamb RL , et al. Methods for taking subtalar joint measurements. A clinical report. Phys Ther. 1988;68(5):678-682. 

  8. 10.2165/00007256-199621010-00005 Fredericson M. Common injuries in runners: Diagnosis, rehabilitation and prevention. Sports Med. 1996;21(1):49-72. 

  9. 10.1177/0309364612465886 Gatt A , Chockalingam N.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new ankle dorsiflexion measurement device. Prosthet Orthot Int. 2013;37(4):289-297. 

  10. Gershman S. A literature review of midtarsal joint function. Clin Podiatr Med Surg. 1988;5(2): 385-391. 

  11. 10.4085/1062-6050-43.2.172 Johanson M , Baer J , Hovermale H , et al. Subtalar joint position during gastrocnemius stretching and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J Athl Train. 2008;43(2):172-178. 

  12. 10.7547/87507315-69-1-40 Jordan RP. Ankle dorsiflexion at the heel-off phase of gait: A photokinegraphic study. J Am Podiatry Assoc. 1979;69:40-46. 

  13. 10.2519/jospt.2009.3158 Jung DY , Koh EK , Kwon OY , et al. Effect of medial arch support on displacement of the myotendinous junction of the gastrocnemius during standing wall stretching.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9;39(12):867-874. 

  14. 10.1097/00008526-200206000-00011 Karas M , Hoy DJ. Compensatory midfoot dorsiflexion in the individual with heelcord tightness. implications for orthotic device designs. J Prosthet Orthot. 2002;14(2):82-93. 

  15. 10.1177/036354659101900111 Kibler WB , Goldberg C , Chandler TJ. Functional biomechanical deficits in running athletes with plantar fasciitis. Am J Sports Med. 1991;19(1):66-71. 

  16. 10.7547/1010407 Kim PJ , Peace R , Mieras J , et al.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in the measurement of ankle joint dorsiflexion is independent of examiner experience and technique used. J Am Podiatr Med Assoc. 2011 ;101(5):407-414. 

  17. 10.1053/j.jfas.2015.11.006 Kleeblad LJ , van Bemmel AF , Sierevelt IN ,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chillometer(®): An ankle dorsiflexion measurement device. J Foot Ankle Surg. 2016;55(4):688-692. 

  18. Levangie PK , Norkin CC. Joint Structure & Function: A Comprehensive Analysis. 5th ed. Philadelphia, PA, FA Davis, 2011:459. 

  19. 10.7547/87507315-69-3-211 Lilletvedt J , Kreighbaum E , Phillips RL. Analysis of selected alignment of the lower extremity related to the shin splint syndrome. J Am Podiatry Assoc. 1979;69(3):211-217. 

  20. Messier SP , Pittala KA. Etiologic factors associated with selected running injuries. Med Sci Sports Exerc. 1988;20(5):501-505. 

  21. 10.1097/00002060-196602000-00002 Murray MP , Kory RC , Clarkson BH , et al. Comparison of free and fast speed walking patterns of normal men. Am J Phys Med. 1966; 45(1):8-23. 

  22. Norkin CC , Levangie PK. Joint Structure & Function: A comprehensive analysis. 3rd ed. Philadelphia, PA: FA Davis. 2001: 532. 

  23. 10.1016/S0004-9514(14)60376-7 Pope R , Herbert R , Kirwan J. Effects of ankle dorsiflexion range and pre-exercise calf muscle stretching on injury risk in army recruits. Aust J Physiother. 1998. 44(3):165-172. 

  24. 10.7547/1020406 Rabin A , Kozol Z. Weightbearing and nonweightbearing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Are we measuring the same thing? J Am Podiatr Med Assoc. 2012;102(5):406-411. 

  25. 10.2106/00004623-200305000-00015 Riddle DL , Pulisic M , Pidcoe P , et al. Risk factors for plantar fasciitis: A matched case-control study. J Bone Joint Surg Am. 2003;85(5):872-877. 

  26. Riemann BL , DeMont RG , Ryu K , et al. The effects of sex, joint angle, and the gastrocnemius muscle on passive ankle joint complex stiffness. J Athl Train. 2001;36(4):369-375. 

  27. 10.7547/87507315-93-4-312 Saxena A , Kim W. Ankle dorsiflexion in adolescent athletes. J Am Podiatr Med Assoc. 2003; 93(4):312-314. 

  28. 10.2519/jospt.1990.12.1.10 Smith-Oricchio K , Harris BA. Interrater reliability of subtalar neutral, calcaneal inversion and eversion.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0; 12(1):10-15. 

  29. 10.7547/87507315-61-11-423 Subotnick SI. Equinus deformity as it affects the forefoot. J Am Podiatry Assoc. 1971;61(11):423-427. 

  30. 10.1093/ptj/67.6.955 Tiberio D. Evaluation of functional ankle dorsiflexion using subtalar neutral position. A clinical report. Phys Ther. 1987;67(6):955-957. 

  31. 10.1016/0268-0033(89)90024-7 Tiberio D , Bohannon RW , Zito MA. Effect of subtalar joint position on the measurement of maximum dorsiflexc. Clin Biomech (Bristol, Avon). 1989;4(3):189-191. 

  32. 10.7547/87507315-92-6-317 Van Gheluwe B , Kirby KA , Roosen P , et al. Reliability and accuracy of biomechanical measurements of the lower extremities. J Am Podiatr Med Assoc. 2002;92(6):317-326. 

  33. 10.1016/S0278-5919(03)00085-1 Wilder RP , Sethi S. Overuse injuries: Tendinopathies, stress fractures, compartment syndrome, and shin splints. Clin Sports Med. 2004;23(1):55-81. 

  34. Wilken J , Rao S , Estin M , et al. A new device for assessing ankle dorsiflexion motion: Reliability and validity.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1;41(4):274-280. https://doi.org/10.2519/jospt. 2011. 3397 

  35. 10.2519/jospt.1994.19.6.352 Worrell TW , McCullough M , Pfeiffer A. Effect of foot position on gastrocnemius/soleus stretching in subjects with normal flexibility.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4;19(6):352-3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