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대학생의 발목관절 발등굽힘 각도 변화에 따른 장딴지근 깃각의 차이
Change in Gastrocnemius Pennation Angle According to Ankle Dorsiflex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2, 2015년, pp.8684 - 8690  

김지선 (경운대학교 보건대학 물리치료학과) ,  서병도 (경운대학교 보건대학 물리치료학과) ,  신형수 (경운대학교 보건대학 물리치료학과) ,  신희준 (경운대학교 보건대학 물리치료학과) ,  주정열 (경운대학교 보건대학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발목관절의 발등굽힘 각도를 $0^{\circ}$, $10^{\circ}$, $20^{\circ}$로 위치하게 한 후 각 각도에서 장딴지근깃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효율적인 장딴지근 신장 각도를 제시하는 것이다. 건강한 성인 남녀 25명을 그 대상으로 하여 발목관절 발등굽힘 각도 $0^{\circ}$, $10^{\circ}$, $20^{\circ}$에서 초음파 기기를 이용하여 내측 장딴지근의 깃각을 측정하였다. 각도별 장딴지근의 깃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성별에 따른 각도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발목관절의 발등굽힘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장딴지근의 깃각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각 각도별 사이 교호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각 각도별 남녀 차이 비교 결과 남성의 깃각이 더 큰 값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p.>.05), 성별에 따른 발등굽힘 각도 증가에 따른 장딴지근의 깃각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이러한 결과는 장딴지근 신장을 위한 발등굽힘 시 관절운동범위의 마지막 범위에서 시행하는 것이 장딴지근의 신장에 작은 각도로 시행하는 것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장딴지근 신장에 영향을 미치는 신장 각도, 적용 시간 등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ankle dorsiflexion angle ($0^{\circ}$, $10^{\circ}$, and $20^{\circ}$) on the effectiveness of gastrocnemius stretching ang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 young man and female women. In all participants,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장딴지근이 신장되는 동작인 발목 발등굽힘 각도를 0°, 10°, 20°로 수동적으로 신장시킨 후 각 각도에 따른 장딴지근의 깃각 변화를 알아보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장딴지근의 신장 각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딴지근 근섬유의 신장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초음파를 이용하여 깃각을 측정하였다. 골격근 섬유의 배열은 근육의 수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와 같은 근육의 특성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근섬유의 길이, 깃각, 근육의 두께와 단면적 측정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12].
  • 본 연구에서는 장딴지근의 깃각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다는 선행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딴지근의 신장에 성별 차이에 따른 영향을 알아 보았다. 본 연구의결과 발목관절의 발등굽힘 각도의 변화가 성별에 따른 장딴지근 깃각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한 결과 남성이 여성에 비해 모든 발목관절의 발등굽힘 각도에서 깃각의 크기가 큰 양상을 보였으며 남녀 모두 발목관절의 발등 굽힘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장딴지근 깃각의 각도가 감소하였다.
  • 장딴지근 신장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신장 속도와 신장에 가하는 힘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15, 16], 일반적으로 신장 적용 각도는 획일화하여 적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발목 발등굽힘 각도의 차이에 따른 수동 신장 후 각 각도별 장딴지근의 깃각 변화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발목 발등굽힘 각도가 증가할수록 장딴지근의 깃각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임상에서 장딴지근의 신장은 흔히 시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발목관절 발등굽힘 각도에 따른 장딴지근의 깃각을 측정하여 적절한 장딴지근의 신장 각도를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발목관절의 발등굽힘 각도가 클수록 장딴지근의 깃각이 작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등굽힘의 시작 각도는? 측정을 위해 연구대상자는 무릎관절을 신전하고 발목관절의 발등굽힘이 가능하도록 침대 끝 바깥쪽으로 발목관절을 위치하도록 한 후 엎드린 자세를 취하였다. 발등굽힘의 시작 각도는 발목관절의 해부학적인 0°로 종아리의 정중앙선과 발꿈치뼈(calcaneous)이 일직선이 되는 자세이다. 첫 번째 측정자는 각도계(goniometer)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발목관절 각도가 해부학적인 0°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신장은 어떤 중재 방법인가? 신장은 외부 힘을 적용하여 관절운동범위 안에 관절의 움직임을 일으키는 중재 방법이다[23, 24]. 장딴지근은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근육 중 하나로[25] 이와 같은 근손상을 위한 중재 방법으로 신장은 매우 효과적이다[26, 27].
장딴지근의 정상적인 근섬유 길이 회복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장딴지근 단축으로 인한 발목관절의 발등굽힘 제한은 통증, 보행 패턴의 변화 등을 야기한다[4]. 따라서 장딴지근의 정상적인 근섬유 길이 회복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W. Herzog, T. R. Leonard, "The history dependence of force production in mammalian skeletal muscle following stretch-shortening and shortening-stretch cycles", Journal of Biomechanics, Vol. 33, pp. 531-542, 2000. DOI: http://dx.doi.org/10.1016/S0021-9290(99)00221-3 

  2. D. E. Rassier, W. Herzog, "Effects of shortening on stretch-induced force enhancement in single skeletal muscle fibers", Journal of Biomechanics, Vol. 37, pp. 1305-1312, 2004. DOI: http://dx.doi.org/10.1016/j.jbiomech.2003.12.033 

  3. G. A. Lichtwark, A. M. Wilson, "Interactions between the human gastrocnemius muscle and the Achilles tendon during incline, level and decline locomotion",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Vol. 209, No. 21, pp. 4379-4388, 2006. DOI: http://dx.doi.org/10.1242/jeb.02434 

  4. A. Scott, P. Scott, "A Comparison of Prostretch(R) Versus Incline Board Stretching on Active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UW-L Journal of Undergraduate Research VIII, Vol. 1 pp. 1-6, 2005. 

  5. J. M. Gracies, "Pathophysiology of impairment in patients with spasticity and use of stretch as a treatment of spastic hypertonia",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12, pp. 747-768, 2001. 

  6. P. A. Mortenson, J. J. Eng, "The use of casts in the management of joint mobility and hypertonia following brain injury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Physical Therapy, Vol. 83, pp. 648-658, 2003. 

  7. M. Stokes, "Physical management of neurological rehabilitation", 2nd ed, London: Elsevier Mosby, 2004. 

  8. M. Fujii, D. Suzuki, E. Uchiyama, T. Muraki, A. Teramoto, M Aoki, S. Miyamoto, "Does distal tibiofibular joint mobilization decrease limitation of ankle dorsiflexion?", Manual Therapy, Vol. 15, No. 1, pp. 117-121, 2010. DOI: http://dx.doi.org/10.1016/j.math.2009.08.008 

  9. N. N. Mahieu, P. McNair, M. De Muynck, V. Stevens, I. Blanckaert, N. Smits, E. Witvrouw, "Effect of static and ballistic stretching on the muscle-tendon tissue propertie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39, pp. 494-501, 2007. DOI: http://dx.doi.org/10.1249/01.mss.0000247004.40212.f7 

  10. M. Nakamura, T. Ikezoe, Y. Takeno, N. Ichihashi, "Effects of a 4-week static stretch training program on passive stiffness of human gastrocnemius muscle-tendon unit in vivo",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112, No. 7, pp. 2749-2755, 2012. DOI: http://dx.doi.org/10.1007/s00421-011-2250-3 

  11. P. W. Hodges, L. H. Pengel, R. D. Herbert, S. C. Gandevia, "Measurement of muscle contraction with ultrasound imaging", Muscle & Nerve, Vol. 27, No. 6, pp. 682-692, 2003. DOI: http://dx.doi.org/10.1002/mus.10375 

  12. G. Q. Zhou, P. Chan, Y. P. Zheng, "Automatic measurement of pennation angle and fascicle length of gastrocnemius muscles using real-time ultrasound imaging", Ultrasonics, Vol. 57, pp. 72-83, 2015. DOI: http://dx.doi.org/10.1016/j.ultras.2014.10.020 

  13. T. Fukunaga, Y. Kawakami, K. Kubo, H. Kanehisa, "Muscle and tendon interaction during human movements",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Vol. 30, No. 3, pp. 106-110, 2002. DOI: http://dx.doi.org/10.1097/00003677-200207000-00003 

  14. Y. Kawakami, H. Kanehisa, T. Fukunaga,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ankle plantar flexion joint torque and gastrocnemius muscle and achilles tendon stiffness: implications for flexibility",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Vol. 38, No. 5, pp. 269-276, 2008. DOI: http://dx.doi.org/10.2519/jospt.2008.2632 

  15. W. Herzog, R. Schachar, T. R. Leonard, "Characterization of the passive component of force enhancement following active stretching of skeletal muscl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Vol. 206, No. 20, pp. 3635-3643, 2003. DOI: http://dx.doi.org/10.1242/jeb.00645 

  16. R. Mehta, B. I. Prilutsky, "Task-dependent inhibition of slow-twitch soleus and excitation of fast-twitch gastrocnemius do not require high movement speed and velocity-dependent sensory feedback", Frontiers in Physiology, Vol. 5, pp. 410, 2014. DOI: http://dx.doi.org/10.3389/fphys.2014.00410 

  17. S. J. Lee, B. S. Kwon, C. H. Park, "The effect of passive stretching on the spasticity of ankle plantar flexor muscles",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25, No. 6, pp. 987-992, 2001. 

  18. M. Johanson, J. Baer, H. Hovermale, P. "Phouthavong, Subtalar joint position during gastrocnemius stretching and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Vol. 43, No. 2, pp. 172-178, 2008. DOI: http://dx.doi.org/10.4085/1062-6050-43.2.172 

  19. A. Fukutani, T. Kurihara, "Comparison of the muscle fascicle length between resistance-trained and untrained individuals: cross-sectional observation", springerplus, Vol. 4, pp. 341, 2015. 

  20. J. Y. Yu, J. G. Jeong, B. H. Lee, "Evaluation of muscle damage using ultrasound imaging",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Vol. 27, No. 2, pp. 531-534, 2015. DOI: http://dx.doi.org/10.1589/jpts.27.531 

  21. M. V. Narici, C. N. Maganaris, N. D. Reeves, P. Capodaglio, "Effect of aging on human muscle architecture",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95, No. 6, pp. 2229-2234, 2003. DOI: http://dx.doi.org/10.1152/japplphysiol.00433.2003 

  22. N. D. Reeves, M. V. Narici, "Behavior of human muscle fascicles during shortening and lengthening contractions in vivo",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95, No. 3, pp. 1090-1096, 2003. DOI: http://dx.doi.org/10.1152/japplphysiol.01046.2002 

  23. R. W. Selles, X. Li, F. Lin, S. G. Chung, E. J. Roth, L. Q. Zhang, "Feedback-controlled and programmed stretching of the ankle plantarflexors and dorsiflexors in stroke: effects of a 4-week intervention program",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6, pp. 2330-2336, 2005. DOI: http://dx.doi.org/10.1016/j.apmr.2005.07.305 

  24. C. L. Wu, M. H. Huang, C. L. Lee, C. W. Liu, L. J. Lin, C. H. Chen, "Effect on spasticity after performance of dynamic repeated passive ankle joint motion exercise in chronic stroke patients", Kaohsiung Journal of Medical Sciences, Vol. 22, pp. 610-617, 2006. DOI: http://dx.doi.org/10.1016/S1607-551X(09)70361-4 

  25. H. S. Kwaka, K. B. Lee, Y. M. Hana, "Ruptures of the medial head of the gastrocnemius tennis leg", Clinical Imaging, Vol. 30, pp. 48-53, 2006. DOI: http://dx.doi.org/10.1016/j.clinimag.2005.07.004 

  26. N. Malliaropoulos, S. Papalexandris, A. Papalada, E. Papacostas, "The role of stretching in rehabilitation of hamstring injuries: 80 athletes follow-up",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36, No. 5, pp. 756- 759, 2004. DOI: http://dx.doi.org/10.1249/01.MSS.0000126393.20025.5E 

  27. G. Reurink, G. J. Goudswaard, J. L. Tol, J. A. Verhaar, A. Weir, M. H. Moen,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acute hamstring injuries: a systema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46, pp. 103-109, 2012. DOI: http://dx.doi.org/10.1136/bjsports-2011-090447 

  28. K. H. Tsai, C. Y. Yeh, H. Y. Chang, J. J. Chen, "Effects of a single session of prolonged muscle stretch on spastic muscle of stroke patien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Science Council Republic of China, Vol. 25, pp. 76-81, 2001. 

  29. T. Pin, P. Dyke, M. Chan, "The effectiveness of passive stretch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Vol. 48, pp. 855-862, 2006. DOI: http://dx.doi.org/10.1017/S0012162206001836 

  30. L. Q. Zhang, S. G. Chung, Z. Bai, D. Xu, E. M. van Rey, M. W. Rogers, "Intelligent stretching of ankle joints with contracture/spasticity",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 Rehabilitation Engineering, Vol. 10, pp. 149-157, 2002. DOI: http://dx.doi.org/10.1109/TNSRE.2002.802857 

  31. R. S. Chow, M. K. Medri, D. C. Martin, R. N. Leekam, A. M. Agur, N. H. McKee, "Sonographic studies of human soleus and gastrocnemius muscle architecture: gender variability",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82, No. 3, pp. 236-244, 2000. DOI: http://dx.doi.org/10.1007/s004210050677 

  32. K. Manal, D. P. Roberts, T. S. Buchanan, "Optimal pennation angle of the primary ankle plantar and dorsiflexors: variations with sex, contraction intensity, and limb,"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Vol. 22, No. 4, pp. 255-263,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