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한론(傷寒論)』 대청룡탕증(大靑龍湯證)에 대한 연구(硏究)
The study on the Syndrome of Daecheongryongtang(大靑龍湯證) in 『Sang Han Lon』(傷寒論) 원문보기

한국의사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v.27 no.2, 2014년, pp.127 - 134  

박상균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교실) ,  방정균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Syndromes of Daecheongryongtang (大靑龍湯證) and Mahwangtang (麻黃湯證) are similar in pathogenesis. However, both syndromes have a different pathogenesis. So we will try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yndromes. In addition, we'll see about 40 provision. Methods : Examine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發之”의 의미에 대해 역대 醫家들은 대부분 發散, 發越의 의미로 설명하고 있다. 논자는 그 의미를 좀 더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內經』의 내용을 대입하여 설명해 보고자 한다. 『素問・四氣調神大論』에서는 春三月을 “發陳”이라고 설명하고 있다49).
  • 역대 醫家들의 본 조문의 해석을 근간으로 하여 논자의 견해를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논자는 본 조문의 기본적인 病機를 39번 조문과 마찬가지로 表部의 風寒邪와 裏熱이 兼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다만, 醫家들이 거론하지 않았던 體質的인 면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위에서 구분한 것을 바탕으로 각 처방을 구성하는 약물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논지의 전개를 위하여 본 논문의 소재인 大靑龍湯을 麻黃이 配合된 처방과 함께 정리해 보면 보도록 하겠다.
  • 논자는 본 조문의 기본적인 病機를 39번 조문과 마찬가지로 表部의 風寒邪와 裏熱이 兼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다만, 醫家들이 거론하지 않았던 體質的인 면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傷寒은 中風과 달리 비교적 衛氣가 旺盛한 體質的으로 强한 사람이 危重한 風寒邪의 침습을 받아 발생한다.
  • 이 과정에서 麻黃湯證의 “無汗”과 大靑龍湯證의 “不汗出”의 차이가 규명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大靑龍湯에서 石膏를 사용한 의미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셋째, 많은 논란을 야기한 40번 조문의 病機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 白虎湯證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陽明病證으로 無形의 熱이 주된 病機이다. 따라서 胃府의 無形의 熱을 식히는 것이 주된 치료법이 되는데 石膏가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다. 다만, 竹葉石膏湯의 경우 좀 더 虛證에 치우치는 병증이기 때문에, 竹葉石膏湯의 효능을 淸熱, 補虛, 和胃進食으로 설명하는 醫家도 있다32).
  • 그러나 仲景이 麻黃湯이 있음에도 大靑龍湯을 창방한 이유는 麻黃湯과는 다른 病機를 大靑龍湯證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서 이다. 이에 논자는 麻黃湯證과 구별될 수 있는 大靑龍湯證의 病機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많은 異論이 제기되고 있는 “傷寒脈浮緩, 身不疼, 但重, 乍有輕時, 無少陰證者, 大靑龍湯發之.
  • 이상의 역대 醫家들의 주장들이 大靑龍湯證의 病機를 설명함에 있어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지만 전면적인 해석이라고 하기엔 부족한 측면이 있다. 이에 논자의 견해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먼저 尤在涇이 설명한 바와 같이 大靑龍湯證은 體質的으로 表實한 사람, 즉 衛氣(陽氣)가 盛한 사람이 邪氣의 侵襲을 받아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18).
  •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앞에서 제기한 문제를 중심으로 논지를 전개해 보고자 한다. 첫째, 大靑龍湯證의 病機를 39번 조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大靑龍湯證의 病機를 成無己는 어떻게 설명했는가? 成無己는 大靑龍湯證의 病機에 대해 風邪와 寒邪가 衛氣와 營氣를 모두 侵襲하여 발생하는 것이라고 하였다10). 孫思邈 이래로 『傷寒論』을 湯證별로 정리한 一群의 醫家들은 成無己의 주장을 확대하여 “風傷衛 - 桂枝湯證”, “寒傷營- 麻黃湯證”, “營衛俱中傷風寒 - 大靑龍湯證”으로 太陽病을 이해하였고, 이러한 인식은 明淸時代에 方有執을 거쳐 喩嘉言에 이르러 三綱鼎立의 학설로 정리되었다11).
大靑龍湯이 發汗劑로 표현된 이유는? 즉, 인체 내에서 비를 내리게 하겠다는 것이다. 天地의 비는 인체에 비유하면 바로 땀이니, 大靑龍湯은 發汗劑의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실제 처방 구성 내용을 보게 되면大靑龍湯은 『傷寒論』의 대표적인 發汗解表劑인 麻黃湯보다麻黃의 양이 2兩 더 많은 강력한 發汗劑이다.
仲景이 大靑龍湯이라는 處方名을 사용한 의미는? 그렇다면仲景이 大靑龍湯이라는 處方名을 사용한 의미가 추측이 된다. 즉, 인체 내에서 비를 내리게 하겠다는 것이다. 天地의 비는 인체에 비유하면 바로 땀이니, 大靑龍湯은 發汗劑의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박완열. 大靑龍湯 및 石室秘錄急治法方이 호흡기 점액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 홍성민. 大靑龍湯이 지방세포(3T3-L1)에서 ${\beta}3AR$ , UCP2 및 Leptin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 이준문. 대청룡탕이 지방세포 분화기전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 박영환. 大靑龍湯의 투여로 고열이 호전된 소아 상기도 감염증 환자 6례에 대한 증례 보고. 한국의사학회지. 2013 ; 26(1). 

  5. 方正均. 傷寒論의 "中風"과 "傷寒"에 대한 考察.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6 ; 11(4). 

  6. 方正均. 傷寒論의 麻杏甘石湯에 대한 硏究.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2 ; 25(1). 

  7. 김준기. 傷寒論의 제 39조에 대한 문헌적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2 ; 16(1). 

  8. 陳? 主編. 喩嘉言醫學全書.尙論篇. 北京 : 中國中醫藥出版社. 2003. 

  9. 蔡仁植. 傷寒論譯詮. 서울 : 高文社. 1991. 

  10. 成無已. 註解傷寒論. 北京 : 人民衛生出版社. 1996. 

  11. 陳大舜, 曾勇, 黃政德 엮음. 맹웅재, 박현국, 박경남, 김남일, 신영일, 김용진, 안상우, 김훈, 김홍균, 차웅석 옮김. 各家學說. 서울 : 대성의학사. 2001. 

  12. 鄭林 主編. 張志聰醫學全書.傷寒論集註. 北京 :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13. 李培生 主編. 傷寒論. 서울 : 아울로스출판사. 1994. 

  14. 裵永淸. 傷寒論臨床應用五十論. 北京 : 學苑出版社. 2000. 

  15. 張民慶, 王興華 主編. 張?醫學全書. 北京 :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16. 孫中堂 主編. 尤在涇醫學全書. 北京 :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17. 林慧光 主編. 陳修園醫學全書. 北京 : 中國中醫藥出版社. 2001. 

  18. 馬繼興 主編. 神農本草經輯注. 北京 : 人民衛生出版社. 1995. 

  19. 黃宮繡 纂. 本草求眞. 서울 : 一中社. 1992. 

  20. 鄒澍 지음. 임진석 옮김. 本經疏證(上). 서울 : 대성의학사. 2001 : 322-330. 

  21. 문준전, 안규석, 김성훈 외 9인. 傷寒論精解. 서울 :한의문화사. 2011. 

  22. 吳謙. 御纂醫宗金鑑. 北京 : 人民衛生出版社. 2003. 

  23. 李培生 編著. 柯氏傷寒論注疏正. 北京 : 人民衛生出版社. 1996. 

  24. 洪元植. 精校 黃帝內經素問. 서울 : 東洋醫學硏究院出版部.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