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선 계획을 고려한 철도 선로 용량 배분 최적화 모형 및 해법
An Efficient Model and Algorithm to Allocate Rail Track Capacity Considering Line Plans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17 no.6 = no.85, 2014년, pp.466 - 473  

박범환 (Department of Railroad Management and Logistic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정광우 (Department of Railroad Operation System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복수의 철도 운송 사업자를 고려한 효율적인 선로 용량 할당 체계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선로 용량 배분 체계란 제한된 선로 용량을 복수의 철도 운송 사업자들에게 그들이 원하는 열차를 배분하는 일련의 절차 및 방법론을 말하는데, 본 논문은 철도 운송 사업자가 제안한 열차들의 출발시간, 정차 시간 등을 조정하여 시설 관리자가 추구하는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조정된 스케줄을 생성해내는 최적화 모형 및 해법을 다룬다. 이 모형과 관련한 기존 연구들은, 열차간의 경합 조건만을 제약식으로 설정하여, 특정 노선에 투입되는 열차들이 경합 조건 때문에 기존에 계획된 노선별 열차 운행 횟수를 보장할 수 없는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선별 열차 운행 횟수를 고려함과 동시에 열차간 경합 조건을 반영한 새로운 최적화 모형 및 이에 대한 해법을 제시한다. 이 해법을 이용하여, 수서발 고속열차와 기존 고속열차 운행 전 구간에 대한 최적의 선로 용량 할당 계획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re is has been significant interest in the allocation systems of rail track capacities with considerations of the multiple train operating companies. The system indicates both a well-defined procedure and an algorithmic method to allocate the rail track capacities. Among them, this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요 예측에 기초한 노선 계획 결과를 반영하고, 위에서 서술한 운영상 제약을 만족하면서, 운송 사업자로부터 제안된 열차들을 가능한 한 시간 조정 없이 많은 열차를 포함하는 열차 스케줄을 작성하는 최적화 모형 및 해법을 제시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정책 및 배분 체계 요소들이 결정되었다는 전제하에, Fig. 1에서 표시된 임시적 할당(provisional allocation)에 관한 연구로, 다수의 운송 사업자(Railway Undertaking: RU)가 제안한 열차 스케줄에 대해 목적함수를 최대화하면서 경합과 같은 운영상 제약을 만족하는 최적의 스케줄을 생성하는 모형 및 해법에 관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모형 및 해법은 그림에서 서술한 정책적 요소나 배분 체계 요소들이 결정이 된 후에야 정확한 모형화가 가능하지만, 이와 관련한 모든 연구들은, 열차간 최소 시격(minimum headway)과 같은 운영 제약에 따른 경합 방지 제약식을 만족하고, 동시에 열차 경로별 이득의 합을 최대화하는 목적 함수를 공통된 요소로 포함하고 있다.
  • 특히 이러한 노선별 열차 운행횟수를 만족시키기 위해 제약식을 추가할 경우, [12]에서 제시한 최적화 모형과 달리 완화된 선형계획 모형의 가능해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어, [12]에서 제시한 열생성 기반 알고리듬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노선계획을 반영한 선로용량 배분 최적화 모형 및 이를 빠른 시간 안에 풀기 위한 열생성 및 변수 고정에 기초한 알고리듬을 제시한다. 뿐만 아니라, 이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12]의 6개 역으로 구성된 네트워크가 아닌 고속열차가 정차하는 모든 역을 대상으로 하는 실제적인 네트워크상에 총 671개의 후보 열차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형 및 해법을 적용한 결과를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다수 철도 운송 사업자가 제안한 열차들을 경합이 없고, 시설관리자의 목적함수를 최대화하며, 노선계획에서 작성한 노선별 운행횟수를 만족시키는 선로 용량 할당 모형 및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 및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고속 철도 네트워크상에 671개 열차를 설정한 후, 노선별 최소 운행 회수를 만족하면서, 다양한 시나리오별로 선로 용량 할당을 실험하였다.
  • 아크 변수를 활용하면, 네트워크가 커질 경우, 변수의 개수가 지수적으로 증가하여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네트워크에서는 활용하기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열생성 기법 적용에 용이한 경로 변수를 활용한 최적화 모형을 제시한다. 모형화에 사용된 용어 및 결정변수는 아래와 같다.

가설 설정

  • 다수의 운송 사업자가 제안한 열차들을 최대한 수용하기 위해서는, 운영상의 제약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차간의 경합을 회피할 수 있도록, 열차들의 출발 시간 혹은 정차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Fig.
  • 앞에서 서술했듯이, 선로용량 배분은 각 운송 사업자가 제안한 스케줄을 기초로 시작된다. 따라서, 본 모형에서 고려하는 최적화 모형은 각 운송 사업자가 제안한 스케줄이 주어졌다고 가정하고, 시설관리자의 목적을 최적화 시킬 수 있는 조정 스케줄을 작성한다. 이러한 조정 스케줄 작성 시 고려되는 요소로는 열차간 경합 조건과 노선별 열차 운행 횟수이다.
  • 물론 이러한 열차수는 좌석용량에 따라 기존 20량 KTX와 10량 KTX 를 구분하지 않았다. 본 선로 용량 할당 모형에서는 이러한 횟수의 열차수를 선로용량 할당을 통해 투입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후 중련 편성 등의 방법으로 노선 계획의 결과를 그대로 반영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운행 패턴에 관계없이 열차간 시격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대신에 출발 운전 시격과 도착 운전 시격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무정차로 인해 운전시분이 작은 열차는 그렇지 않은 열차와의 도착 시격의 고려를 통해, 출발시격이 더욱 늘어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세 번째 실험에서는 신규 고속차량을 어느 노선에 투입하느냐에 따라, 선로 용량 배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토 하였다. 신규 고속차량의 운전 시분이 20% 감소된다고 가정하고, 기존 운행 패턴과 달리 주요역에서만 정차한다고 가정했을 때, 선로 용량의 변화를 검토해 보았다. Table 7에서 보듯이 기존 운행 패턴을 유지할 경우, 40회 안팎의 F_KTX 투입에도 불구하고 총 156회 내외의 선로용량을 확보할 수있으며, 정차역을 줄임으로써, 운행 시간을 대폭 축소시킨 시나리오 3의 경우 20회 안팎의 선로용량을 확인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여기서 허용치란 원래 제안된 열차의 출발 시간 및 정차 시간을 그 허용치 내에서 연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정차 패턴에 대해서는 시간을 변경하더라도, 원래 제안된 열차의 정차 패턴을 그대로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H. Park (2013) Some Considerations for Efficient Railway Track Capacity Allocation under the Competitive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5(3), pp.1-13. 

  2. DB (2013) Network Statement 2013, DB Netz AG 

  3. P.J. Brewer, C.R. Plott (1996) A binary conflict ascending price (BICAP) mechanism for the decentralized allocation of the right to use railroads track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rganization, 14(6), pp. 857-886. 

  4. J.E. Nilsson (1999) Allocation of track capacity : Experimental evidence on the use of priority auctioning in the railway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rganization, 17(8), pp. 1139-1162. 

  5. R. Borndorfer, M. Grotschel, S. Lukac, K. Mitusch, T. Schlechte, S. Schultz, A. Tanner (2005) An Auctioning Approach to Railway Slot Allocation, ZIB-Report 05-45. 

  6. S.G. Klabes (2010) Algorithmic Railway Capacity Allocation in a Competitive European Railway Market, Ph.D Thesis, RWTH Aachen. 

  7. U. Brannlund, P.O. Lindberg, A. Nou, J.E. Nilsson (1998) Railway Timetabling Using Lagrangian Relaxation, Transportation Science, 32(4) , pp. 358-369. 

  8. V. Cacchiani, A. Caprara, P. Toth (2010) Scheduling Extra Freight Trains on Railway Network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44, pp.215-231. 

  9. A. Caprara, M. Fischetti, P. Toth (2001) Modeling and Solving the Train Timetabling Problem, Operations Research, 50(5), pp. 851-861. 

  10. V. Cacchiani, A. Caprara, P. Toth (2008) A Column Generation Approach to Train Timetabling on a Corridor, 4OR, 6, pp. 125-142. 

  11. R. Borndorfer, T. Schlechte (2007) Models for Railway Track Allocation, Proceeding of 7th Workshop on Algorithmic Approaches for Transportation Modeling, Optimization, and Systems (ATMOS 2007), pp. 62-78. 

  12. B.H. Park, S.H. Hong, C.S. Kim (2012) An Optimization Model for Railway Slot Allocation Reflecting the Operational Polic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5(5), pp. 524-530. 

  13. B.H. Park, S.H. Hong (2013) A column-generation based approach to developing an optimized railway timetable using time-space network,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conference, pp.160-167. 

  14. C. Chun, S. Chung and B. Namkung (2012) Development of Optimal Train Operation System in Bottle-neck Section According to the Opening of High Speed Railway in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5(6), pp.631-637. 

  15. T. Schlechte (2012) Railway Track Allocation: Models and Algorithms, Ph.D Thesis, Technischen Universitat Berlin. 

  16. B.H. Park, Y.I. Seo, S.P. Hong, H.L. Rho (2013) Column Generation Approach to Line Planning with Various Halting Patterns - Application to the Korean High-speed Railway, Asia-Pacific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30(4), pp.1-19. 

  17. Korail (2012) A Study on the mid-term and long-term Forecast of KTX , KORAIL Research Institut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