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on Quality of Sleep in Rotating-Shift Nurse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1 no.2, 2014년, pp.123 - 130  

신승화 (경북대학교) ,  김수현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quality of sleep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rotating-shift nurses an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on quality of sleep. Method: Participants were 161 staff nurses working in an irregular three shift system in one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교대근무 간호사에서 건강증진행위, 즉 규칙적 운동, 스트레스 관리, 영양상태 등 어떠한 부분이 수면의 질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교대 근무 간호사들의 수면의 질과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가 수면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떠한 종류의 건강증진행위가 수면의 질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며, 이는 향후 간호사들의 수면증진을 위한 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교대 근무 간호사의 수면의 질과 건강증진 행위의 수준을 확인하고, 건강증진행위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수면의 질과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고, 세부적 건강증진행위의 실천 정도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전반적인 수면의 질은 매우 낮았으며, 건강증진행위는 수면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영양과 스트레스 관리 영역의 건강증진행위가 수면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에게 심각한 문제로 파악되어온 수면장애에 대한 건강증진행위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한 최초의 연구로 생각되며, 수면장애를 개선하기 위해 중재를 통해 변화 가능한 영향요인을 찾아내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건강증진행위 중에서도 특히 영양, 스트레스 관리가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확인됨에 따라,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들의 개인적 차원에서 수면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본 연구는 교대근무간호사의 수면의 질과 건강증진행위의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PSQI로 측정한 교대근무간호사의 수면의 질 평균점수는 11.
  •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에게 심각한 문제로 파악되어온 수면장애에 대한 건강증진행위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한 최초의 연구로 생각되며, 수면장애를 개선하기 위해 중재를 통해 변화 가능한 영향요인을 찾아내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건강증진행위 중에서도 특히 영양, 스트레스 관리가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확인됨에 따라,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들의 개인적 차원에서 수면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따라서 간호사들의 교대근무가 이루어지고 있는 병원에서는 간호사들에게 이러한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겠으며, 이는 간호사들의 건강뿐만 아니라 환자의 안전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셋째,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건강증진행위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직은 어떠한 일을 하는 직업인가? 간호직은 24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환자를 관찰하고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교대근무가 필요한 대표적인 직업군이다. 2012년 병원간호사회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약 95% 이상이 1일 2교대 혹은 3교대 형태로 교대근무를 시행하고 있으며, 그 주기는 2-3일, 1주일 또는 그 이상으로 병원마다 다양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Jung et al.
수면장애는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문제로 어떠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가? , 2011). 간호사의 수면장애는 피로나 불안 및 우울 등 신체적,   정신적 건강문제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간호 현장에서 업무 실수나 사고 등 직?간접적인 업무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Chan, 2009; Dorrian et al., 2008).
간호사의 교대근무의 문제점은? , 2012). 간호사의 교대근무는 신체 내 24시간 주기성을 관장하는 일주기 리듬을 교란시킴으로써 불규칙한 수면양상과 수면장애를 야기시킬 수 있으며, 수면장애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다양한 신체적, 사회적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Culpepper, 2010; Drake, 2010; Niu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jorvatn, B., Stangenes, K., Oyane, N., Forberg, K., Lowden, A., Holsten, F., et al. (2007).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field study of the effects of bright light and melatonin in adaptation to night work.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33, 204-215. http://dx.doi.org/10.5271/sjweh.1129 

  2. Buysse, D. J, Reynolds, C. F., Monk, T. H., Berman, S. R., & Kupfer, D. J.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28, 193-213. 

  3. Chan, M. F. (2009).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sleep quality of nurses working on rotating shif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 285-293.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8.02583.x. 

  4. Chien, P. L., Su, H. F., Hsieh, P. C., Siao, R. Y., Ling, P. Y,, & Jou, H. J. (2013). Sleep quality among female hospital staff nurses. Sleep Disorders, 2013, 1-6. http://dx.doi.org/10.1155/2013/283490 

  5. Cho, Y. W. (2004). Measures of sleep and sleep hygiene. Journal of Korean Sleep Research Society, 1, 12-23. 

  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7. Culpepper, L. (2010). The social and economic burden of shift-work disorder. Journal of Family Practice, 59, S3-S11. 

  8. Da Rocha, M. C., & De Martino, M. M. (2010). Stress and sleep quality of nurses working different hospital shifts. Revista da Escola de Enfermagem da USP, 44, 280-286. 

  9. Dorrian, J., Tolley, C., Lamond, N., van den Heuvel, C., Pincombe, J., Rogers, A. E., et al. (2008). Sleep and errors in a group of Australian hospital nurses at work and during the commute. Applied Ergonomics, 39, 605-613. http://dx.doi.org/10.1016/j.apergo.2008.01.012 

  10. Drake, C. L. (2010). The characterization and pathology of circadian rhythm sleep disorders. Journal of Family Practice, 59, S12-S17. 

  11. Fallis, W. M., McMillan, D. E., & Edwards, M. P. (2011). Napping during night shift: Practices,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critical care and emergency department nurses. Critical Care Nurse, 31, e1-e11. http://dx.doi.org/10.4037/ccn2011710 

  12. Fincham, J. E. (2008). Response rates and responsiveness for surveys, standards, and the Journal.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72, 43. 

  13. Han, K. S., Park, E. Y., Park, Y. H., Lim, H. S., Lee, E. M., Kim L., et al. (2011).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 121-131. 

  14. Hsieh, M. L., Li, Y. M., Chang, E. T., Lai, H. L., Wang, W. H., & Wang, S. C. (2011). Sleep disorder in Taiwanese nurses: A random sample survey. Nursing & Health Sciences, 13, 468-474. http://dx.doi.org/10.1111/j.1442-2018.2011.00641.x 

  15. Jung, E. J., Chea, G. S., No, W. J., Park, M. M., Jo, W. O., & Kim, H. J. (2012).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ing. Seoul: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16. Kim, H. Y., & Yeun, E. J.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resourcefuln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 17-26. 

  17. Kim, M. G., Lee, W. C., Lee, Y. M., Ryoo, J. H., Kim, H. C., Yoo, S. W., et al. (2008). Factors associated with quality on sleep of subway workers by shift-work.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 326-334. 

  18. Kim, S. S., Park, J. S., & No, Y. S. (2005).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perceived health status, body ima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7, 88-99. 

  19. Kleinbaum, D. G., Kupper, L. L., Muller, K. E., & Nizam, A. (1998). Applied regression analysis and other multivariable methods. Pacific Grove, CA: Duxbury Press. 

  20. Ko, J. O., Park, S. K., & Lee, M. H. (2013). Factors affecting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according to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 304-314. 

  21. Ko, Y. S., & Park, M. K. (2011). Effects of self-foot reflexology on fatigue and sleep states in women nurs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3, 21-27. 

  22. Kunert, K., King, M. L., & Kolkhorst, F. W. (2007). Fatigue and sleep quality in nurses.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45, 30-37. 

  23. Kwon, J. A. (2012). Tanker driver's quality of sleep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4. Lee, E. J., Han, J. Y., & Kim, M. Y. (2008).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4, 5-12. 

  25. Niu, S. F., Chung, M. H., Chen, C. H., Hegney, D., O'Brien, A., & Chou, K. R. (2011). The effect of shift rotation on employee cortisol profile, sleep quality, fatigue, and attention level: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9, 68-81. http://dx.doi.org/10.1097/JNR.0b013e31820c1879 

  26. Park, Y. N., Yang, H. K., Kim, H. L., & Cho, Y. C. (2007).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sleep problems and fatigue symptoms of nurses for general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 37-47. 

  27. Richter, K. D., Acker, J., Scholz, F., & Niklewski, G. (2010). Health promotion and work: Prevention of shift work disorders in companies. Journal of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Predictive, Preventive and Personalized Medicine, 1, 611-618. http://dx.doi.org/10.1007/s13167-010-0057-7 

  28. Sim, M. R. (2010). A study on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its affecting factors of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9. Son, Y. J., & Park, Y. R. (2011). Relationships between sleep quality, fatigue and depress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by shift-work patterns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 229-237. 

  30. Walker, S. N. (1996).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II: Scoring instruction.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Omaha. 

  31. Yoon, S. N., & Kim, J. H. (1999).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women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8, 130-140. 

  32. Youngstedt, S. D. (2005). Effects of exercise on sleep. Clinics in Sports Medicine, 24, 355-365. http://dx.doi.org/10.1016/j.csm. 2004.1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