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 여성에서 갱년기 증상 정도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 조사 연구
Study on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Climacteric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4 no.6, 2014년, pp.768 - 775  

한채정 (영산대학교 미용예술학과) ,  김윤희 (영산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sumption patterns of health functional foods (HFF) according to climacteric symptoms. Subjects were 450 middle-aged women divided into four groups by Kupperman's index. This study collected all information by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Higher Kup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갱년기 증상을 보이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갱년기 증상 정도에 따라 실제로 섭취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와 섭취 행동에 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 및 갱년기 증상 완화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의 올바른 인식 제고와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을 유도하는 충분한 정보제공 방안 및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또한, 중년 여성은 건강기능식품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인구집단임에도 불구하고,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효과, 신뢰도가 높지 않고,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가 한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의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중년 여성에게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갱년기 증상을 중심으로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는 이유 및 실제로 섭취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종류를 파악하기 위한 초석으로의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kr). 본 연구에서는 고시형 건강기능식품 및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의 품목을 모두 포함하여 조사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의 건강기능식품 섭취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각 품목별로 많이 시판되고 있는 대표 제품명을 예시로 주어 각 제품별 섭취 여부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기는 폐경으로 인해 어떤 곳이 공존하는가? 중년기는 신체적, 심리․정서적, 사회적으로 큰 변화를 겪는 시기로, 여성에 있어 중년기는 폐경으로 인한 사회적 여성 상의 상실, 어머니로서의 역할이 감소됨과 동시에 노화에 따른 자신감 결여 등이 공존하는 시기이다(Kim SE 2009). 갱년기 증상은 안면홍조, 발한, 불면증, 관절통, 불안, 기억력 감퇴 등 여러 가지 신체 및 정신적 변화를 포함하며(Nelson et al 2005), 심화되면 골다공증,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 등 만성질환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져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Bae et al 2006).
우리나라 여성의 2012년 기준 평균 기대수명은? 사회경제적으로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의료수준의 향상 등으로 인간의 평균 수명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여성의 2012년 평균 기대수명은 84.64세에 이르렀으며, 2003년 80.81세에 비해 약 3.
갱년기를 겪는 중년여성에 있어서 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유는? 중년기는 신체적, 심리․정서적, 사회적으로 큰 변화를 겪는 시기로, 여성에 있어 중년기는 폐경으로 인한 사회적 여성 상의 상실, 어머니로서의 역할이 감소됨과 동시에 노화에 따른 자신감 결여 등이 공존하는 시기이다(Kim SE 2009). 갱년기 증상은 안면홍조, 발한, 불면증, 관절통, 불안, 기억력 감퇴 등 여러 가지 신체 및 정신적 변화를 포함하며(Nelson et al 2005), 심화되면 골다공증,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 등 만성질환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져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Bae et al 2006). 이러한 이유로 갱년기를 겪는 중년여성에 있어서 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KY, Jung SK, Kim JO, Roh JJ, Kim BH, Joh HG, Yang JM, Choi MS, Kim DI (2006) Comparison of the MENQOL with the Kupperman's index level of postmenopausal women who visited oriental medical center. J Orient Gynecol 19: 215-230. 

  2. Blatt MH, Wiesbader H, Kupperman HS (1953) Vitamin E and climacteric syndrome, failure of effective control as measured by menopausal index. AMA Arch Intern Med 91: 792-799. 

  3. Choi MK, Lee YS (2008) A study on intake of adult men and women according to intake of improving ag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732-738. 

  4. Hilditch JR, Lewis J, Peter A, van Maris B, Ross A, Franssen E, Guyatt GH, Norton PG, Dunn E (1996) A menopause-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Maturitas 24: 161-175. 

  5. Hwang IK (2007) Survey on metropolitan middle-aged men's perception and consumption pattern of health/functional food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pp 74-83. 

  6. Jungh HK, Lee HY (2011)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age group in some regions of Korea. J Korean Diet Assoc 17: 190-205. 

  7. Kim MJ, Lee KH (2013) Dietary habits and climacteric symptoms according to the level of food supplement use of middle-aged wo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054-1064. 

  8. Kim SE (2009) Theoretical review on the factors of middle-aged women's stress and management. J Korean Soc Women's Cult 18: 153-180. 

  9. Kim SH, Han JH, Kim WY (2010) Health functional food use and related variable among the middle-aged in Korea. Korean J Nutr 43: 294-303. 

  10. Kim SY, You JS, Chang KJ (2013)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dietary habits,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of college students in Incheon. Korean J Nutr 46: 166-176. 

  11. Kwon MY (2008) Knowledge and consumption pattern of functional food in middle aged women of Busan. MS Thesis Inje University, Busan. pp 34-35, 58-64. 

  12. Lee HS, Han JH, Kim SH (2013) A survey on the consumption of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as health functional foods and related factors by Korean adolescents. Korean J Food Culture 28: 415-423. 

  13. Lee MS, Woo MK (2002) A study of health-related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the health status of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living in the Chonju area (II). Korean J Community Nutr 7: 749-761. 

  14. Lee SK (2011) A study on the intake of health functional food according to dietary behavior of salt intake in employes in Gwangju.Jeonnam. MS Thesis Dongshin University, Naju. pp 51-57. 

  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3)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Korean pp 50. 

  16. Nelson HD, Haney E, Humphrey L, Miller J, Nedrow A, Nicolaidis C, Vesco K, Walker M, Bougatsos C, Nygren P (2005) Management of menopause-related symptoms. Evid Rep Technol Assess 120: 1-6. 

  17. Ohn J, Kim JH (2012) Intake pattern and needs assessment for the development of web-contents on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age of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7: 26-37. 

  18. Park CY (2001) Management of later diseases in climacteric women. The Journal of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17: 19-30. 

  19. Park YG, Park MY, Sung MK, Kwon HJ (2005) Study on the intake pattern of health intended foods depending on inclusion of proclaimed health functional food materia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374-379. 

  20. Song GY, Kang CM, Choi SI, Lee HS (2012) Cognition and purchasing behaviors of dietary supplements among the elderly in Cheongju. J of Human Ecology 16: 147-157. 

  21. Yoon SH (2007) A study on recogni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health functional food. M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pp 29-31. 

  22. http://www.foodnara.go.kr. Accessed Aug. 6, 2014. 

  23. http://kostat.go.kr. Accessed Dec. 5, 2013. 

  24. http://www.law.go.kr. Accessed Jul. 31, 2014. 

  25. http://mfds.go.kr. Accessed Jun. 30,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