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뽕잎 추출액 첨가 김치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Mulberry Leaves Extract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4 no.6, 2014년, pp.827 - 836  

이영숙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노정옥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Mulberry leaves extract (ME)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was investigated during 30 days of fermentation at $5^{\circ}C$. ME was added to salted cabbage at concentrations of 0% (C), 0.4% (ME1), 0.8% (ME2) and 1.2% (ME3) (w/w). The pH of Kimchi added ab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김치에 대한 연구로는 홍삼추출액 첨가 김치(Kim HY et al 2010), 전복과 다시마 추출물 첨가 김치(Lim JH et al 2013), 백련초 추출물 첨가 김치(Lee YS et al 2012), 키토산 첨가 김치(Seo JS et al 2004), 오미자 추출물 첨가 김치(Moon YJ et al 2003), 인삼 첨가 김치(Chang KS et al 1995), 경엽식물 첨가 김치(Park DI et al 2010), 감초분말 첨가 김치(Ko & Lee 2006)와 뽕잎 분말 첨가 김치(Shin SM et al 2007) 연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성분을 다양하게 함유한 뽕잎 추출액을 김치에 첨가하여 저장기간 중 미생물에 미치는 변화와 이화학적 특성, 물성측정, 관능적 특성에 대한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뽕잎 추출액을 이용한 김치 개발에 활용될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는 어떤 효능을 갖는가? 김치는 젖산발효 식품으로 채소류의 신선한 맛, 유산 발효에 의한 상쾌한 맛, 고춧가루를 비롯한 향신료의 독특한 맛, 젓갈류의 감칠맛 등이 어우러져 식욕을 돋우는 우리나라의 전통발효 식품이다(Hwang IG et al 2012). 김치는 비타민 C, β-carotene, 페놀성 화합물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과 발효 중 생성된 유기산과 유산균으로 인한 정장효과, 고혈압 예방, 항노화, 항암성, 항동맥경화성 등의 효능을 가지며, 맛과 영양학적 가치가 인정되면서 세계적인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Sung JM et al 2009). 최근 사회구조와 식생활의 서구화로 순환계 질환과 암 발병률이 증가하여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면서 건강을 위한 다양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현대 산업의 주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뽕잎의 기능성 성분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4%, 특히 칼슘, 칼륨, 철분 등의 함유율이 높다. 기능성 성분으로는 rutin, γ- aminobutyric acid (GABA), moracenin, sanggenone, moracin, chalcomoracin, umebelliferone, morusin, 1-deoxinojirimycin(DNJ), N-methyo-DN(N-Me-DNJ), fagomine 등과 flavonoid계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Lee WC et al 2003, Choi JL et al 2006). 뽕잎 추출물 분석에 따르면 항균활성과 항산화 효과(Cho YJ et al 2007), 중금속 제거 능력(Yen GC et al 2005)이 있으며, 풍부한 섬유질과 함께 칼슘의 함량이 양배추의 60배(Lee JM et al 2009) 정도로 많이 함유되어 있어 식품제조시 기능성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김치는 무엇인가? 김치는 젖산발효 식품으로 채소류의 신선한 맛, 유산 발효에 의한 상쾌한 맛, 고춧가루를 비롯한 향신료의 독특한 맛, 젓갈류의 감칠맛 등이 어우러져 식욕을 돋우는 우리나라의 전통발효 식품이다(Hwang IG et al 2012). 김치는 비타민 C, β-carotene, 페놀성 화합물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과 발효 중 생성된 유기산과 유산균으로 인한 정장효과, 고혈압 예방, 항노화, 항암성, 항동맥경화성 등의 효능을 가지며, 맛과 영양학적 가치가 인정되면서 세계적인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Sung JM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ang KS, Kim MJ, Kim SD (1995) Effect of ginseng on the preservability and quality of Chinese cabbage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313-322. 

  2. Cho YJ, Ju IS, Kim BO, Kim JH, Lee BG (2007)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antioxidant effect from the extracts of mulberry leav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334-343. 

  3. Choi JL, Jung MA, Jung SH (2006) Antimicrobial effect of mulberry leaves extracts. J Dental Hygiene Sci 6: 251-254. 

  4. Chung HJ, Kim HR, Yoo MJ (2005) Change in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of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baechu Kimchi during the fermentation. Korean J Food culture 20: 426-432. 

  5. Choi YM, Whang JH, Kim JM, Suh HJ (2006) The effect of oyster shell powder on the extension of the shelf-life of Kimchi. Food Control 17: 695-699. 

  6. Chung HK, Yeo KM, Kim MH (1996) Kinetics modeling for quality prediction during Kimchi fermentation. J Food Sci Nutr 1: 41-45. 

  7. Han ES, Seok MS, Park JH, Lee HJ (1996) Quality changes of salted Chinese cabbage with the package pressure and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650-656. 

  8. Hwang IG, Kim HY, Hwang Y, Jeong HS, Lee JS, Kim HY, Yoo SM (2012)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 of Kimchi added with the fresh red pepper (Capsicum annum L.). Korean J Food Cookey Sci 28: 167-174. 

  9. Jin SY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ejakgwa added mulberry leaf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597-604. 

  10. Kang KO, Ku KH, Lee HJ, Woo SJ (1991) Effect of enzyme and inorganic acid salts addition and heat treatment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83-187. 

  11. Kang SS, Kim JM, Byun MW (1998) Preservation of Kimchi by ionizing radiation. Korean J Food Hygiene 3: 225-232. 

  12. Kim AJ, Lim YH, Kim MW, Kim MH, Woo KJ (2000) Mineral contents and properties of pongihp julpyum preparation by adding mulberry leaves powder. Korean J Soc Food Sci 16: 311-315. 

  13. Kim YA (2002) Effects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32-636. 

  14. Kim HY, Mo EK, Sung CK (2010) The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fermentation of baechu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7: 555-562. 

  15. Kim WJ, Kang KO, Kyung KH, Shin JI (1991) Addition of salts and their mixtures for improvements of storage stability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88-191. 

  16. Kim YK, Lee GC (1999) Contents of pectic substance and minerals and textural properties of leek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5: 258-263. 

  17. Kim YS, Kim YS, Whang JH, Suh HJ (2008) Application of omija (Schiandra chinensis) and plum (Prunus mume) extracts for the improvement of Kimchi quality. Food Control 19: 662-669. 

  18. Ko YT, Baik IH (2002) Changes in pH, sensory properties and volatile odor components of Kimchi by hea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123-1126. 

  19. Ko YT, Lee JY (2006) Quality of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powder added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43-146. 

  20. Lee EH, Lee MJ, Song YO (2012) Comparison of fermentation properties of winter Kimchi stored for 6 months in a Kimchi refrigerator under ripening mode or storage mod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19-1625. 

  21. Lee WC, Kim AJ, Kim SY (2003) The study on the functional materials and effects of mulberry leaf. Food Sci Industry 36: 2-14. 

  22. Lee YS, Jung EJ, Rho JO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backryeoncho (Opuntiaficus-indica var. saboten) extract and its acceptability by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Human Ecology 21: 1211-1222. 

  23. Lee YS, Sohn HS, Rho JO (2011) Changes in the quality of baechu Kimchi added with backryeoncho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fermenta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59-70. 

  24. Lee, HY, Paik JE, Han YS (2003) Effect of powder-type dried Alaska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J Food Cookery Sci 19: 254-262. 

  25. Lee JM, Kim JA, Lee MI (2002) Sensory and physicochemical attributes of boogags using mulberry leaf. Korean J Dietary Culture 17: 103-110. 

  26. Lim JH, Park SS, Jeong JW, Park KJ, Seo KH, Sung J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with abalone or sea tangl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450-456. 

  27. Moon YJ, Park S, Sung CK (2003) Effect of ethanolic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for the delayed ripening Kimchi preparation. Korean J Food & Nutr 16: 7-14. 

  28. Oh YA, Choi KH, Kim SD (1998) Changes in enzyme activities and pop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during the Kimchi fermentation supplemented with water extract of pine need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 244-251. 

  29. Paik JE (2007) Effects of potato on the storage of Kimchi. Korean J Food Nutr 20: 421-426. 

  30. Park BH, Cho HS, Oh BY (2002) Phy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treated with chitosan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Human Ecol 5: 85-93. 

  31. Park DI, Choi AR, Woo HJ, Rhee SK, Chae HJ (2010) Effects of sclerophyllous plant leaves addition on fermentativ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580-586. 

  32. Park SH, Lee JH (2005) The correl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Kimchi with sou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03-109. 

  33. Rhie SG, Kim HZ (1984) Changes in riboflavin and ascorbic acid content during ripening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13: 131-135. 

  34. Seo JS, Bang BH, Jeong EJ (2004) Studies on the prolonging of Kimchi fermentation by adding chitosan. Korean J Food & Nutr 17: 60-65. 

  35. Shin SM, La SH, Choi MK (2007)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mulberry leaf powder. Korean J Food & Nutr 20: 53-62. 

  36. Sung JM, Lim JH, Kim SI, Jeong JW (2009) Effect of mashed red pepper admixed with various freezing point depression agen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6: 861-868. 

  37. Yen GC, Wu SC, Duh PD (1996)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ents from leaves of mulberry (Morus alba L.). J Agr Food Chem 44: 1687-169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