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4 no.6, 2014년, pp.827 - 836
이영숙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노정옥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Mulberry leaves extract (ME)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was investigated during 30 days of fermentation a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김치는 어떤 효능을 갖는가? | 김치는 젖산발효 식품으로 채소류의 신선한 맛, 유산 발효에 의한 상쾌한 맛, 고춧가루를 비롯한 향신료의 독특한 맛, 젓갈류의 감칠맛 등이 어우러져 식욕을 돋우는 우리나라의 전통발효 식품이다(Hwang IG et al 2012). 김치는 비타민 C, β-carotene, 페놀성 화합물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과 발효 중 생성된 유기산과 유산균으로 인한 정장효과, 고혈압 예방, 항노화, 항암성, 항동맥경화성 등의 효능을 가지며, 맛과 영양학적 가치가 인정되면서 세계적인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Sung JM et al 2009). 최근 사회구조와 식생활의 서구화로 순환계 질환과 암 발병률이 증가하여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면서 건강을 위한 다양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현대 산업의 주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 |
뽕잎의 기능성 성분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 4%, 특히 칼슘, 칼륨, 철분 등의 함유율이 높다. 기능성 성분으로는 rutin, γ- aminobutyric acid (GABA), moracenin, sanggenone, moracin, chalcomoracin, umebelliferone, morusin, 1-deoxinojirimycin(DNJ), N-methyo-DN(N-Me-DNJ), fagomine 등과 flavonoid계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Lee WC et al 2003, Choi JL et al 2006). 뽕잎 추출물 분석에 따르면 항균활성과 항산화 효과(Cho YJ et al 2007), 중금속 제거 능력(Yen GC et al 2005)이 있으며, 풍부한 섬유질과 함께 칼슘의 함량이 양배추의 60배(Lee JM et al 2009) 정도로 많이 함유되어 있어 식품제조시 기능성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 |
김치는 무엇인가? | 김치는 젖산발효 식품으로 채소류의 신선한 맛, 유산 발효에 의한 상쾌한 맛, 고춧가루를 비롯한 향신료의 독특한 맛, 젓갈류의 감칠맛 등이 어우러져 식욕을 돋우는 우리나라의 전통발효 식품이다(Hwang IG et al 2012). 김치는 비타민 C, β-carotene, 페놀성 화합물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과 발효 중 생성된 유기산과 유산균으로 인한 정장효과, 고혈압 예방, 항노화, 항암성, 항동맥경화성 등의 효능을 가지며, 맛과 영양학적 가치가 인정되면서 세계적인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Sung JM et al 2009). |
Chang KS, Kim MJ, Kim SD (1995) Effect of ginseng on the preservability and quality of Chinese cabbage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313-322.
Cho YJ, Ju IS, Kim BO, Kim JH, Lee BG (2007)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antioxidant effect from the extracts of mulberry leav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334-343.
Choi JL, Jung MA, Jung SH (2006) Antimicrobial effect of mulberry leaves extracts. J Dental Hygiene Sci 6: 251-254.
Choi YM, Whang JH, Kim JM, Suh HJ (2006) The effect of oyster shell powder on the extension of the shelf-life of Kimchi. Food Control 17: 695-699.
Chung HK, Yeo KM, Kim MH (1996) Kinetics modeling for quality prediction during Kimchi fermentation. J Food Sci Nutr 1: 41-45.
Jin SY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ejakgwa added mulberry leaf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597-604.
Kang SS, Kim JM, Byun MW (1998) Preservation of Kimchi by ionizing radiation. Korean J Food Hygiene 3: 225-232.
Kim AJ, Lim YH, Kim MW, Kim MH, Woo KJ (2000) Mineral contents and properties of pongihp julpyum preparation by adding mulberry leaves powder. Korean J Soc Food Sci 16: 311-315.
Kim YA (2002) Effects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32-636.
Kim YK, Lee GC (1999) Contents of pectic substance and minerals and textural properties of leek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5: 258-263.
Kim YS, Kim YS, Whang JH, Suh HJ (2008) Application of omija (Schiandra chinensis) and plum (Prunus mume) extracts for the improvement of Kimchi quality. Food Control 19: 662-669.
Lee WC, Kim AJ, Kim SY (2003) The study on the functional materials and effects of mulberry leaf. Food Sci Industry 36: 2-14.
Lee, HY, Paik JE, Han YS (2003) Effect of powder-type dried Alaska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J Food Cookery Sci 19: 254-262.
Lee JM, Kim JA, Lee MI (2002) Sensory and physicochemical attributes of boogags using mulberry leaf. Korean J Dietary Culture 17: 103-110.
Moon YJ, Park S, Sung CK (2003) Effect of ethanolic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for the delayed ripening Kimchi preparation. Korean J Food & Nutr 16: 7-14.
Oh YA, Choi KH, Kim SD (1998) Changes in enzyme activities and pop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during the Kimchi fermentation supplemented with water extract of pine need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 244-251.
Paik JE (2007) Effects of potato on the storage of Kimchi. Korean J Food Nutr 20: 421-426.
Park BH, Cho HS, Oh BY (2002) Phy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treated with chitosan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Human Ecol 5: 85-93.
Park SH, Lee JH (2005) The correl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Kimchi with sou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03-109.
Rhie SG, Kim HZ (1984) Changes in riboflavin and ascorbic acid content during ripening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13: 131-135.
Seo JS, Bang BH, Jeong EJ (2004) Studies on the prolonging of Kimchi fermentation by adding chitosan. Korean J Food & Nutr 17: 60-65.
Shin SM, La SH, Choi MK (2007)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mulberry leaf powder. Korean J Food & Nutr 20: 53-62.
Yen GC, Wu SC, Duh PD (1996)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ents from leaves of mulberry (Morus alba L.). J Agr Food Chem 44: 1687-169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