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신체상 만족도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Depress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7 no.3, 2014년, pp.196 - 202  

노주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영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정다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정지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한솔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도성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조수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주수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혜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박소율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신지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on of self-esteem between body image and depression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e collected 193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y was completed a self reported questionnaire inclu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신체상 만족도,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신체상 만족도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신체상 만족도와 우울 간의 상호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대학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신체상 만족도, 자아존중감과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신체상 만족도와 우울 간의 상호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 신체상 만족도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Baron과 Kenny (1986)의 3단계 회귀분석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Table 4]. 1단계에서 독립변인인 신체상 만족도가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회귀분석에서 β값이 .
  • 특히, 여대생은 성인초기 발달단계로 추후 임신과 출산을 경험하여야 하며 이들의 건강은 태아의 건강과도 관련이 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에 우리나라 여대생의 신체 만족도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여대생의 긍정적인 신체상 만족도와 정서를 갖도록 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개 개발에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 시기에 신체상은 왜 중요한가? 신체상이란 자신의 신체적 모습에 대해 개인이 갖고 있는 정신적인 심상으로, 자신의 신념, 가치, 목표, 성격 및 자신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견해 등이 통합되어 이루어진다(Luckmann & Sorensen, 1980). 신체상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청년후기의 발달과제인 자아존중감형성에 영향을 주므로 대학생 시기에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신체적 특성에 대한 문제를 크게 느낄수록 신체적 부분과 자아에 대한 부정적 느낌들은 더욱 커지게 되며 기본 적인 신체상에 위협을 받게 되면, 정체감이 파괴되어 정상적인 생활, 모든 사회관계 및 대인 관계의 붕괴로 자아존중감의 상실을 초래한다(Wassner, 1982).
대학생 시기에 자신의 신체상에 대한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신체상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청년후기의 발달과제인 자아존중감형성에 영향을 주므로 대학생 시기에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신체적 특성에 대한 문제를 크게 느낄수록 신체적 부분과 자아에 대한 부정적 느낌들은 더욱 커지게 되며 기본 적인 신체상에 위협을 받게 되면, 정체감이 파괴되어 정상적인 생활, 모든 사회관계 및 대인 관계의 붕괴로 자아존중감의 상실을 초래한다(Wassner, 1982). 신체상에 대한 불만족은 낮은 자긍심, 사회적 불안과 대인관계 문제, 우울증 등과도 연관성이 있으며(Wardle, Haase, & Steptoe, 2006) 신체상이 부정적일수록 우울 성향이 높다고 하였다(Pak & Son, 2002). Kwak (1999)은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신체상 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더 낮았고, 신체상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 수준이 더 높아진다고 보고하였다.
신체상이란? 신체상이란 자신의 신체적 모습에 대해 개인이 갖고 있는 정신적인 심상으로, 자신의 신념, 가치, 목표, 성격 및 자신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견해 등이 통합되어 이루어진다(Luckmann & Sorensen, 1980). 신체상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청년후기의 발달과제인 자아존중감형성에 영향을 주므로 대학생 시기에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2. Cho, S. J., & Kim, C. K. (1997). The effect of female student's obese level and weight control behavior and attitudes on stres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4(2), 1-16. 

  3. Choi, E. S., & Lee, K. E.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ody shape, body image and health complaints in women registered at facility for managing body shap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3(2), 169-179. 

  4. Davison, T. E., & McCabe, M. P. (2005). Relationship between men's and women's body image and their psychological, social, and sexual functioning. Sex Roles, 52, 463-475. 

  5. Edlund, B., Hallqvist, G., & Sjoden, P. O. (1994). Attitudes to food, eating and dieting behaviours in 11 and 14-year-old Swedish children. Acta Paediatrica, 83, 572-577. 

  6. Hong, E. K., Park, S. B., Shin, Y. S., & Park, H. S. (1997). Body image perception and self-reported weight control activities in adolescent gir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8(7), 714-721. 

  7. Hong, K. H. (2006). The influence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BMI and body image on self-este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 (2), 348-357. 

  8. Hwang, R. H. (2009). A study on eating disorder, body image and self-esteem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4), 328-335. 

  9. Jeon, H. W., & Kim, S. A. (2013).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media influence, body image and self-esteem: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7(4), 289-305. 

  10. J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1, 109-129. 

  11. Joo, E. J., & Park, S. H. (1999). Effects of body image and restrained eating on eating disorder, dietary intakes, self-esteem and sex role identity in college women.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8(4), 399-411. 

  12. Kim, O. S., & Kim, K. H. (2000). Weight,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high school and college femal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2(3), 396-406. 

  13. Kernis, M. H., Brockner, J., & Frankel, B. S. (1989). Self-esteem and reactions to failure: The mediating role of overgener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4), 707-714. 

  14. Kim, Y. A. (2003). A relationship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body cathexi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5. Kwak, J. Y. (1999). The relationships among body-esteem, selfesteem and depression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s weigh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6. Lee, B. H. (2009). The effects of mass media on body image, selfesteem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3(3), 166-204. 

  17. Lee, H. J. (2009).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obese girls' body image .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ju. 

  18. Lee, K., Kim, E., & Yom, Y. (2005). Body esteem, body figure discrepancy and depression in wome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2(2), 206-214. 

  19. Lee, Y. H., & Song, J. Y.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 98-113. 

  20. Lim, E. S., Kang, H. Y., & Myeong, S. J. (2013). Body image, weight-control self-efficacy, body mass index, and body weight control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6(3), 195-204. 

  21. Luckmann, J., & Sorensen, K. C. (1980). Medical-surgical nursing. (6th ed.). W.B. Saunders Company: Philadelphia. 

  22. Mendelson, B. K., Mendelson, M. J., Andrews, J., Balfour, L., & Bucholz, A. (1997). Three aspects of body esteem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Differential relations with weight and self-esteem.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17 (1), 145-160. 

  23. Noles, S.W., Cash, T.F., & Winstead, B.A. (1985). Body image, physical attractiven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3, 88-94. 

  24. Oh, H. K. (2003). A study on body imag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f female students in college.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5(2), 278-286. 

  25. Pak, S. J., & Son, C. N. (2002).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on body image esteem,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college women with negative body imag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7(3), 335-351. 

  26.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Schachter, S. (1982). Recidivism and self-cure of smoking and obesity. The American Psychologist, 37(4), 436-555. 

  28. Shin, H. S., & Paik, S. N. (2003). Body image,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college female students-Normal and overweigh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3), 331-338. 

  29. Song, S. M. (2013). The influenc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school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them among adolesc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6(1), 1-12. 

  30. Wardle, J., Haase, A., & Steptoe, A. (2006).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in young adults: International comparisons in university students from 22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0, 644-651. 

  31. Wassner, A. (1982). The impact of mutilating surgery or trauma on body imag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9(3), 86-9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