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의 '형증(形證)' 개념(槪念)에 대한 고찰 - ≪한(寒)≫ <육경형증용약(六經形證用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cept of 'Physical symptom(形證)' in Dong-uibogam - Focused on Physical symptom & Medication of Six Meridians in the Han(寒) Chapter -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7 no.4, 2014년, pp.101 - 119  

신상원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기초한의과학과) ,  정창현 (경희대학교 한의학과대학 원전학교실) ,  백유상 (경희대학교 한의학과대학 원전학교실) ,  장우창 (경희대학교 한의학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In Dong-uibogam, Heo Jun used the concept of 'Physical symptom(形證)' that had not used frequently in practical description of pathological condition. Especially, He used the terminology, 'Physical symptom(形證)' as a title in the Han(寒) Chapter that described Sanghan(傷寒). Methods : It ha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東醫寶鑑』에서 六經辨證과 관련된 내용이 나타나는 부분은? 『東醫寶鑑』에서 六經辨證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명료하게 제시된 부분은 ≪雜病篇·寒≫에 보이는데, <太陽形證用藥>, <陽明形證用藥>, <少陽形證用藥>, <太陰形證用藥>, <少陰形證用藥>, <厥陰形證用藥>의 6개 항목1)을 개설하여 여기에 六經辨證과 관련된 내용을 압축적으로 제시하였다. 눈여겨 볼 지점은 六經 항목의 표제를 ‘形證用藥’으로 삼았다는 점인데, 이 표제는 다시 ‘形證’과 ‘用藥’의 두 가지 개념 용어로 분리할 수 있다.
六經辨證은 무엇인가? 六經辨證은 질병의 변화단계와 정황을 太陽, 陽明, 少陽, 太陰, 少陰, 厥陰의 6개 줄기로 나누어 분별, 진단하는 방법이다. 의학사적으로는 『素問·熱論』 에서 傷寒으로 인한 熱病 증후를 경맥에 의거한 六經病證을 통해 제시하였고, 장중경이 『傷寒論』에서 이를 계승하여 傷寒病의 診脈, 證候, 治法을 六經을 기간으로 삼아 詳述하면서, 외감으로 인하여 발생한 병을 치료함에 있어 六經을 통하여 변증하고 이에따라 치법을 제시하는 방법이 가장 중심적인 이론으로 자리잡았다.
形證가 언급된 『增註類證活人書』의 두 가지 사례는 어떤 공통점이 있나? ”15)이라 하였다. 두 사례의 공통점은 ‘겉으로 나타나는 증후’를 의미하는 ‘症狀’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었다는 점인데, 좀 더 자세히 살피면 ‘三陰, 三陽’ 및 ‘太陽, 陽明, 熱入血室’과 같은 병리적 해석을 위한 개념들과 적극적으로 구별되는 의미로서, ‘주관적 해석 과정’을 적극적으로 배제한 상태의 ‘객관적 현상으로서의 증후’를 일컫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다시 말해 인체 내부의 어떠한 원인과의 인과를 배제한 철저히 객관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의 의미로 사용하려는 의도가 나타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Written by Heo Jun, annotated by Jin JP. New parallel translation texts of Donguibogam. Seoul. Bubin Publishers. 2007. 허준 저, 진주표 주석. 新對譯 東醫寶鑑. 서울. 법인문화사. 2007. 

  2. Translated by Kim DH et al. Huangdineijingsuwen(II). Seoul. Euisung Publisher. 2001. 김달호 외 共編譯. 注解補注 黃帝內經 素問(下). 서울. 醫聖堂. 2001. 

  3. Written by Li Chan, Translated by Jin JP. New parallel translation & annotation texts of Yixuerumen. Seoul. Bubin Publishers. 2009. 이천 편저, 진주표 역해, 新對譯 編註 醫學入門, 서울, 법인문화사, 2009. 

  4. Compiled by dept. Sasang constitution medicine of all the college of Korean medicine. Sasang Constitution Medicine. Jipmoondang. 2006.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 집문당, 2006. 

  5. Written by Zhang Zhong jing, annotated by Cheng Wu ji, Proofread by Zhang Ping li. Zhujieshanghanron. Beijing. Xue yuan Publisher. 2009. 張仲景 原著, 成無已 注, 張立平 校注, 注解傷寒論, 北京, 學苑出版社, 2009. 

  6. Annotated by Hua Shou, Translated by Yoon CY et al. Nanjingbenyi. Daejeon. Joomin Publisher. 2003. 滑壽 原注, 윤창열 외 編譯, 難經本義, 대전, 주민출판사, 2003. 

  7. Written by Chao Yuan fang, Edited by Ding Zheng di. Zhubingyuanhoulun. Beijing. Renminweisheng Publisher. 2000. 巢元方 著, 丁光迪 主編, 諸病源候論校注,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00. 

  8. Written by Qian Chao Chen. The Systemic Review of Shanghanlun literature. Beijing. Xue yuan Publisher. 1993. ?超? 著, ?寒?文?通考, 北京, ?苑出版社, 1993. 

  9. Written by Zhu Gong. Zengzhuleizhenghuorenshu. Seoul. Namsan Publisher. 1987. 朱肱 原撰, 增註類證活人書, 서울, 南山堂, 1987. 

  10. Written by Zhang Yuan su, Edited by Zheng Hong xin. The collected medical literature of Zhang Yuan su. Beijing. Publisher of China Chinese medicine. 2006. ?元素 著, ?洪新 主編, ?元素 ??全?, 北京, 中?中??出版社, 2006. 

  11. Written by Heo Jun, Edited by KIOM. ChandobanglonMaekgyeoljipsung.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허준 저, 한국한의학연구원 편, 찬도방론맥결집성: 원문.해제,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009 

  12. Park SJ. Studies on the Charateristics of Eastern Asian Premodern Society and Dongeuibogam.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ersity. 2005. 박석준. 동아시아 전근대 의학과 동의보감 의역사적 성격.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5. 

  13. Park SH. A study on verses of texts of the So-eumin Disease Pattern in Dong-uisusebowon.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ersity. 2014. 박수현. 東醫壽世保元 少陰人 病論 條文에 대한 考察.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14. Heo J, Historical Consideration of Chan Do Bang Ron Mack Kyul GipSeong.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ersity. 2009. 허종. 纂圖方論脈訣集成 의 醫史學的 硏究.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15. Baik YS. A study on changes of concept of syndrome differentiation. Regular conference of the Society of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4. 백유상, 변증 개념의 변천에 대한 소고, 대한한의학원전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014. 

  16. Jang WC. A new horizon of study of Heojun ChandobanglonMaekgyeoljipsung. Regular conference of the Society of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4. 장우창, 허준 찬도방론맥결집성(纂圖方論脈訣集成) 연구의 새 국면, 대한한의학원전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014 

  17. Shin SW. A Study on the Pyo-bon concept based on the verse "標本須明後先" in the Sanghan Chapter of Uihak-ipmun. Kyunghee University. 2012. 신상원, 醫學入門.傷寒篇 의 "標本須明後先" 條文에서 나타난 標本 개념에 대한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